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림: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13번째 줄:
==수행 대 믿음==
불교는 철저한 수행을 중요시하는 소승불교와 수행 보다는 믿음을 중요시하는 대승불교로 나뉘어진다. 3세기 대승불교의 아버지로 불리는 제14대 조사 [[나가르주나|용수]] 스님은 기존 불교를 소승불교라 비하하는 명칭을 붙여가며, 자신의 새로운 교단을 대승불교라고 주장했다. 기존 소승불교의 수많은 계율을 대폭 삭제하였으며, 오랜기간 수행하는 수행중심 불교를 매우 짧은 [[반야심경]]을 승속이 모두 외우게 하여 믿음중심 불교로 개혁했다. 그러나 다시 100년이 지나서 4세기에 후기대승불교를 일으킨 제21대 조사 [[바수반두|세친]] 스님이 믿음중심 불교를 수행중심 불교로 또다시 혁신했다. 세친 스님은 원래 당대 소승불교 최고 경지의 스님이었다. 대승불교로 개종했다지만, 모든 소승불교 이론을 다 가져와 대승불교에 편입시켜, 믿음중심 대승불교가 수행중심 소승불교로 매우 비슷하게 바뀌었다.
 
수행중심 불교를 비판하며 대승불교를 창시한 용수스님이라고 해서, 수행을 전혀 안하는 것은 아니다. 석가모니는 29세에 출가하여, 1년은 당대 최고의 명상 스승을 찾아다녔고, 2년차 부터 5년차까지 4년 동안은 3명의 당대 최고 명상 스승으로 부터 최종단계 까지 명상 수행법을 배운다. 그리고 수자타로 부터 우유를 받아먹고 나서 1년 동안 오로지 혼자서 독자적인 명상 수행을 하여 깨달았다. 즉, 진정한 명상 수행은 겨우 1년간만 했다. 그런데 소승불교는 석가모니의 1년 명상과는 달리, 평생의 명상 수행을 주장했다. 이의 폐해를 지적한 것이 용수스님이며, 용수스님이 석가모니의 1년 수행 조차도 하지 않는 불교를 주장한 것은 아니다.
 
==깨달음의 정의==
보림에 대한 찬반의 견해대립은, 근본으로 돌이켜 보면, 불교에서 말하는 깨달음이란 도대체 무엇인가? 라는 깨달음의 정의에 대한 견해대립까지로 이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