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방송: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211.180.51.41(토론)의 19941671판 편집을 되돌림
편집 요약 없음
11번째 줄:
|약칭 = MBC
|구분 = 공영방송, 주식회사
|a
|창립일 = [[1961년]] [[2월 21일]]
|개국일 = [[1961년]] [[12월 2일]](AM) <br/> [[1969년]] [[8월 8일]](TV) <br/> [[1971년]] [[9월 19일]](FM)
|폐국일 =
|자본금 = 1,000,000,000원 (2015.12)
|매출액 = 1,500,941,912,398원 (2015)
|영업 이익 = 59,272,035,738원 (2015)
|순이익 = 82,403,520,805원 (2015)
|자산 총액 = 2,557,227,645,206원 (2015.12)
|주주 = [[방송문화진흥회]] 70% <br/> [[정수장학회]] 30%
|직원 수 = 1,712명 (2015.12)
|국가 = {{KOR}}
|본사 = {{국기나라|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마포구]] 성암로 267
|사장 =[[ 김장겸]]
|슬로건 = 품격 있는 젊은 방송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회사 정보
|이름 = 주식회사 문화방송
|원어 =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창립 = [[1961년]] [[2월 21일]]
|시장 정보 = [[한국거래소|한국:]] 028860(상장폐지), 052220
|상장일 = [[1968년]] [[12월 27일]] 상장 [[2005년]] [[1월 21일]] 상장
}}
'''문화방송'''(文化放送, {{llang|en|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은 [[대한민국]] 수도권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지상파 공영방송사이다. 다른 지역의 16개의 문화방송네트워크 방송사와 함께 전국방송망을 구축하고 있다. [[1961년]] [[2월 21일]] 창립하였으며 [[12월 2일]]에 [[라디오]] 방송국으로 개국했다. 문화방송이 운영하고 있는 라디오방송은 FM4U와 표준FM이 있으며, 24시간 방송한다. 문화방송의 호출부호는 HLKV이다.
 
본사는 [[서울특별시]] [[마포구]] 성암로 267 ([[상암동 (서울)|상암동]])에 있고, [[경기도]] [[양주시|양주]]의 스튜디오와 MBC드림센터([[일산동구|일산]]제작센터)등이 있다. 문화방송은 [[디지털 미디어 시티]](DMC)내에 신사옥 건립을 추진해 2014년 6월 28일에 완공하였고, 2014년 8월 4일 신사옥에서 첫 전파를 발사하였으며, 2014년 9월 1일 신사옥 준공식을 가졌다.
 
==역사==
문화방송은 1959년 설립된 국내 최초의 상업 라디오 방송인 [[부산문화방송|문화방송]](現 부산문화방송)을 모태로 하고 있다. 현재의 부산문화방송은 개국당시부터 1965년까지 명칭이 '''문화방송'''이었다. 현재의 문화방송은 現 부산문화방송보다 2년 늦게 개국했으며, 개국당시의 명칭은 '''한국문화방송'''이었다. 당시 부산 지역의 유력 재벌이었던 김지태(조선견직 사주)는 문화방송 외에 부산일보도 운영하고 있었는데 [[부산문화방송|문화방송]](現 부산문화방송)의 경영이 어려워지자 이를 인수하고 1961년 한국문화방송(現 문화방송)도 개국하게 된다. 하지만 김지태는 5·16군사정변(쿠데타) 이후 부정축재자로 적발, 1962년 한국문화방송, 부산문화방송, 부산일보 등 전 재산을 5·16장학회에 헌납하게 됐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2080200329104015&editNo=3&printCount=1&publishDate=1962-08-02&officeId=00032&pageNo=4&printNo=5154&publishType=00010 重役陣(중역진)을 改編(개편) 한국문화방송국] 경향신문 1962.8.2</ref><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4111600329203001&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64-11-16&officeId=00032&pageNo=3&printNo=5870&publishType=00020 走馬看山(주마간산)—結論(결론) 없이지나가는「革命(혁명)4年(년)」] 경향신문 1964.11.16</ref> [[1969년]] TV 개국 이후 후발주자였지만,여러 대형쇼를 기획해 사람들의 이목을 집중시키더니 새엄마, 신부일기, 수선화, 후회합니다 등의 드라마를 히트시키며, 시청률에서 KBS를 앞서고, 마침내는 시청률 우위를 점하고 있던 [[TBC]]를 앞서기도 했다.(1974년) 이후 TBC와 시청률이 막상막하였고, 서로 번갈아가며 드라마를 히트시켰다. (그러나 전체적으론 tbc는 드라마·뉴스에서, mbc는 [[웃으면 복이와요]] 등으로 예능에서 앞섰다. KBS는 가끔씩만 앞섰으며, KBS는 두 민방보다, 채널이 다채롭지 않았다)[[1974년]] [[11월 1일]] [[박정희]] 대통령의 지시로 [[경향신문]]과 통합되었으나 [[1980년 언론 통폐합]]으로 분리되면서 현재 경향신문-문화방송과의 관계는 정수장학회에 관여되어 있다는 것 뿐이다<ref>참고로 사옥은 [[1983년]] [[여의도]]에 준공될 때까지 경향신문과 같이 사용했다.</ref>. 1969년 은행 차입과 외자에 의존해 TV 방송을 시작하면서 경영난에 봉착한 문화방송의 경영난을 타개하기 위해 박정희 정권은 주식의 70%를 쌍용화재, 현대 등 대기업 11회사에게 강제 인수시켰다. 대기업 지분은 배당도 받지 못하고 의결권도 없고 매각도 할 수 없는 조건이었다.
 
문화방송은 1963년 4월 12일 정부로부터 전국의 주요 도시 곧 대구, 광주, 대전, 전주에 지국 설치 허가를 얻어서 네트워크 확장에 주력하기 시작했다. 1963년 8월 8일 문화방송 대구지국(現 [[대구문화방송]]), 1965년 문화방송 전주지국(現 [[전주문화방송]])이 첫 전파를 발사함으로써 MBC는 전국 6대 도시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구성했다. 이어 1968년부터 1969년 사이에도 울산민간방송(現 [[울산문화방송]]), 진주민간방송(現 [[MBC경남 진주방송]]), 영동방송(現 [[MBC강원영동 강릉방송국]]), 강원방송(現 [[춘천문화방송]]), 라디오목포(現 [[목포문화방송]]), 남양방송(現 [[제주문화방송]]), 경남방송(現 [[MBC경남 창원방송]]) 등 7개의 민영방송이 등장, 문화방송과 네트워크 가맹을 맺음으로써 전국 네트워크에는 총 13개의 직할국 또는 가맹국이 참여하게 되었다.<ref>[네이버 지식백과] 문화방송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MBC] (매스컴대사전, 1993.12., 한국언론연구원(현 한국언론진흥재단))</ref>
 
1980년 ‘전두환 신군부’가 실세가 되자 대기업들은 이 주식을 헌납했고 언론통폐합 과정에서 [[한국방송공사]](KBS)가 맡게 됐다. 7개 지역가맹사의 주식 또한 각각 51% 이상 인수되어 문화방송은 전 가맹사와 직할국을 계열화하게 되었다. 그러나 시청률에 우위를 보였고, 뉴스, 드라마, 예능 등 거의 전 부문에서 KBS를 앞선다.(90년대 중반까지)그리고 이 시기 MBC는 드라마 왕국으로 불렸다. 87년 민주화 이후 주식의 70%를 [[대한민국 국회|국회]]에서 제정한 공익재단인 [[방송문화진흥회]]가 보유하고 있으며, 사장 선임을 비롯한 간접적인 경영에 참여하고 있다. 모든 방송 제작비용을 시청료가 아닌 광고료로 하고 있어 상업방송으로 볼 수 있지만, 경영은 정부에서 하는 '준공영방송'체제라고 할 수 있다. 비슷한 체제로는 영국의 [[채널 4]]가 있다. 방송문화진흥회 주식 이외의 주식지분 30%는 [[정수장학회]]가 보유하며 수익의 일부를 사회에 환원하고 있다.
 
== 연혁 ==
=== [[라디오]] 시대([[1961년]] ~ [[1969년]]) ===
* [[1961년]] [[1월 28일]] - 《서울민간방송㈜》이 설립 인가(대표이사 김지태).
* [[1961년]] [[2월 21일]] - 《서울민간방송㈜》이 설립 등기.
* [[1961년]] [[3월 8일]] - 《한국방송㈜, 약칭HBC》으로 사명을 변경([[한국방송공사]]와는 관계 없음).
* [[1961년]] [[6월 7일]] - 1기 성우, 기자, 아나운서 모집.
* [[1961년]] [[7월 7일]] - 《라디오서울》으로 사명을 변경.
* [[1961년]] [[7월 11일]] - MBC 회사 마크 현상공표 가작.
* [[1961년]] [[10월 10일]] 《한국문화방송㈜》으로 사명을 변경
* [[1961년]] [[11월 11일]] - 라디오방송 시험전파 발사.
* [[1961년]] [[12월 2일]] - MBC 라디오 방송 개국(호출부호 HLKV, 주파수 900kHZ, 출력 10kW).
* [[1962년]] [[6월 30일]] - 문화방송, 부산문화방송 강제 헌납.<ref>시사저널 771호</ref>
* [[1962년]] [[7월 5일]] - [[부일장학회]] 해체 및 5.16 장학재단 설립 ([[1982년]] [[정수장학회]]로 개명).
* [[1964년]] MBC, 경영 규모 확대에 따라 불입자본금 2,000만원으로 증액.
* [[1964년]] [[4월 12일]] - 전국 네트워크 구축([[대전MBC]], [[대구MBC]], [[광주MBC]], [[전주MBC]]).
* [[1965년]] [[5월 1일]] - MBC 라디오 드라마 《[[전설따라 삼천리]]》방송 시작.
* [[1966년]] - 라디오의 질적 심화와 발전 위해 ‘뉴라디오이론’ 도입(한국 방송 사상 처음으로 생활정보방송 실시, 자율심의기관인 방송편성심의위원회·농어촌방송자문위원회 등 설치).
* [[1966년]] [[1월 23일]] - 라디오 방송출력 50kW로 증강.
* [[1967년]] - 사세 확장과 TV 개국 준비에 맞춰 신사옥 건립 결정.
* [[1967년]] [[7월]] - 신사옥 기본설계 계약.
* [[1967년]] [[2월 3일]] - 정동사옥 기공.
* [[1968년]] [[12월 31일]] - TV, 시험전파 방송 개시.
 
[[파일:1970~1980's MBC Government building.jpg|썸네일|250px|서울시 [[중구 (서울특별시)|중구]] 정동에 있는 문화방송·경향신문 구 사옥<br />(현재는 [[경향신문]] 본사 사옥)]]
 
=== 흑백 [[텔레비전]] 시대([[1969년]] ~ [[1980년]]) ===
* [[1969년]] [[3월 10일]] - 《[[MBC애드컴|한국연합광고]]》 설립.
* [[1969년]] [[7월 4일]] - TV 개국을 앞두고(영문 소문자 mbc) 형태 고안 정탁영 제작.
* [[1969년]] [[8월 1일]] - 정동사옥 준공.
* [[1969년]] [[8월 8일]] - MBC 텔레비전 방송 개시(호출부호 HLAC-TV, 출력 2&nbsp;kW).
* [[1970년]] [[10월 5일]] - MBC 대표 메인뉴스 프로그램 [[MBC 뉴스데스크]] 방송 시작 (첫 방송 당시에는 10시 30분에 시작함).
* [[1971년]] [[5월 11일]] - 일본 [[후지 TV]]와 제휴.
* [[1971년]] [[5월 16일]] - MBC 도쿄지국 후지TV 카와다쵸 제1별관으로 개설.
* [[1971년]] [[9월 19일]] - MBC FM 방송시작(호출부호 HLKV-FM, 주파수 91.9&nbsp;MHz).
* [[1971년]] [[9월 29일]] - 20개 지역 민방사와 네트워크 협정을 맺음.
* [[1971년]] [[10월 1일]] - MBC 제휴 방송국, 소재지 도시명 다음에 문화방송 표기토록 사명 변경 통일(제주 남양문화방송 제외). (現 제주MBC)
* [[1972년]] [[2월 28일]] - 《문화관광㈜》을 설립.
* [[1972년]] [[4월 15일]] - TV 호출부호를 HLAC-TV에서 HLKV-TV로 변경.
* [[1972년]] [[7월]] - TV방송, 7개의 네트워크망 형성.
* [[1973년]] [[12월 3일]] - 석유파동(오일 쇼크)으로 평일 및 토요일 아침방송 중단. (1981년 5월 24일까지 7년 6개월간 지속)
* [[1974년]] [[11월 1일]] - 《㈜문화방송·[[경향신문]]》으로 발족.
* [[1975년]] [[9월 8일]] - 문화체육관 개관.
* [[1977년]] [[3월 7일]] - 문화관광이 청산됨.
* [[1977년]] [[9월 3일]] - MBC 제1회 대학가요제 개최.
* [[1979년]] [[7월 19일]] - 주식상장이 폐지됨.
* [[1979년]] [[8월 5일]] - MBC 제1회 강변가요제 개최.
* [[1979년]] [[9월 11일]] - 상암동으로 옮기기 전 본사 소재지인 [[여의도]] 스튜디오가 착공.
* [[1980년]] [[12월 1일]] - 강제적인 [[언론통폐합]]으로 [[신아일보]]를 흡수통합하고, 전국 네트워크 가맹사의 주식 51%가 문화방송으로 넘겨져 계열화되어, 현재까지 계열국 체제가 유지되고 있음.
* [[1980년]] [[12월 22일]] - TV 컬러방송을 시작.
 
=== 컬러[[방송]] 시대([[1980년]] ~ [[1990년]]) ===
* [[1981년]] [[1월 1일]] - TV 컬러방송이 전국화됨.
* [[1981년]] [[4월 1일]] - 언론기본법 제정에 따라 문화방송과 경향신문사가 분리됨.
* [[1981년]] [[5월 25일]] - TV 아침방송 재개와 동시에 시작 시간 아침 6시로 조정.
* [[1981년]] [[12월 2일]] - MBC 창사 20주년을 맞아 로고 변경("mbc" 소문자에서 "MBC" 대문자 글자체로 통일)
* [[1982년]] [[1월 26일]] - 프로 야구단 [[MBC 청룡]]이 창단함
* [[1982년]] [[3월 17일]] - [[여의도]] 스튜디오 사옥이 준공됨
* [[1982년]] [[3월 18일]] - 일본 후지TV 서울지국 여의도 사옥 이전.
* [[1982년]] [[4월 2일]] - TV 출력 증강(10㎾→50㎾)
* [[1982년]] [[9월 4일]] - 라디오 FM 시보 작곡 완료(작곡 : 박춘석, 길옥윤, 엄기돈, 정서봉)
* [[1983년]] [[4월 20일]] - FM 출력 증강(1㎾→10㎾)
* [[1983년]] [[1월 4일]] - 일본에서 음반 구입(클래식 40매, 팝송 286매)
* [[1983년]] [[4월 30일]] - 제1회 MBC 창작동요제 개최
* [[1983년]] [[10월 1일]] - MBC 라디오 드라마 《[[전설따라 삼천리]]》15년 간의 방송을 종영함
* [[1984년]] [[9월 20일]] - [[경기도]] [[양주시]]에 소재한 사원체력단련장이 준공됨
* [[1984년]] [[12월 1일]] - 송신·중계운영 KTA에 위탁
* [[1985년]] [[5월 1일]] - 여의도 사옥의 증축공사가 착공함
* [[1985년]] [[10월 10일]] - MBC CI 기본체계 확정 발표
* [[1986년]] [[1월 1일]] - MBC CI 첫 도입([[홍익대학교]] 권명광 교수가 작업)
* [[1986년]] [[4월 19일]] - [[관악산]] TV중계소가 준공됨
* [[1986년]] [[4월 29일]] - 정동방송시설, 여의도로 이전 송출 시작
* [[1986년]] [[5월 30일]] - 여의도 사옥 증축공사가 완공됨
* [[1987년]] [[5월]] - MBC 사업단의 비디오 테이프를 생산 개시
* [[1987년]] [[12월 9일]] - [[노동조합]]이 설립됨
* [[1987년]] [[12월 15일]] - [[관악산]] 표준FM방송 개국(호출부호 HLCP-FM(현재는 HLKV-SFM), 주파수 FM 95.9&nbsp;MHz, 출력 10㎾, 스테레오로 방송)
* [[1988년]] [[7월 1일]] - AM·표준FM·음악FM 종일 방송 개시(AM·표준FM·음악FM의 월요일 ~ 토요일까지는 24시간, AM·표준FM의 일요일은 새벽 5시 ~ 익일 새벽 3시까지 22시간, 음악FM의 일요일은 새벽 5시 ~ 익일 새벽 2시까지 21시간 방송)
* [[1988년]] [[9월 17일]] ~ [[10월 2일]] - [[1988년 하계 올림픽|88 서울 올림픽]] 생방송으로 [[KBS]]와 공동중계.
* [[1988년]] [[12월 31일]] - 1988년 12월 26일 시행된 방송문화진흥회법에 따라 [[방송문화진흥회]]가 설립되었다. 위 법의 취지는 당시 [[한국방송공사]]가 소유하고 있던 주식회사 문화방송의 주식을 방송문화진흥회가 출연받고, 방송문화진흥회는 동 주식을 정부 또는 외부의 간섭없이 독자적으로 운용·관리함으로써 동 문화방송의 공정성과 독자성을 보장하고, 나아가 방송문화의 발전 및 공공복지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었다.<ref>{{웹 인용 |url= http://www.law.go.kr/LSW/RvsDocNRsnP.do?lsiSeq=4337&languageType=KO|제목= 방송문화진흥회법 개정 이유 |확인일자=2009-06-29 |출판사=법제처 }}</ref>
* [[1989년]] [[12월 14일]] - 프로야구단 [[MBC 청룡]]을 [[LG 그룹]]에 130억원에 매각함.
* [[1990년]] [[4월 1일]] - CP(Chief Producer)제 확대 실시.
* [[1990년]] [[7월 2일]] - 《MBC 방송 강령》 선포.
* [[1990년]] [[10월 15일]] - TV문자방송(MINDS : 마인즈) 개국.
 
[[파일:The 36th GSA - public hearing.JPG|thumb|MBC [[뉴스]] 취재현장<br />([[한양대학교]] [[한양대학교 총학생회|총학생회]] 공청회 현장)]]
 
=== [[멀티미디어]] 시대([[1991년]] ~ [[2000년]]) ===
* [[1991년]] [[4월 22일]] - 《MBC 프로덕션》, 《MBC 미디어텍》 창립.(현 [[MBC C&I]])
* [[1991년]] [[6월 1일]] - 《MBC 방송문화원》 창립.
* [[1991년]] [[7월 11일]] - 미주방송지사 설립.
* [[1991년]] [[9월 9일]] - 《MBC 예술단》 창립.
* [[1991년]] [[12월 2일]] - MBC 창사 30주년 기념식.
* [[1991년]] [[12월 17일]] - MBC 인력개발센터 설립.
* [[1992년]] [[1월 5일]] - MBC 30년사 발간.
* [[1992년]] [[7월 1일]] - 《MBC 미술센터》 창립.
* [[1993년]] [[1월 12일]] - 사내복지기금 설립.
* [[1993년]] [[3월 17일]] - [[강성구]] 사장 취임.
* [[1993년]] [[3월 22일]] - 《연합광고》에서 《MBC 애드컴》으로 상호 변경.
* [[1993년]] [[4월 10일]] - 문자방송(MINDS) 폐지.
* [[1993년]] [[7월 22일]] - 신사풍운동추진팀 구성.
* [[1993년]] [[12월 4일]] - 《문화방송 창사 32주년 특집 [[MBC 뉴스데스크]]》 명동 특별 스튜디오에서 진행
* [[1994년]] [[4월 25일]] - [[일산구|일산]]신사옥 부지 매입 및 부지 착수.
* [[1994년]] [[6월 18일]] - 사원이사회 출범.
* [[1995년]] [[2월 1일]] - 팀제 전사적 도입.
* [[1995년]] [[3월 6일]] - SNG 5원 생방송 성공.
* [[1995년]] [[4월 1일]] - [[음악]]FM 종일 방송 전면 실시.
* [[1995년]] [[10월 1일]] - MBC 인터넷 TV프로그램 실시간 생중계.
* [[1995년]] [[11월 13일]] - 방송용 헬리콥터 도입.
* [[1995년]] [[12월 9일]] - 전국문화방송노동조합 출범.
* [[1996년]] [[3월 1일]] - MBC 인터넷 홈페이지 (www.mbc.co.kr) 개설.
* [[1996년]] [[5월 31일]] - MBC 스포츠를 2002 [[FIFA 월드컵|월드컵]] 유치를 위한 응원단을 구성.
* [[1996년]] [[1996년 9월|9월]] - MBC 인터넷을 통해 TV 프로그램 실시간 생중계 개시.
* [[1996년]] [[1996년 10월|10월]] - [[유럽]] 3개 지사 통합 운영([[파리 (도시)|파리]], [[런던]], [[본 (독일)|본]]).
* [[1996년]] [[1996년 11월|11월]] - 방송용 [[헬리콥터]] 도입(벨-412).
* [[1997년]] [[1997년 3월|3월]] - MBC [[일산신도시|일산]]제작센터를 실사 설계.
* [[1997년]] [[3월 10일]] - MBC 도쿄지국을 일본 후지TV 카와다쵸 사옥에서 오다비아 사옥으로 이전.
* [[1997년]] [[7월 2일]] - 한솔PCS 유상증자에 32억 원 청약키로 의결.
* [[1997년]] [[8월 1일]] - [[양주시|양주]] 스튜디오 준공.
* [[1997년]] [[1997년 9월|9월]] - DSNG 네트워크(M-SAT) 완전 개통.
* [[1998년]] [[4월 10일]] - MBC 연중기획 "실업은 고통과 함께를 있습니다" 실시
* [[1998년]] [[5월 1일]] - IMF 비상대책 노사협의회 구성.
* [[1999년]] [[3월 9일]] - [[노성대]] 사장 취임.
* [[1999년]] [[5월 11일]] - [[만민중앙교회]] 신도들이 주조종실에 난입하여 MBC-TV의 사상 첫 방송중단 사태가 발생.
* [[1999년]] [[12월 30일]] - 공적기여금 100억 원 기탁.
* [[2000년]] [[3월 11일]] - 《[[인터넷]] MBC》(iMBC) 창립.
* [[2000년]] [[4월 10일]] - 《MBC 프로덕션》, 《MBC 예술단》 합병.
* [[2000년]] [[7월 7일]] - 《인터넷 MBC》(iMBC) 개국. (www.imbc.com) 사이트 개설.
* [[2000년]] [[9월 1일]] - [[경영]]센터 입주.
 
[[파일:MBC headquarter buld.jpg|thumb|[[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 사옥 시절의 문화방송]]
[[파일:MBC relay van.jpg|thumb|MBC HDTV 중계차]]
 
=== [[디지털]] 시대([[2001년]] ~ [[2010년]]) ===
* [[2001년]] [[2월 21일]] - 《MBC Plus》 설립.
* [[2001년]] [[3월 9일]] - [[김중배]] 사장 취임.
* [[2001년]] [[4월 11일]] - [[일본]] [[FM후쿠오카]]와 방송협력협정 체결.
* [[2001년]] [[4월 14일]] - 방송사 최초 프로그램 모니터 그룹 《아이러브 엠비씨》 개설.
* [[2001년]] [[9월 10일]] - MBC 방송편성규약 제정.
* [[2001년]] [[2001년 12월|12월]] - 2002 연중캠페인 《정정당당 코리아》확정 / DTV 방송 개시.
* [[2002년]] [[5월 30일]] - 디지털 TV를 이용한 데이터방송 실험서비스 실시.
* [[2002년]] [[8월 24일]] - 한중수교 10주년을 기념해 [[CCTV]] 합동 콘서트를 개최.
* [[2003년]] [[2003년 3월|3월]] - [[이긍희]] 사장 취임.
* [[2003년]] [[2003년 12월|12월]] - [[일산 신도시|일산]] 제작센터 개발 약정서 조인 / DTV 중계시설용 파주 TVR 건립.
* [[2004년]] [[2004년 7월|7월]] - 일산 제작센터 착공, 《베스트극장 “늪”》이 몬테카를로 TV페스티벌 드라마 부분 최고 작품상 수상.
* [[2004년]] [[2004년 9월|9월]] - ABU상 TV 어린이 청소년 부문 대상 수상 《사과나무 - 수동이의 과거를 묻지 마세요》/ 지상파 DMB 채널 운용협정.
* [[2004년]] [[2004년 12월|12월]] - 아시아TV Award 올해의 지상파 방송사 상, 최우수 작품상 등 수상(4개 부문).
** 시사 부문 《[[PD수첩]] - 탄핵정국, 기로에 선 국민》
** [[다큐멘터리]] 부문 《MBC 스페셜》 - 해외 입양 50년 특별 기획 2부
** [[텔레비전 프로그램|드라마 부문]] 《다모》
** 예능 부문《[[일요일 일요일 밤에]]》 - 〈러브 하우스〉
* [[2004년 12월]] - [[대장금]] 테마파크 개장.
* [[2004년]] [[12월]] -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채널 운용 협정.
* [[2005년]] - MBC·[[EBS]], [[CJ미디어]] 2005년 공동캠페인 《[[교육]]이 미래다》중장기 MBC 글로벌 전략 : "One MBC, Worldwide MBC"
* [[2005년]] [[2005년 1월|1월]] - [[최문순]] 사장 취임.
* [[2005년]] [[1월 3일]] - 새 CI(Corporate Identity) 도입.
* [[2005년 1월]] - 사회공헌센터 신설.
* [[2005년]] [[1월 21일]] - [[코스닥]] (IMBC)상장.
* [[2005년]] [[1월 23일]] - [[해피타임]] 첫 방송.
* [[2005년]] [[2005년 2월|2월]] - MBC 글로벌 사이트(http://content.mbc.co.kr) 를 오픈 및 운영에 들어감.
* [[2005년]] [[2005년 6월|6월]] - 《Worldwide MBC》, 글로벌 전략 본격 추진.
** 글로벌 사업본부 신설(6월).
** [[일본]], [[중화인민공화국|중국]]지사 설립(11월)
* [[2005년]] [[2005년 9월|9월]] - MBC [[윤리]]강령 제정, 윤리 경영 강화. [[SK텔레콤]], MBC, [[Q채널]]공동기획캠페인 사람을 향합니다 캠페인 첫방송 (방송기간은 2005년 9월 5일부터 2009년 12월 30일)
* [[2005년]] [[2005년 10월|10월]] - INPUT(국제 공영TV 컨퍼런스), 2011년 개최지로 MBC 개최 유치(창사 50주년 기념).
* [[2005년]] [[2005년 12월|12월]] - 지상파DMB 개국([[MBC DMB]])
* [[2005년]] [[12월 1일]] - [[평일]] 낮 방송 개시
* [[2005년]] [[2005년 12월|12월]] - 《대장금 테마파크》 개장 1주년, 연 인원 30만 명 방문.
* [[2006년]] [[2006년 4월|4월]] - DTV 데이터방송 시험 서비스 및 본방송 준비, 용인 대장금 파크 (舊 MBC 드라미아) 건설 준비.
* [[2006년 4월]] - MBC 워너브라이스를 채결.
* [[2006년]] [[4월]] - MBC 창작동요제를 [[금강산]]에서 개최.
* [[2006년]] 4월 - 공동 마케팅의 일환으로 [[아시아나항공]]과 《대장금호》(HL7514 등)를 출항.
* [[2006년]] [[2006년 6월|6월]] - 데이터방송 시작.
* [[2006년]] [[2006년 9월|9월]] - Mini([[인터넷]] [[라디오]] 방송 [[서비스]]) 시작.
* [[2006년]] [[2006년 11월|11월]] - IPTV 시범서비스(40일간).
* [[2006년 11월]] - [[MBC 대학가요제]] 30주년<ref>MBC 대학가요제는 [[1977년]]에 시작되었으므로 2006년을 기준으로 할 때 29주년이 되어야 하나, 서른 번째로 개최된 만큼 이를 기념하여 30주년으로 표기하였다.</ref>.
* [[2007년]] [[5월 5일]] - [[MBC 창작동요제]] 24주년.
* [[2007년]] [[6월 1일]] - MBC중장기 비전 'MEGAMIND 30' 공표.
* [[2007년]] [[11월 30일]] - MBC 드림센터(일산 제작센터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호수로 596 ([[장항동|장항2동]] 869) 완공.
* [[2008년]] [[2월 29일]] - 문화방송 주주총회를 통해 [[엄기영]] 전 [[MBC 뉴스데스크]] 앵커를 제27대 사장으로 선임.
* [[2008년]] [[2008년 12월|12월]] - 방송문화진흥회 창립 20주년.
* [[2009년]] - MBC 연중기획 : MBC 경제살리기 캠페인 《사람이 희망입니다》.
* [[2010년]] [[2월 26일]] - 주주총회를 통해 제28대 사장으로 [[청주MBC]] 사장이었던 [[김재철]] 선임.
* [[2010년]] [[2월 27일]] - 키자니아 서울 내 'TV 스튜디오'와 '라디오 스튜디오' 체험관 개장. 이 날 MBC 플레이비가 키자니아 서울을 개장하였다.
* [[2010년]] [[5월 5일]] - [[MBC 창작동요제]] 제28회 마지막 방송 및 폐지
* [[2010년]] [[6월 30일]] - MBC 스포츠 환원 사명변경.
* [[2010년]] [[8월 1일]] - MBC 스포츠 플러스 채널명 변경.
* [[2010년]] [[9월 1일]] - [[MBC 경기인천지사]](현 MBC 서울경인지사) 개소.
* [[2010년]] [[10월 5일]] - [[MBC 뉴스데스크]] 방송 40주년 특집.
* [[2010년]] [[11월 6일]] - 주말 [[MBC 뉴스데스크]]가 9시에서 8시로 방송시간 이동
 
=== 다채널 시대([[2011년]] ~ 현재) ===
* [[2011년]] [[1월 3일]] - MBC나눔 출범
* [[2011년]] [[9월 1일]] - [[창원문화방송|창원MBC]]·[[진주문화방송|진주MBC]] 통폐합으로 [[MBC경남]]으로 출범 (18개 지역 계열사)
* [[2011년]] [[12월 2일]] - MBC 창사 50주년
* [[2012년]] [[11월 5일]] - 평일 [[MBC 뉴스데스크]]가 9시에서 8시로 방송시간 이동
* [[2012년]] [[12월 31일]] - 새벽 4시 수도권에서 지상파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 종료.
* [[2013년]] [[1월 1일]] - 24시간 종일방송 실시.
* [[2013년]] [[3월 26일]] - 방문진 MBC 김재철 사장 해임.
* [[2013년]] [[3월 27일]] - MBC 김재철 사장 사퇴.
* [[2013년]] [[4월 28일]] - MBC에서 FIG 리듬체조 월드컵(이탈리아, 불가리아, 벨라루스), [[리듬체조]] 아시아선수권대회 등 [[손연재]]선수 출전 단독 생중계
* [[2013년]] [[2013년 7월|7월]] - 상암동 DMC의 MBC신사옥 방송미디어센터 건립 준공완료.
* [[2013년]] [[10월 16일]] - 지상파 디지털 TV방송 채널 재배치
* [[2014년]] [[2014년 2월|2월]] - 방문진 MBC 안광한 사장 취임.
* [[2014년]] [[8월 3일]] - 여의도 사옥 시대 마감.
* [[2014년]] [[8월 4일]] -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동 (서울)|상암동]]의 신사옥에서 [[MBC 뉴스투데이]], [[MBC 이브닝 뉴스]], [[MBC 뉴스데스크]], [[MBC 뉴스 24]] 등 방송을 전파로 송출.
* [[2014년]] [[9월 1일]] - 여의도 사옥 시대를 마감하고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동 (서울)|상암동]]의 [[상암 MBC 신사옥|신사옥]]으로 공식 준공·이전함.
* [[2014년]] [[9월 2일]] - 일본 후지TV 서울지국 문화방송 상암동 신사옥 이전
* [[2015년]] [[1월 1일]] - [[강릉문화방송|강릉MBC]]·[[삼척문화방송|삼척MBC]] 통폐합으로 [[MBC강원영동]]으로 출범 (17개 지역 계열사)
* [[2015년]] [[12월 2일]]- MBC 창사 54주년
* [[2016년]] [[4월 3일]] - [[해피타임]] 11년만에 종영
* [[2016년]] [[4월 8일]] - 키자니아 부산 내에 'TV 스튜디오'와 '라디오 스튜디오' 체험관 개장. 이 날 MBC플레이비가 키자니아 부산을 오픈한다.
* [[2016년]] [[10월 1일]] - [[청주문화방송|청주MBC]]·[[충주문화방송|충주MBC]] 통폐합으로 [[MBC충북]]으로 출범 (16개 지역 계열사)
* [[2016년]] [[12월 19일]] - [[MBC FM4U]] 1971년 개국 이후부터 함께한 남산 송신소 시대 마감과 더불어 관악산 송신소로 이전 완료. 이로써 그간 난청지역 이던 인천시, 수원시, 안양시, 용인시 등 경기도내 18개시,군 지역에서도 수신이 가능하게 됨.
* [[2017년]] [[2월 24일]] - 방문진 MBC 김장겸 사장 취임.
* [[2017년]] [[2월 28일]] - 지상파 3사 공동 UHD 실험방송 개시.
* [[2017년]] [[5월 31일]] - MBC UHD 방송개국
* [[2017년]] [[9월 16일]] - [[11월]] 공영방송 총파업으로 인해 24시간 종일방송 중단 (무기한 지속)
 
== 사가 ==
청록파 시인 [[박목월]]에 의해 작사되었으며, [[손석우]]에 의해 작곡되었다. 1974년경부터 문화방송의 사가로 사용되고 있다. 이 사가는 iMBC 홈페이지와 타 지역 제휴국의 라디오의 방송 시작 종료 멘트에서 들을 수 있다.
 
사가 가사에서 "우리 문화방송" 부분은 원래 "우리 문화경향", "MBC 문화방송" 부분은 원래 "MBC 경향신문"이었지만 1980년 언론 통폐합에 따라 지금과 같은 가사로 바뀌었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5072500329203008&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5-07-25&officeId=00032&pageNo=3&printNo=9178&publishType=00020 社歌(사가)] 1975년 7월 25일 경향신문</ref>
 
{{인용문|
'''1절'''
:세계로 향하여 펼친 네트웍
:오늘의 산 역사를 바로 잡아서
:빠르고도 알찬 방송 정확한 보도
:사회에 불을 켜는 우리 문화방송
 
'''2절'''
:폭넓게 대중의 뜻을 모아서
:찬란한 내일로 뻗어 나가는
:슬기롭고 밝은 방송 신속한 보도
:영광의 선두주자 우리 문화방송
 
'''후렴'''
:날마다 즐거운 꿈을 심으며 새 역사 가꾸는 우리의 보람
:MBC 문화방송 빛의 메아리}}
 
== 방송 ==
=== TV방송 ===
{{본문|MBC TV}}
 
=== 라디오방송 ===
{{본문|MBC 표준FM}}
{{본문|MBC FM4U}}
 
=== 지상파DMB방송 ===
{{본문|MBC DMB}}
 
== 사옥 ==
=== 변천 과정 ===
* [[1961년]] [[12월 2일]] ~ [[1969년]] [[8월 7일]] : 라디오 개국 [[종로구]] [[인사동]](현재의 덕원 갤러리 사용).
* [[1969년]] [[8월 8일]] ~ [[1982년]] [[3월 16일]] ~ [[1986년]] [[4월 28일]] : 텔레비전 개국 [[중구 (서울특별시)|중구]] [[정동 (서울)|정동]](현재의 [[경향신문]] 사용).
* [[1982년]] [[3월 17일]], [[1986년]] [[4월 29일]] ~ [[2014년]] [[8월 3일]] :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96 ([[여의도동]] 31)번지.
* [[1997년]] : [[경기도]] [[양주시]]에 양주 스튜디오 준공.
* [[2000년]] : [[영등포구]] [[여의도동]]에 경영센터 입주.
* [[2007년]] [[11월 30일]] : [[고양시]] [[일산동구]] [[장항동]]에 일산 드림센터 준공.
* [[2013년]] [[7월]] : [[마포구]] [[상암동 (서울)|상암동]]의 [[디지털 미디어 시티]]에 방송영상제작센터 준공.
* [[2014년]] [[9월 1일]] :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동 (서울)|상암동]]의 신사옥으로 공식 준공 이전함.
 
=== 현황 ===
 
* '''[[상암 MBC 신사옥|상암 신사옥 (본사)]]'''
** 공사기간 : [[2010년]] [[6월 18일]] ~ [[2013년 7월]]
** 지하3층, 지상14층 / 건축면적 : 34,209m² / 연면적 : 148,737m² <ref>[http://www.youtube.com/watch?v=Zzo_Z0FrM6w MBC 상암 신사옥 및 각 스튜디오 소개]</ref>
** 舊 여의도 사옥과 일산 MBC 드림센터 사옥을 합친 규모보다 더 크며 축구장 21개의 규모에 해당한다. 제작스튜디오 5곳, 뉴스스튜디오 2곳, 음향스튜디오 7곳, 매직스튜디오 1곳이 위치해있다.
** 경영센터, 방송센터, 미디어센터 (내부)
[[파일:MBC Ilsan Dream Center.JPG|200px|thumb|일산드림센터]]
* '''[[여의도 구사옥]]'''
** 공사기간 : [[1979년]] [[9월 11일]] ~ [[1982년]] [[3월 17일]] <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2031700329207009&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2-03-17&officeId=00032&pageNo=7&printNo=11220&publishType=00020 MBC 신길 스튜디오 준공 경향신문] 1982년 3월 17일자</ref>
** 지하2층, 지상10층 / 건축면적 : 37,795m² / 연면적 : 102,390m²
** 본사로서 뉴스 및 시사교양, 라디오, 예능등 다용도 기능을 가지고 있다. 다용도스튜디오 1곳, 드라마스튜디오 2곳, 공개홀 1곳, 소형스튜디오 2곳이 위치하고 있다.
** 경영센터 (외부)
** [[2014년]] [[8월 3일]] 부터 방송 송출 중단 및 여의도 시대 마감.
* '''MBC일산드림센터'''
** 공사기간 : [[2004년]] [[2004년 9월|9월]] ~ [[2007년]] [[2007년 7월|7월]] <ref>[건축환경설비 정보] MBC드림센터 건축음향 공사] <한국건축환경설비학회> 2008년</ref>
** 지하4층, 지상10층 / 건축면적 : 11,736m² / 연면적 : 78,274m²
** 한국 최대 규모의 복층스튜디오로 구성되어 있다. 드라마와 예능프로그램 제작이 주요 기능이며, 2층에 예능스튜디오 2곳, 공개홀 1곳이 위치해있고, 7층에 드라마스튜디오 3곳이 위치하고 있다.
 
== 역대 사장 ==
{| class="wikitable"
! 역대 (대수)
!이름
! 임기
!style="width: 50%;" | 비고
|-
! 1대 ~ 3대
|align=center|[[김지태]]|| [[1961년]] [[2월]] ~ [[1963년]] [[3월]] || 부일장학회 이사장 & 부산일보 사장 & 삼화고무 회장
|-
! 4대
|align=center|[[고원증]]|| [[1963년]] [[3월]] ~ [[1964년]] [[8월]] || 제13대 [[대한민국 법무부|법무장관]]
|-
! 5대
|align=center|[[황용주]]|| [[1964년]] [[8월]] ~ [[1965년]] [[3월]] ||
|-
! 6대 ~ 8대
|align=center|[[조증출]]|| [[1965년]] [[3월]] ~ [[1971년]] [[6월 30일]] ||
|-
! 9대 ~ 12대
|align=center|[[이환의]]||[[1971년]] [[6월 30일]] ~ [[1980년]] [[7월 8일]] || 제17대 전라남도 지사 & 14대 국회의원 & [[한나라당]] 부총재
|-
! 13대
|align=center|[[이진희 (언론인)|이진희]]|| [[1980년]] [[7월 8일]] ~ [[1982년]] [[6월 7일]] || 9대 국회의원 & 문화부 장관
|-
! 14대 ~ 15대
|align=center|[[이웅희 (1931년)|이웅희]]|| [[1982년]] [[6월 7일]] ~ [[1986년]] [[2월 17일]] ||
|-
! 16대
|align=center|[[황선필 (1939년)|황선필]]|| [[1986년]] [[2월 17일]] ~ [[1988년]] [[8월 29일]] || [[청와대]] 공보수석비서관
|-
! 17대 ~ 19대
|align=center|[[김영수 (1935년)|김영수]]|| [[1988년]] [[9월]] ~ [[1989년]] || 강서케이블TV 대표이사 사장 & 10대 국회의원
|-
! 20대
|align=center|[[최창봉]]|| [[1989년]] ~ [[1993년]] [[2월]] || [[대한방송]] PD
|-
! 21대
|align=center|[[강성구]]|| [[1993년]] [[3월 17일]] ~ [[1996년]] [[6월 15일]] || 16대 국회의원 & MBC 보도국 국장 & 뉴스데스크 앵커
|-
! 22대
|align=center|[[이득렬]]|| [[1996년]] [[7월 22일]] ~ [[1999년]] [[3월 8일]] || 뉴스데스크 앵커 & 한국관광공사 사장
|-
! 23대
|align=center|[[노성대]]|| [[1999년]] [[3월 9일]] ~ [[2001년]] [[3월 9일]] || 광주MBC 사장 & 한국비디오프로덕션 전무이사 & 한국방송광고공사 사장 & 방송위원회 위원장 & 광주문화재단 대표이사 & 성균관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겸임교수
|-
! 24대
|align=center|[[김중배]]|| [[2001년]] [[3월 9일]] ~ [[2003년]] [[3월]] || 한국일보 기자 & 한겨레 신문 사장 & 동아일보 편집국장
|-
! 25대
|align=center|[[이긍희]]|| [[2003년]] [[3월]] ~ [[2005년]] [[2월 25일]] || 경기문화재단 대표이사
|-
! 26대
|align=center|[[최문순]]|| [[2005년]] [[2월 25일]] ~ [[2008년]] [[2월 28일]] || 제18대 국회의원 & 민선 5~6기 강원도지사 & MBC 노조위원장
|-
! 27대
|align=center|[[엄기영]]|| [[2008년]] [[2월 29일]] ~ [[2010년]] [[2월 8일]] || 뉴스데스크 앵커 (1989년 ~ 1996년, 2002년 ~ 2008년) & 제4대 경기문화재단 대표이사
|-
! 28대
|align=center|[[김재철]]|| [[2010년]] [[2월 26일]] ~ [[2013년]] [[3월 26일]] || 울산MBC 사장 & 청주MBC (現 MBC 충북 청주방송국) 사장 & 도쿄 특파원 & MBC 보도국 부국장, MBC 보도제작국 국장
|-
! 29대
|align=center|[[김종국 (사장)|김종국]]|| [[2013년]] [[5월 3일]] ~ [[2014년]] [[2월 24일]] || 대전MBC 사장 & MBC경남 (前 창원문화방송·진주문화방송) 사장 & LA 특파원
|-
! 30대
|align=center|[[안광한]]|| [[2014년]] [[2월 25일]] ~ [[2017년]] [[2월 24일]] || 제20대 한국방송협회 회장 & MBC 미디어 플러스 사장 & 한류기획단 공동단장
|-
! 31대
|align=center|[[김장겸]] || [[2017년]] [[2월 25일]] ~ [[2017년]] [[11월 8일]] || 런던 특파원 & 양형위원회 양형위원 & 보도국 보도본부장
|}
 
== 회사 ==
=== 조직 ===
{{Col-begin}}
{{Col-2}}
* 7본부 29국(지사/실/단) 8센터 99부 (총국/소) ([[2017년]] 기준)
* '''사장 : [[김장겸]]'''
** 감사국 : 감사1·2부
** 비서실
* '''기획본부 : [[최기화]]'''
** 기획국 : 정책기획부, 정책협력부, 예산기획부, 법무실
** 관계회사국 : 계열사부, 자회사부
** 홍보국 : 정책홍보부, 시청자홍보부
** 경영지원국 : 총무부, 인사부, 인재개발부, 재무운영부, 정보콘텐츠부
** 매체전락국 : 그룹유통전략부, 신매체개발부, 미래방송연구소
* '''부사장 : [[백종문]]'''
** 특임사업국
** 심의국 : TV심의부, 라디오심의부
* '''편성제작본부 : [[김도인]]'''
** 뉴미디어포맷개발센터
** 편성국 : 편성기획부, TV편성부, 편성콘텐츠부
** 시사제작국 : 시사제작1~4부
** 라디오국 : 라디오편성사업부, 라디오제작 1~4부
** 아나운서국 : 아나운서1~2부
* '''보도본부 : [[오정환]]'''
** 통일방송연구소, 보도전략부, 보도운영부
** 보도부 : 영상편집부
*** 취재센터 : 정치부, 경제부, 사회1/2부, 전국부, 문화레저부, 정보과학부, 국제부, 기획취재부
*** 편집1센터 : 뉴스데스크 편집부, 주말뉴스부, 컴퓨터그래픽부
*** 편집2센터 : 뉴스투데이 편집부, 주간뉴스부
** 스포츠국 : 스포츠 취재부, 스포츠 제작부, 스포츠 기획사업부
** 뉴미디어뉴스국 : 온라인뉴스부, 뉴스사업부
** 논설위원실
** 보도NPS준비센터
{{Col-2}}
* '''드라마본부 : [[이주환]]'''
** 드라마운영부, 드라마마케팅부
** 드라마국 : 드라마1~4부
** 드라마R&D센터
* '''예능본부 : [[이흥우]]'''
** 예능운영부, 드라마마케팅부
** 예능1국 : 제작1~4부
** 예능2국 : 기획특집부, 해외제작부
* '''방송인프라본부 : [[김성근]]'''
** 디지털기술국 : 기술관리부, TV송출부, 송신부, 기술연구소
** 제작기술국 : 제작기술부, 영상기술부, 종합편집부, 중계부, 보도기술부, 라디오기술부
** 영상미술국 : 영상1부, 영상2부, 미술부
* '''미디어사업본부 : [[윤동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