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양: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Huzzlet the bot (토론 | 기여)
잔글 로봇의 도움을 받아 동음이의 처리: 워싱턴 - 워싱턴 D.C. 문서로 링크 바꿈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파일:Park Jong Yang.jpg|thumb|박정양, 1888년]]
'''박정양'''(朴定陽, [[1841년1842년]] [[2월 4일]](헌종 7년 [[음력 12월 24일]]) ~ [[1904년1905년]] [[11월12월 15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외교관, [[내각총리대신]], [[대한제국]]의 정치가이다. 구한말의 온건 개화파 정치인으로 활동하였으며, [[김홍집 내각]]에 참여하였다. [[조선]]의 첫 주미국 대사이기도 했다.
 
[[1866년]](고종 3) 문과에 급제, 참판 등을 지내고, [[1881년]] [[조사 시찰단]]을 조직하여 일본의 문물을 시찰하고 돌아와 관제 개정을 추진했다. 87년 미국특파 전권대사로 부임하여 외교활동을 하다가 [[청나라]]의 압력으로 귀국해야 했다. [[1894년]] 1차 김홍집 내각의 학부대신이 되고, 이듬해 김홍집 내각이 붕괴하자 내각총리대신이 되어 과도내각을 조직했다. 그뒤 [[갑오개혁]] 때 군국기무처의 회의원이 되고 제2차 김홍집 내각의 학부대신을 지냈다.
10번째 줄:
[[정조]]의 후궁인 [[수빈 박씨]]의 친정 일족으로, [[판관]]과 강서현령을 지낸 박제근(朴齊近)의 아들이다. [[수빈 박씨]]의 친정아버지 [[박준원]]의 형 [[박윤원]]의 4대손이다. 증조부 박종여(朴宗與)는 서흥부사를 지냈고 할아버지 박운수(朴雲壽)는 순흥부사를 지냈다. 어려서 먼 친척인 [[박규수]]의 문하에서 수학하였고, [[유대치]]의 문하에 출입하며 [[김윤식]], [[김홍집]], [[김옥균]] 등과 만나 교분을 쌓았으며 [[오경석]]의 문하에도 출입하였다.
 
[[1864년]](고종 1년) 증광과 [[생원시]]에 병과로 입격하여 [[생원]]이 되고 [[성균관]]에서 유생으로 수학하였다. [[1866년]](고종 3년) [[조선의 과거 제도|정시 문과]](庭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여 관직에 올랐으며 온건개화파의 한 사람으로 활동했다. 1879년 형조참의, 형조참판 등을 지내고 [[1881년]] [[윤웅렬]], [[어윤중]], [[홍영식]], [[조병직]], [[조준영]] 등과 함께 [[조사 시찰단|신사유람단]](士遊覧團)의 일원으로 일본을 방문했다. 이때 일본의 정부기관은 물론 각종 사업기관과 조폐공장 등을 시찰하고 돌아와서 관제 개혁, 급여의 화폐지급, 관습법의 성문법화 추진 등 근대화 정책 추진에 참가했다. 일본을 시찰하고 [[제물포]]를 통해 귀국, 이용사 당상 경리사(理用司堂上經理事)가 되었다.
 
=== 개혁 정책과 외교 활동 ===
33번째 줄:
 
=== 생애 후반 ===
[[1896년]](고종 33년) [[아관파천]](館播遷)이 일어나 [[김홍집]]이 수구파, 위정척사파 측에 의해 살해되자 내부대신으로 [[총리대신]] 서리와 [[궁내부]][[대신 (조선 말기)|대신]] 서리를 겸임했다. 이해 양력 9월 내각을 [[의정부]]로 개혁하자 [[의정부]]참정대신(參政大臣)이 되고 [[1896년]](건양 1년) [[서재필]], [[윤치호]], [[이상재]] 등과 [[독립협회]]를 조직하였다. 이어 [[윤치호]], [[이상재]] 등의 주도로 [[만민공동회]]가 조직되자 정부측 대표로 참석, 이후 만민공동회에 계속 참석하였다.
 
[[독립협회]]가 주최하는 [[1898년]](광무 2년) [[10월]]의 [[만민공동회]]에 참석, 시정의 개혁을 약속했으나 [[수구당|수구파]]와 위정척사파의 반대로 좌절되었다. 양력 11월 [[황국협회]]가 폭력으로 독립협회를 탄압한 사건이 일어나 내각이 경질(更迭)되자 사직서를 올렸지만, 다시 [[대한제국 고종|고종]]에 의해 [[내무부]][[대신 (조선 말기)|대신]]이 되었다.
146번째 줄:
<references/>
 
[[분류:1841년1842년 태어남]]
[[분류:1904년1905년 죽음]]
[[분류:병사한 사람]]
[[분류:과거 급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