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각 장애: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Wkjh2222 (토론 | 기여)
영문위키 내용 추가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7번째 줄:
| MeshID = D034381
}}
'''청각 장애'''(聽覺障礙, Hearing impairment and deafness)는 소리를 들을 수 있는 능력이 상당히 떨어져 있거나 전혀 들리지 않는 상태의 [[장애]]이다. 청각 장애는 한쪽 귀에서만 발생할 수도 있고 양쪽 귀 모두에서 발생할 수도 있다.<ref name=WHO2015/> 어린이에게 청각 문제는 [[언어]]를 배우는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성인에게는 업무와 관련된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ref name=Las2014>{{cite저널 journal인용|last=Lasak|first=JM|author2=Allen, P |author3=McVay, T |author4= Lewis, D |title=Hearing loss: diagnosis and management.|journal=Primary care|date=Mar 2014|volume=41|issue=1|pages=19–31|pmid=24439878 |doi=10.1016/j.pop.2013.10.003}}</ref> 일부 나이가 많은 사람들에게 발생하는 청각 장애는 고독감을 느끼게 하기도 한다.<ref name=WHO2015/> 청각 장애는 일시적일 수도 있으나 영구적일 수도 있다. 청각 장애는 [[유전]], [[노화]], [[소음]], 일부 [[감염]], 출산 합병증, 귀의 외상, 특정 약물이나 독극물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ref name=WHO2015/> 청각 장애의 가장 일반적인 증상은 이염이다. 임신 기간중 [[매독]]이나 [[풍진]]과 같은 일부 감염병 또한 청각 장애를 발생시킬 수 있다.<ref name=WHO2015/>
청력 시험에서 하나 이상의 귀가 25[[데시벨]] 이하의 소리를 들을 수 없을때 청각 장애로 진단되며<ref name=WHO2015/> 모든 신생아들에게 청력 시험이 권장되고 있다.<ref name=Las2014/> 청각 장애에는 [[전음성 난청]](conductive hearing loss), [[감음 신경성 청력 손실]](sensorineural hearing loss), 혼합성 난청(mixed hearing loss)과 같은 유형이 있다.<ref name=Sm2014>{{저널 인용|last1=Smith|first1=RJH|last2=Shearer|first2=AE|last3=Hildebrand|first3=MS|last4=Van Camp|first4=G|last5=Pagon|first5=RA|last6=Adam|first6=MP|last7=Ardinger|first7=HH|last8=Wallace|first8=SE|last9=Amemiya|first9=A|last10=Bean|first10=LJH|last11=Bird|first11=TD|last12=Fong|first12=CT|last13=Mefford|first13=HC|last14=Smith|first14=RJH|last15=Stephens|first15=K|title=Deafness and Hereditary Hearing Loss Overview|date=2014|pmid=20301607}}</ref>
미국 말하기 언어 듣기 협회([http://www.asha.org/ ASHA], American Speech-Language-Hearing Association)에 따르면 청각장애는 "생리적 청각 시스템의 결손에 의한 청각 손실의 결과"이다.<ref>ROBERT E. OWENS, 김화수 역, 의사소통 장애: 전생애적 조망, 시그마프레스, 2008, 50쪽</ref> 청각 장애의 정도는 관점에 따라 여러 종류의 단계 구분이 있다. [[교육]]의 입장에서는 소리를 전혀 들을 수 없거나 잔존 청력이 있다하더라도 소리만으로는 의사 소통이 불가능한 경우를 농(聾)이라 하고 [[보청기]]와 같은 기구의 도움으로 잔존 청력을 사용하여 의사소통이 가능한 경우를 '''난청'''({{문화어|가는귀먹기}})이라 한다.<ref>William L. Heward, 김진호 역, 최신 특수교육 제8판, 시그마프레스, 2007, 270쪽</ref>
24번째 줄:
 
===노화===
[[노인성 난청]]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청각 능력이 점차 손실되는 현상을 뜻한다. 남성의 경우 25세부터, 여성의 경우 30세부터 청각 능력 손실이 일어날 수 있다. 유전적 원인 뿐만아니라 소음, 독극물이나 병원체에 노출됨에 따라서도 청력 손실이 시작되는 시기가 다양해 질 수 있다. <ref>{{cite저널 journal인용| last1=Robinson| first1=DW| last2=Sutton| first2=GJ| title=Age effect in hearing – a comparative analysis of published threshold data| journal=Audiology| volume=18| issue=4| pages=320–34| year=1979| pmid=475664| doi=10.3109/00206097909072634}}</ref> 노인에게서 고혈압, 당뇨, 귀에 해로운 일부 약물의 사용은 청각 장애의 위험률을 증가시키는 일반적인 원인이다.<ref>Worrall, L.,& Hickson, L. M. (2003). "Communication activity limitations", pp. 141–142 in Linda E. Worrall & Louise M. Hickson (Eds.). ''Communication disability in aging: from prevention to intervention''. Clifton Park, NY: Delmar Learning</ref> 모든 사람들이 노화에 따라 청각을 잃어가지만 그 정도와 유형에서 차이가 나타난다.<ref>{{cite web인용|title=Hearing Loss and Older Adults|url=https://www.nidcd.nih.gov/health/hearing-loss-older-adults|publisher=National Institute on Deafness and Other Communication Disorders|accessdate=September 11, 2016|format=Last Updated June 3, 2016|deadurl=no|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61004200407/https://www.nidcd.nih.gov/health/hearing-loss-older-adults|archivedate=October 4, 2016|df=}}</ref>
 
===소음===
{{Main article본문| Noise-induced hearing loss}}
 
소음은 청각 장애의 발생의 절반을 차지하는 원인이며, 세계 전체인구의 5%에 다양한 청각적 문제를 일으킨다.<ref name=Oishi2011>{{cite저널 journal인용| last1=Oishi| first1=N.| last2=Schacht| first2=J.| title=Emerging treatments for noise-induced hearing loss| journal=Expert opinion on emerging drugs| date=June 2011| volume=16| issue=2| pages=235–45| pmid=21247358| doi=10.1517/14728214.2011.552427| pmc=3102156}}</ref>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는 대부분의 청각 장애의 원인이 노화가 아니라 소음 때문이라고 인정하였다.<ref>{{cite web인용| url=http://blogs.cdc.gov/niosh-science-blog/2015/03/25/hl-impact-story/| title=CDC - NIOSH Science Blog – A Story of Impact….| work=cdc.gov| deadurl=no|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50613044654/http://blogs.cdc.gov/niosh-science-blog/2015/03/25/hl-impact-story/| archivedate=2015-06-13| df=}}</ref>
 
발포음, 폭죽, 제트 엔진, 착암기 등의 원인에 의해 짧은 시간이지만 매우 큰 소음에 노출되거나, 콘서트나 나이트클럽의 시끄러운 음악에 몇 시간 노출됨에 따라 주파수의 음을 듣는 능력의 민감도가 상실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일시적 청력변위'라고 하며 이때 나타나는 청각 장애는 일시적으로만 유지된다. <ref>{{Cite web인용|url=https://www.osha.gov/dts/osta/otm/noise/health_effects/effects.html|title=Noise and Hearing Conservation: Effects of Excessive Exposure|last=|first=|date=|website=Occupational Safety & Health Administration|publisher=|access-date=July 14, 2016|deadurl=yes|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60629163619/https://www.osha.gov/dts/osta/otm/noise/health_effects/effects.html|archivedate=June 29, 2016|df=}}</ref> 이러한 상황에서는 보통 24시간 이내에 청각이 회복되지만 길게는 일주일 까지 소요될 수도 있다.<ref>{{Cite web인용|url=https://www.sfu.ca/sonic-studio/handbook/Threshold_Shift.html|title=Threshold Shift (TS)|website=Simon Fraser University|access-date=2016-07-14|deadurl=no|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60503122331/http://www.sfu.ca/sonic-studio/handbook/Threshold_Shift.html|archivedate=2016-05-03|df=}}</ref> 큰 소리에 지속적으로 노출되거나 (85&nbsp;dB(A) 이상) 매우 큰 소리에 잠시 노출 될 경우(120&nbsp;dB(A) 이상) 영구적인 청각 장애로 이어질 수도 있다.<ref>{{Cite web인용|url=https://www.cdc.gov/healthyschools/noise/signs.htm|title=About Hearing Loss|last=|first=|date=|website=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publisher=|access-date=2016-07-15|deadurl=no|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60720230923/http://www.cdc.gov/healthyschools/noise/signs.htm|archivedate=2016-07-20|df=}}</ref>
 
[[Noise-induced hearing loss]] (NIHL) 상황에서는 청력 역치가 3,000에서 6,000&nbsp;Hz까지 상승한다. 소음에 의한 손상이 지속될 수록 더 낮은 주파수와 더 높은 주파수의 소리를 듣는 능력에도 손상이 가게 된다. 노화와 다른 원인에 의해서 고주파(청력도 상에서 6–8&nbsp;kHz)음이 손실되면 이 [[청력도]]에서 'noise' notch가 모호해지거나 완전히 사라지게 된다.
 
다양한 정부, 산업체, 표준화기구에서 소음 기준을 공표하고 있다.
<ref>미국에서는 [[미국 환경보호국]], [[미국 연방 직업안전보건국]], [[미국 국립 직업안전위생연구소]], [[미국 광산안전보건국]]를 포함한 다양한 주 정부 단체들이 소음 기준을 공표하고 있다.</ref> The [[미국 환경보호국]]은 70&nbsp;dB(A)의 소음에(평상시 대화시 소음의 2배보다 40% 시끄러운 소음; 일반적인 TV, 라디오, 스테레오 소음; 도시의 거리 소음) 24시간 노출되는 것을 기준으로 하여 이에 따라 초래되는 청각 장애, 수면 장애, 스트레스성 문제 등 소음에 연관된 다양한 문제로부터 보호해야 한다고 공표하였다.<ref>Information on Levels of Environmental Noise Requisite to Protect Public Health and Welfare with an Adequate Margin of Safety. Document ID: usepa-1974</ref> 일반적인 소음의 수준은 65 to 75&nbsp;dB (A) 의 범위이며 이는 공항이나 고속도로 근처에서 오랜 시간 노출되었을때 청각 장애가 유발되는 환경이다. <ref>{{Cite web인용|url=http://www.sanda.org.za/index.php/resources-links/deafness|title=Deafness|last=|first=|website=SANDRA: South African National Deaf Association|access-date=2016-07-14|deadurl=no|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60801152215/http://www.sanda.org.za/index.php/resources-links/deafness|archivedate=2016-08-01|df=}}</ref>
 
큰 소리는 짧은 시간동안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소음에 "안전한" 노출 시간은 3&nbsp;dB ''교환 비율''을 통해 추정 할 수 있다. 3&nbsp;dB은 소리의 강도가 2배가 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소음에 노출되는 시간이 절반이 되었을 때 같은 에너지를 의미한다. 업무 현장에서의 소음 규제를 기준으로 할 때 "안전한" 노출 량은 85&nbsp;dB에서는 8시간이지만 91&nbsp;dB(A)에서는 2시간밖에 되지 않는다.<ref>Occupational Noise Exposure,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98-126</ref>
80dBA와 90dBA 사이에서는 다른 기준이 사용된다. 일부 사람들에게는 85&nbsp;dB 이하의 작은 소리 조차도 위협이 될 수 있다. 일부 농약, 약물, 화학 치료, 솔벤트 등 또 다른 내이 신경 독성요소에 노출되는 경우에도 청각 장애 위험도가 크게 높아짐과 동시에 청력에 손상을 받을 수 있는데 이를 ''상승'' 상호작용이라고 한다. 소음에 의한 손상은 긴 시간동안 축적되기 때문에 업무 현장 뿐 아니라 레크리에이션 활동이나 자연에서 소음에 노출된 경우를 등 온갖 원인들에 의하여 손상을 입을 수 있다.
 
일부 국가 및 국제 기구와 기관에서는 4&nbsp;dB 혹은 5&nbsp;dB 교환비를 사용한다.<ref>{{cite web인용| url=http://www.msha.gov/regs/complian/guides/noise/g3appendixb.htm| title=Compliance Guide to MSHA's Occupational Noise Exposure Standard, APPENDIX B – GLOSSARY OF TERMS| deadurl=no|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31112204458/http://www.msha.gov/regs/complian/guides/noise/g3appendixb.htm| archivedate=2013-11-12| df=}}</ref> 이 교환비를 이용해 안전한 소리의 범위를 산출 할 수는 있으나 커다란 소음에 의한 피해를 과소평가 하게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100&nbsp;dB(나이트클럽 음악의 소리)에서의 안전한 노출 시간을 계산하였을 때 3&nbsp;dB 교환비에서는 15분이 산출되지만 5&nbsp;dB 교환비에서는 1시간이 산출된다.
 
== 역학 및 문화 ==
2013년 전 세계에서 11억명이 청력 장애를 겪고 있다.<ref>{{cite저널 journal인용|last1=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3|first1=Collaborators|title=Global, regional, and national incidence, prevalence, and years lived with disability for 301 acute and chronic diseases and injuries in 188 countries, 1990-2013: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3.|journal=Lancet|date=22 August 2015|volume=386|issue=9995|pages=743–800|pmid=26063472|doi=10.1016/s0140-6736(15)60692-4|pmc=4561509}}</ref> 전체 인구의 5% (3억6천만명에서 5억 3천8백만명)가 청각 장애를 겪고 있으며 1억 2천4백만명이 중등도에서 중증 청각 장애를겪고 있다. <ref name=WHO2015>{{cite web인용|title=Deafness and hearing loss Fact sheet N°300|url=http://www.who.int/mediacentre/factsheets/fs300/en/|accessdate=23 May 2015|date=March 2015|deadurl=no|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50516054114/http://www.who.int/mediacentre/factsheets/fs300/en/|archivedate=16 May 2015|df=}}</ref><ref name=WHO2008/><ref>{{cite저널 journal인용|last1=Olusanya|first1=BO|last2=Neumann|first2=KJ|last3=Saunders|first3=JE|title=The global burden of disabling hearing impairment: a call to action.|journal=Bulleti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date=1 May 2014|volume=92|issue=5|pages=367–73|pmid=24839326|doi=10.2471/blt.13.128728|pmc=4007124}}</ref> 중증도, 중증 청각 장애를 겪고 있는 사람들 중 1억 8백만명이 저 소득 국가 및중간 소득 국가에 살고 있다.<ref name=WHO2008>{{cite book서적 인용| author=WHO | title=The global burden of disease: 2004 update | year=2008 | publisher=World Health Organization | location=Geneva, Switzerland | isbn=9789241563710 | pages=35 | url=http://www.who.int/healthinfo/global_burden_disease/GBD_report_2004update_full.pdf | deadurl=no |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30624134606/http://www.who.int/healthinfo/global_burden_disease/GBD_report_2004update_full.pdf | archivedate=2013-06-24 | df= }}</ref> 청각 장애 환자 중 6천5백만명은 유년기에 청각 장애가 발생했다. <ref name="Peads2011">{{cite book서적 인용| first=Abdelaziz Y | last=Elzouki | title=Textbook of clinical pediatrics | date=2012 | publisher=Springer | location=Berlin | isbn=9783642022012 | pages=602 | url=https://books.google.com/books?id=FEf4EMjYSrgC&pg=PA602 | edition=2 | deadurl=no |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51214195730/https://books.google.com/books?id=FEf4EMjYSrgC&pg=PA602 | archivedate=2015-12-14 | df= }}</ref> 수화를 사용하거나 [[농문화]]에 참여하고 있는 사람들은 자신들이 질병에 걸렸다기 보다는 남들과 다를 뿐이라고 생각한다.<ref name=NAD2014/> 농문화에 참여하고 있는 많은 사람들은 청각 장애의 치료 시도를 거부하고 있으며,<ref>{{Cite web인용|title = Sound and Fury - Cochlear Implants - Essay|url = https://www.pbs.org/wnet/soundandfury/cochlear/essay.html|website = www.pbs.org|accessdate = 2015-08-01|publisher = [[PBS]]|deadurl = no|archiveurl = https://web.archive.org/web/20150706062633/http://www.pbs.org/wnet/soundandfury/cochlear/essay.html|archivedate = 2015-07-06|df = }}</ref><ref>{{Cite web인용|title = Understanding Deafness: Not Everyone Wants to Be 'Fixed'|url = https://www.theatlantic.com/health/archive/2013/08/understanding-deafness-not-everyone-wants-to-be-fixed/278527/|accessdate = 2015-08-01|website = www.theatlantic.com|publisher = ''[[The Atlantic]]''|deadurl = no|archiveurl = https://web.archive.org/web/20150730224214/http://www.theatlantic.com/health/archive/2013/08/understanding-deafness-not-everyone-wants-to-be-fixed/278527/|archivedate = 2015-07-30|df = }}</ref><ref>{{Cite web인용|title = Why not all deaf people want to be cured|url = http://www.telegraph.co.uk/culture/9526045/Why-not-all-deaf-people-want-to-be-cured.html|accessdate = 2015-08-02|website = www.telegraph.co.uk|publisher = ''[[The Daily Telegraph]]''|deadurl = no|archiveurl = https://web.archive.org/web/20150924153612/http://www.telegraph.co.uk/culture/9526045/Why-not-all-deaf-people-want-to-be-cured.html|archivedate = 2015-09-24|df = }}</ref> 그 중 일부는 인공와우 이식술을 받는 것이 자신을 이 문화권에서 퇴출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ref name=Spa2005>{{cite저널 journal인용|last1=Sparrow|first1=Robert|title=Defending Deaf Culture: The Case of Cochlear Implants|journal=The Journal of Political Philosophy|date=2005|volume=13|issue=2|url=http://profiles.arts.monash.edu.au/rob-sparrow/download/Deaf-Culture.pdf|accessdate=30 November 2014}}</ref> 난청이라는 단어는 불가능하다는 것을 강조하는 의미로 통용되어 보통 부정적인 의미로 받아들여진다..<ref name=NAD2014>{{cite web인용|title=Community and Culture - Frequently Asked Questions|url=http://nad.org/issues/american-sign-language/community-and-culture-faq|website=nad.org|publisher=National Association of the Deaf|accessdate=31 July 2014|deadurl=no|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51227171131/http://nad.org/issues/american-sign-language/community-and-culture-faq|archivedate=27 December 2015|df=}}</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