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반 조사: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Gcd822 (토론 | 기여)
→‎회전식 시추: 출처 명기
Gcd822 (토론 | 기여)
'시료 채취' 부분 정리
30번째 줄:
== 시료 채취 ==
[[파일:Sampler (Soil mechanics).jpg|thumb|보링에 사용되는 샘플러 끝부분]]
실내 시험용 시료는 교란 시료(disturbed soil)와 불교란 시료(undisturbed soil)로 구분된다. 구분하는 기준은 면적비(<math>A_r</math>)를 이용한다. 샘플러(sampler) 끝부분의 내경을 <math>D_i</math>, 외경을 <math>D_e</math>라 할 때,{{Sfn|권호진, 김동수, 박준범, 정성교|2015|p=28}}
:<math>A_r=\frac{D_e^2-D_i^2}{D_i^2}\times 100(%)</math>
* <math>A_r \leq 10%</math>이면 불교란 시료 : [[전단 강도]], [[압밀]] 시험 등 흙의 조직에 의해 지배되는 역학적 특성을 추정하는 데 사용
* <math>A_r > 10%</math>이면 교란 시료
* <math>A_r > 10%</math>이면 교란 시료 : [[입도 (토질역학)|입도]] 분석, [[비중]], [[아터버그 한계#정의|액성 한계]], [[아터버그 한계#정의|소성 한계]], [[아터버그 한계#정의|수축 한계]] 등의 물리적 시험에 사용
면적비를 10% 이하로 할 때 불교란 시료로 보는 것은 샘플러 주위의 잉여토 혼입을 막기 위한 것이다.
 
=== 교란 시료 채취 ===
'''교란 시료'''(disturbed sample)란 흙입자가 원래의 배치에서 흐트러진 시료이다. [[입도 (토질역학)|입도]] 분석, [[비중]], [[아터버그 한계#정의|액성 한계]], [[아터버그 한계#정의|소성 한계]], [[아터버그 한계#정의|수축 한계]] 등의 물리적 시험에 사용된다.{{Sfn|권호진, 김동수, 박준범, 정성교|2015|p=28}} 대표적으로 교란 시료를 채취하는 방법은 [[스플릿 스푼]](split spoon)을 이용하는 것이다. 앞서 이야기했던 수세식 혹은 회전 수세식 시추가 완료되면, 굴착 로드를 다시 지표면까지 끌어올려 굴착 로드 하단에 스플릿 스푼을 연결하고 다시 시추공에 삽입한다. 해머로 굴착 로드 상부를 타격하여 스플릿 스푼을 지반에 관입, 교란 시료를 채취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해머 타격 횟수를 측정하는 [[표준 관입 시험]]과 시료 채취가 동시에 이루어진다. 교란된 흙은 압축 강도, 전단 강도가 작기 때문에 전단 강도 시험에는 이용할 수 없다. [[소성 (물리학)|소성]]이 낮은 흙일수록 교란의 효과가 작다.
 
=== 불교란 시료 채취 ===
'''불교란 시료'''(비교란 시료, undisturbed sample)란 흙입자가 원래 배치 그대로 있는 시료이다. [[단위 중량]], [[투수성]], [[압축성]], [[전단 강도]], [[압밀]] 시험 등 흙의 조직에 의해 지배되는 역학적 특성을 추정하는 데 사용된다.{{Sfn|권호진, 김동수, 박준범, 정성교|2015|p=28}} 불교란 시료 채취에는 얇은 관 튜브(thin-walled tube, 혹은 쉘비 튜브(Shelby tube))를 주로 사용한다. 이 튜브를 압입하여 점토층에 관입시켜 시료를 채취한다. 채취된 시료는 끓은 [[파라핀]]을 이용해 끝부분이 밀봉된 후 실험실로 운반된다.
 
== 원위치 시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