유리수: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문단 이름 변경 (바깥고리 → 외부 링크)
45번째 줄:
 
집합 <math>\mathbb{Q}</math>는 [[환의 표수|표수]]가 0인 가장 작은 [[체 (수학)|체]]이다. 즉, [[환의 표수|표수]]가 0인 체는 <math>\mathbb{Q}</math>와 [[동형]]인 체를 반드시 포함한다.
 
 
 
:<math>{2 \over 3} = {{1+ 1} \over 3}= {{1} \over 3}+ {{1} \over 3} </math>
:<math>{3 \over 4} = {{1+ 1+1} \over 4}= {{1} \over 4}+ {{1} \over 4}+ {{1} \over 4} </math>
:<math>= {{1+ 1+1} \over 4}= {{1+1} \over 4}+ {{1} \over 4}= {{2} \over 4}+ {{1} \over 4}={3 \over 4} </math>
이처럼 분수는 <math> {{a} \over {b}}</math>와 같이 분자<math> {a}</math> 와 분모<math> {b}</math>로 표현된다.
이것은 <math> {a} \div {b}</math>를 의미하는 표현이다.
 
따라서, <math> {a}</math>가 <math> {b}</math>로 나누어진다면,
 
이것은 <math> \left({{\text{자 기 자 신 의 정 보 }} \over {\text{전 체 의 정 보 }}} \right)</math> 를 의미하는 표현이다.
즉, 자기 자신의 정보가 전체의 정보로 나누어짐을 의미하는 표현이고,
 
바꾸어 말하면, 자기 자신의 정보를 전체의 정보로 나눔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자기 자신의 정보가 전체 정보에서 얼마만큼을 차지하는지를 보여주게 된다.
 
또한 분수는 [[번분수]]의 성질이 있다.
 
:<math>2= {2 \over 1} = {{ 2 \over 1} \over {1 \over 1}}= {{2} \over 1}= {2} </math>
:<math>1= {1 \over 1} = {{ 1 \over 1} \over {1 \over 1}}= {{ {1\over 1} \over {1\over 1}} \over {{1\over 1} \over{1\over 1}}}= {{ 1 \over 1} \over {1 \over 1}}= {{1} \over 1}= {1} </math>
 
== 외부 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