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호의 난: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출처가 필요한 내용 고려사에는 탐라 여인등의 글은 하나도 쓰여있지 않다
56번째 줄:
 
== 영향 ==
탐라에서 일어난 목호의 난을 진압함으로써 목호들과 그 자녀들 모두는 3대째 몰살당했고 그때까지 반은 고려, 반은 몽골의 세력 아래 있던 제주는 완벽하게 고려에 귀속되었고, 제주는 전보다 더 많은 마필 공납 요구에 시달렸다. [[우왕]](禑王) 5년([[1379년]])부터 [[공양왕]](恭讓王) 4년([[1392년]])까지 고려에서 명에 바친 약 3만 필의 말 가운데 2만 필 이상이 탐라산 말이었다. 공민왕 19년([[1370년]])에 고려가 과거의 연고를 내세워 탐라를 고려가 관할하게 해달라고 통지했을 때조차 이를 바로 인정하거나 공식적으로 부인하는 입장을 밝히지는 않은 채 고려를 강압해 탐라의 말을 가져가는 데에만 열을 올렸던 명은 우왕 12년([[1386년]])에 사실상 말을 바치라는 탐라 말 구매 의사를 고려에 전달했다가 이듬해에 철회하면서 고려 조정의 제주도 영유권을 비로소 인정했다.
 
국내 정세로써는 최영이 제주도로 내려가 있는 사이에 개경에서는 공민왕이 시해되었고, 명의 사신은 3백 필의 말을 가지고 돌아가던 중 개주참(開州站)에서 호송을 맡았던 고려의 관리 김의에 의해 피살되어, 고려와 명의 외교관계는 험악해지게 되었고, 명의 [[철령위]](鐵嶺衛) 설치 통보에서 최영 등에 의해 [[요동 정벌]] 시도가 촉발되었다. 이때 팔도도통사(八道都統使)로써 직접 정벌군을 지휘하려는 최영을 우왕은 "선왕(공민왕)이 시해된 것은 경(최영)이 남쪽(제주)으로 정벌하러 나가서 개경에 아무도 없었기 때문"<ref name="Goryeosa"></ref>이라며 한사코 자신의 곁에 붙잡아두려 하였고, 결국 최영 대신 요동정벌군을 지휘하게 된 우군도통사(右軍都統使) [[이성계]](李成桂)가 [[위화도]](威化島)에서 군사를 돌려([[위화도 회군]]) 최영을 처형하고 우왕을 폐위시킴으로써, [[조선]] 건국의 단초를 마련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