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림팀: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문단 이름 변경 (외부 고리 → 외부 링크)
Huzzlet the bot (토론 | 기여)
잔글 로봇의 도움을 받아 동음이의 처리: 김현철 - 김현철 (1959년) 문서로 링크 바꿈
1번째 줄:
'''미림팀'''(美林-)은 [[1991년]] [[9월]]부터 [[1998년]] [[11월]]까지 [[대한민국 제6공화국|제6공화국]]과 [[문민정부]] 시절의 [[국가안전기획부]]가 운영하던 비밀 도청팀이었다. 미림팀은 안기부 차원의 정보수집 과학화 방침에 따라 [[1991년]] [[9월]]부터 운영되기 시작했다.<ref name="mirins">[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79&aid=0000049159 오정소 전 안기부 1차장 지시로 미림팀 재건] 노컷뉴스 2005.08.05</ref> [[1993년]] [[2월]] [[문민정부]] 출범 이후에도 계속 운영되었다. 미림팀은 그러나 김영삼 정부가 들어서면서 [[1993년]] [[7월]] 조직개편과 함께 해체됐다.<ref name="mirins"/> 그러나 [[1994년]] [[6월]] 재조직되었다.
 
미림팀은 [[안기부]]에 의해 야당 인사 외에 정부 고위직 인사, 여당인 [[민주자유당]] 내의 반[[김영삼]] 세력, 재벌을 비롯한 각종 기업인 등 다양한 인사들에 대해 광범위하게 이루어졌다. 미림팀의 도청정보 일부는 [[김영삼]] [[대통령]]에게까지 보고되었다. 뿐만 아니라 이 정보는 [[대통령]]의 차남 [[김현철 (1959년)|김현철]] 씨와 [[이원종]] 당시 [[청와대]] 정무수석 등의 실세에 보고돼 정치에 활용되었다.<ref name="daethong">[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19&aid=0000123713 "미림팀 도청정보, 대통령에게도 보고"] MBN 2005.12.14</ref> 미림팀을 운영한 [[안기부]] 직원 [[공운영]] 등은 정보를 [[오정소]] 당시 2국장 또는 [[김덕]] 안기부장 등에게 직접 보고하거나 [[이원종]] 정무수석, [[김현철 (1959년)|김현철]] 등에게 보고했다 한다. 일부는 [[대통령]] [[김영삼]]에게도 보고되었다.
 
미림팀의 광범위한 도청이 가능했던 것은 한정식집이나 호텔 음식점 등 주요인사들이 자주 찾는 업소의 지배인·종업원을 망원으로 포섭,활용했기 때문이었다.<ref name="dodochong">[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5&aid=0000228939 <nowiki>[</nowiki>‘2차 미림팀’ 수법 어떠했나<nowiki>]</nowiki> 3년5개월동안 5400여명 도청·사찰] 국민일보 2005.12.14</ref> 이들 식당, 호텔, 골프장, 룸살롱 등의 종업원들에게 [[안기부]] 직원들이 접근, 포섭하여 신뢰감이 쌓이면 도청, 녹음, 감청하는 방법을 직접 가르치거나 특수 요원을 파견하여 가르쳤다. 미림팀은 그 대가로 망원의 민형사상 문제,취직 문제 등을 해결해 주고 경제적 지원을 약속했다. 미림팀은 이들에게 도청실적에 따라 매달 20만∼70만원 정도를 지급했다.<ref name="dodochong"/> 미림팀이 각지에 심어놓은 정보망을 통해 여야 인사, 재벌, 반대 세력, 언론인 등 다양한 계층의 일거수 일투족이 [[청와대]]와 [[문민정부]] 실세에게 수시로 보고되었다. 이때의 일부 보고는 [[2005년]] [[7월]] 언론에도 공개되어 [[삼성 X파일 사건]]으로 발전하였다.
 
[[김영삼 정부]] 시절 미림팀이 만들어낸 각종 도청정보는 '[[문민정부]] [[황태자]]'로 불렸던 [[김현철 (1959년)|김현철]]과 [[이원종]] 당시 [[청와대]] 정무수석 등에게 수시로 보고돼 정권 핵심실세들이 정치권을 통제하는 수단으로 악용됐다.<ref name="dodochong"/> 미림팀의 사찰대상은 연인원이 5000명을 넘었고,정치권·언론·검찰·법원 등 거의 모든 유력인사들이 미림팀의 [[도청]]망에 걸려들었다.<ref name="dodochong"/>
 
== 개요 ==
39번째 줄:
전 [[안기부]] 직원들은 [[오정소]], [[공운영]] 등의 지시로 [[1994년]] [[6월]] 재구성 정,관,재계 인사들 불법도청했다 한다. 그러나 도청내용이 이원종-김현철 라인으로 전달됐다는 의혹에 대해서는 전,현직 직원 10여명에 대한 조사 결과 확인되지 않았다고 말했다.<ref name="mirins"/> 국정원은 이와 함께 미림팀을 다시 조직한 것은 오정소 당시 실장의 지시에 의한 것으로 드러났다고만 밝혔다.<ref name="mirins"/> 이들은 하루 1,2개 분량의 테이프를 생산했고 중요 테이프는 일시, 장소, 대화자 이름이 명기된 라벨을 붙여 사무실 캐비넷에 보관해 왔다.<ref name="mirins"/> 한편 미림팀과 함께 도청작업을 수행한 전직 한정식집 지배인은 직접 이곳을 방문해 보관하고 있던 도청기를 전달하고 지시를 받았다고 한다.
 
미림팀의 분소들은 각지의 식당, 룸살롱 등 다양한 곳에 설치되었다. 한 호텔의 객실에는 공운영 외에 전무라고 불리는 2명의 미림팀원들이 있었고 침대 대신 책상 등 사무집기가 있었다. 미림팀은 도청을 위해 고급 한정식집 지배인이나 종업원들에게 아낌 없이 돈을 쓰며 관리하였다. 협조한 업소에 대해서는 세금까지 깎아줬다는 의혹도 제기되어왔다. 미림팀의 운영은 [[김현철 (1959년)|김현철]], [[이원종]] 등에게 사적 정보가 제기된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1996년]] [[안기부]] 운영차장 [[김기섭]]이 면직될 때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그뒤 [[2005년]] 미림팀의 도청 테이프, 비디오 등이 언론에 유출되었는데 이때 비로소 미림팀의 운영이 사실로 드러났다.
 
그러나 [[김현철 (1959년)|김현철]] 자신도 미림팀의 도청대상에서 예외는 아니었다.<ref name="dodochong"/> 미림팀의 사찰대상은 연인원이 5000명을 넘었고,정치권·언론·검찰·법원 등 거의 모든 유력인사들이 미림팀의 도청망에 걸려들었다.<ref name="dodochong"/>
 
[[1997년]] [[11월]]까지 활동한 2차 미림팀은 3년5개월여간 일주일에 5개씩 모두 1000여개의 불법 도청 테이프를 생산한 것으로 추산돼 놀라움을 줬고, 일부 관련자는 퇴직 후를 대비해 불법 도청으로 취득한 테이프를 밀반출해 보관한 것으로 드러났다.<ref name="jungj"/>
56번째 줄:
[[안기부]]의 미림팀이나 국정원이 불법감청 주요 타깃으로 삼은 대상은 정치인과 언론인 등 주요 인사가 망라돼 있다.<ref name="dochchong"/> 미림팀의 경우 여야 정치인, 언론사 사주 등 언론인, 청와대 수석과 [[국무총리]], 보안사령관과 참모총장, 심지어 대통령 아들까지 도청대상이 됐다. 정치인이 283명으로 가장 많았고 공무원, 언론계, 재계, 법조계, 학계 순이었다.<ref name="dochchong"/> 야당 인사 외에 정부 고위직 인사, 여당인 [[민주자유당]] 내의 반[[김영삼]] 세력, 재벌을 비롯한 각종 기업인 등 다양한 인사들이 그 대상이었다.
 
도청 테이프 274개에 들어 있는 최고위층 인사 가운데는 유력 정치인들이 가장 많이 포함됐다. 야당에서는 김대중(金大中) 국민회의 총재와 김종필(金鍾泌) 자민련 총재가 집중 감시 대상이었다. 미림팀은 [[1997년]] [[9월]], [[10월]] 김대중 김종필 전 총재가 ‘DJP 연합’을 하기 위해 회동한 장소에서 주로 도청을 했다. 당시 여당인 [[신한국당]]에서는 [[이회창]](李會昌) 후보, 이 총재와 대선 전 연합한 조순(趙淳) 전 민주당 총재, 신한국당을 탈당해 무소속으로 대선에 출마한 이인제(李仁濟) 후보, [[신한국당]] 대선 후보 경선에 나선 중진 의원 등이 도청 대상이었다. [[김영삼]] [[대통령]]의 차남 [[김현철 (1959년)|김현철]]의 국정 농단을 비판한 여당 중진 의원 상당수도 도청됐다.<ref name="diorais">[http://news.donga.com/3/all/20051207/8254443/1 <nowiki>[</nowiki>미림팀 도청 명단 파악<nowiki>]</nowiki> 최고위층 표적감시…수년간 도청] 동아일보 2005.12.07</ref>
 
언론계의 고위 인사들도 포함됐다. 국내 중앙일간지 사주 4, 5명과 방송사 사장 등 10여 명이 주된 도청 대상이었다. 재계 인사로는 삼성, 현대, LG, 대우, 등 주요 재벌 총수들이 도청당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특히 정권과 국가 정책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상위 4, 5개 재벌 총수가 집중 도청당한 것으로 알려졌다.<ref name="diorais"/> [[2005년]] [[7월]] 무렵 [[검찰]] 당국의 한 관계자는 [[동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도청 테이프 274개에 들어 있는 인사는 ‘고위층 중의 고위층’으로 한정돼 있다”며 “정부 부처 장관은 명함을 내밀기도 어려울 정도”라고 말했다.<ref name="diorais"/> 공운영은 [[2005년]] [[7월]] “([[김영삼]]) [[대통령]]을 제외한 최고위층 인사를 모두 도청했으며 동아 조선일보 등 신문사 사주도 자유롭지 못하다”고 밝혔다.<ref name="diorais"/>
 
한편 [[김현철 (1959년)|김현철]] 자신도 미림팀의 도청대상이 되었다.<ref name="dodochong"/> 미림팀의 사찰대상은 연인원이 5000명을 넘었고,정치권·언론·검찰·법원 등 거의 모든 유력인사들이 미림팀의 도청망에 걸려들었다.<ref name="dodochong"/> 도청 대상은 여당과 정부 인사, 당시 총리, 여당 후보자, 군사정권 출신 인사들과 당시 군출신 인사들의 재판을 담당하는 판사, 검사, 변호사들에게도 적용되었다.
 
미림팀은 3년간 천백70회에 걸쳐 5천4백명을 도청해 온 것으로 밝혀졌다.<ref name="daethong"/> [[2005년]] [[11월 22일]] [[열린우리당]] [[최재천 (1963년)|최재천]]에 의하면 “550여회 출장 갔다면 테이프가 몇개나 되겠느냐.”면서 “테이프가 274개가 전부인 것으로 알고 있지만 더 많을 가능성이 있다.<ref name="gongchi">[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81&aid=0000066851 “미림팀외 별도 도청조직 있었다”] 서울신문 2005.11.23</ref>”는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 당시 [[서울지방검찰청]]에서 압수한 274개의 테이프와 녹취보고서철 13권의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공운영 전 미림팀장의 진술과 테이프 겉면에 붙인 스티커,녹취보고서,공씨가 작성한 도청자료 목록을 통해 드러난 도청의 윤곽은 광범위했다.
88번째 줄:
훗날 수사 과정에서 전 수석 [[이원종]]은 "현철씨에게 가는 정보를 보면 안기부 감청정보가 있는데 나에게는 오지 않아 섭섭하다"는 얘기를 [[박일룡]] 전 차장에게 털어놓기도 했다. 도청정보에서 '급수'가 있었던 셈이다. 검찰은 YS도 도청자료를 보고받았다는 정황을 확인했으나 구체적으로 어느정도 깊게 알았는지에 대해서는 언급을 피하고 있다.<ref name="dodochong"/>
 
[[2005년]] 당시 [[이원종]] 전 수석은 [[검찰]]조사에서 "현철씨가 나보다 먼저 정국상황을 파악하는 일이 있었고, [[정치]]인들의 대화내용을 정리한 보고서를 보내준 적이 있다"고 말했다.<ref name="dodochong"/> 한편 미림팀의 도청은 [[김영삼]]과 정치적으로 갈등하던 [[이회창]] 등에게도 불이익이 가해졌다. [[이회창]]을 지지하는 모임에 다녀온 [[신한국당]] 내 모 인사들은 [[김영삼]]의 측근들 혹은 [[이원종]], [[김현철 (1959년)|김현철]] 등으로부터 추궁당하기도 했다.
 
미림팀의 도청 정보는 정치에 광범위하게 활용됐다. [[2005년]] [[12월 14일]] [[검찰]]의 조사 보고에 의하면 이원종 수석은 96년 12월 이회창 신한국당 총재의 지지세력 확충을 위한 모임의 대화를 미림팀이 도청한 내용을 보고받고 백아무개 의원에게 전화를 걸어 “벌써 움직이면 어떻게 하느냐”고 말했다 한다.<ref name="doors"/> 서모 당시 [[국회의원]]은 [[1996년]] [[이회창]] 총재 지지모임을 가진 뒤 참석자들로부터 "[[이원종]]과 [[김현철 (1959년)|김현철]]로부터 은근히 나무라는 전화가 왔다"는 얘기를 들었다고 털어놨다. 정권 실세들이 도청보고서를 통해 정치권 동향을 거의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정치권에 압력을 넣었다.<ref name="dodochong"/>
 
== 미림팀 운영 과정 ==
=== 미림팀 운영 관련 ===
[[안기부]]의 전직 직원 일부의 증언을 통해 도청 의혹이 제기되었다. [[1994년]] 초 인천지부장으로 있다 대공정책실장으로 부임한 뒤 미림팀 재건을 주도했다는 것이 보좌관을 지낸 전직 국정원 직원 김기삼씨와 전 미림팀장 공씨 등의 공통된 전언이다.<ref name="docong">[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5&aid=0000214110 <nowiki>[</nowiki>도청테이프 파문 확산<nowiki>]</nowiki> 오정소…‘김현철 개입’ 규명 열쇠] 국민일보 2005.08.03</ref> 전 직원 김기삼과 도청팀장 공운영 등에 의하면 당시 그는 미림팀을 운영하며 그 내용을 [[김현철 (1959년)|김현철]]에게 보고했다고 한다.
 
공씨에 의하면 그는 매일 저녁 팀원 2,3명과 함께 한정식집·술집 등으로 작업을 나가 정계·재계·언론계 인사들의 대화내용을 현장에서 도청하는 작업을 지휘했다 한다.<ref name="mirin">[http://news20.busan.com/controller/newsController.jsp?sectionId=1010030000&subSectionId=1010030000&newsId=20050726000019 <nowiki>[</nowiki>안기부 불법도청 테이프 파문<nowiki>]</nowiki> 공 미림팀장·김기삼씨는 누구]</ref> 이렇게 해서 만들어진 녹취록은 곧바로 오정소 실장에게 보고했다. 이는 다시 이원종 김현철씨 등 권력 실세들에게 전달됐다고 한다.<ref name="mirin"/>
106번째 줄:
미림팀의 도청 정보는 일반적으로 팀장인 공씨→과장→부국장→국장으로 이어졌다. 그 뒤 국장이 보고서의 내용에 따라 배포할 곳을 정하고 봉투에 ‘엠(M·미림팀의 이니셜) 보고’라고 쓰고 밀봉한 뒤 안기부장과 차장에게 전달했다.<ref name="doors"/> [[2005년]] [[12월 14일]] [[서울지방검찰청]] 발푱[ 의하면 당시 [[김덕]] [[안기부장]]과 [[황창평]] 차장은 [[보고서]]를 받은 사실을 부인하고 있지만 [[권영해]](68) [[안기부장]]은 인정했다고 검찰은 전했다. 검찰은 “시기에 따라 보고 방식은 일정하지 않으나 어떤 형태로건 [[안기부장]]과 [[안전기획부 차장|차장]]에게 보고됐다”고 밝혔다.<ref name="doors"/>
 
미림팀 도청 정보는 안기부 차장들을 통해 [[김현철 (1959년)|김현철]]과 [[이원종]] 정무수석에게 전해졌다.<ref name="doors"/> 이는 국장 혹은 안기부장, 차장이 전달하는 형식이었다. 사안에 따라서는 국장이 안기부장이나 차장에게 보고하지 않고 직접 들고 와서 이원종 수석이나 김현철, 혹은 대통령 비서실 등에 전달되었다. [[김현철 (1959년)|김현철]]은 도청 정보를 보고받은 것을 부인했으나, 이 수석은 “김현철씨가 나에게 정치인들의 대화 내용을 정리한 보고서를 보내준 일이 있다”고 진술했다.<ref name="doors"/> 오정소 차장도 “내가 미림팀을 관장하는 동안 녹취보고서를 토대로 필요한 내용을 몇 차례 김현철씨에게 보고한 사실이 있다”고 말했다고 검찰은 전했다. 이 수석은 오정소씨가 차장에서 물러난 뒤 임아무개 2국장으로부터 보고를 받았다.<ref name="doors"/>
 
[[김영삼]] 대통령의 차남 [[김현철 (1959년)|김현철]]의 사조직인 '[[경복고]]-[[고려대]](이른바 K2라인)' 직속선배인 오씨는 공씨가 도청을 통해 습득한 정보를 녹취록 형태로 제공받아 공식 보고라인이 아닌 [[이원종]] 전 청와대 정무수석, [[김기섭]] 당시 [[안기부]] 기조실장, [[김현철 (1959년)|김현철]] 등에게 제공했다는 게 당시 안기부 관계자들의 주장이다. 말 그대로 현철씨가 개입된 비밀도청조직의 현장 총책인 셈이다.<ref name="docong"/> 안기부 운영차장과 기조실장을 지낸 [[김기섭]] 등이 사적으로 전달한 정보 외에도 이들이 보고한 정보에 대해서도 논란의 여지가 존재하였다.
 
한편 오정소 등에게 보고했던 공운영은 정권이 바뀐 98년초 직권면직 당했다. 공씨는 소송을 제기했고,복직 결정을 받고는 곧바로 명예퇴직했다.<ref name="mirin"/> 공씨가 취득한 비밀의 민감성을 감안해 국정원은 아직도 공씨를 특별관리 대상으로 분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ref name="mirin"/> 뒤에 공운영은 퇴직금 감액에 대한 소송을 제기했으나 결국 패소하였다.
160번째 줄:
미림팀이 입수한 정보가 어느 선까지 올라갔느냐에 대한 것도 수사 당시 쟁점이 되었다. 미림팀이 작성한 보고서가 누구 선까지 도달했는가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김영삼]]의 측근인 [[박종웅]]은 [[2005년]] [[7월 22일]] '도청에 대해서는 안기부에서 한 일이라 사실 여부를 알 수 없다"면서도 "한 가지 확실한 것은 YS는 그런 보고를 받지도 않았고 받으려하지도 않았다는 것"이라고 연계성을 부인했다.<ref name="julsim"/> 그러나 [[서울중앙지검|서울지검]]의 수사 결과 [[안기부]] 도청조직 미림팀의 불법도청 내용은 당시 김영삼 대통령에게까지 보고되었다. 다만 보고서는 첩보를 종합한 정제된 형태로, 대통령은 도청에 의한 자료인지 인식할 수 없었다는 단서를 달았다. 하지만 불법 정보가 정치 권력의 최상부에서 활용됐다는 것만은 확인된 셈이었다.<ref name="daethong"/>
 
[[안기부]]에서 획득한 이 정보는 [[김영삼]] [[대통령]] 외에도 [[이원종]] 당시 [[청와대]] 정무수석과 [[김현철 (1959년)|김현철]], 일부 [[김영삼]]의 측근들에게로도 흘러들어갔다. 이 정보는 대통령의 차남 김현철 씨와 이원종 당시 청와대 정무수석 등의 실세에 보고돼 정치에 활용되었다.<ref name="daethong"/> 수사 결과 이들은 불법 정보라는 것은 제외하고 [[김영삼]]에게 보고되었다.
 
=== 도청의 사회적 파장 ===
194번째 줄:
* [[대한민국 국가정보원|국정원]]
* [[문민정부]]
* [[김현철 (1959년)|김현철]]
* [[이원종]]
* [[김기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