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란봉악단: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다른 여러가지들 소문단:강동완 박정란 교수 논문 내용 추가
잔글 사소한 편집, 각주 수정
27번째 줄:
정창현 국민대 겸임교수는 정치적인 해석으로 모란봉악단의 결성은 김정일시대의 음악정치를 김정은시대에 계승 발전시키려는 의도가 있다고 분석하였다.<ref>[http://www.tongi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3484 대중음악계의 새로운 아이콘 모란봉악단 앞세운 '열린 음악정치'] - 정창현의 '김정은시대 북한읽기'</ref> 다시 말해 김정일시대의 음악정치가 이른바 조선식 전자음악을 연주한다는 [[왕재산경음악단]](1983년 창단, 그후 왕재산예술단으로 변경)과 [[보천보전자악단]](1985년 창단) 그리고 조선식 팝스오케스트라인 [[은하수관현악단]](2009년 창단)으로 대표된다면 김정은시대의 음악정치는 2012년 모란봉악단으로 그 화려한 시작을 보여준다고 말할 수 있다.
 
북한에서는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 시기를 음악정치의 시원으로 보는데<ref name="lsa_mbb" /> 김일성이 "항일혁명투쟁의 불길 속에서 혁명음악의 전통을 이룩하여 주체음악예술의 일대 개화기가 마련되었다"는 것이다.<ref name="lsa_mbb">{{저널 인용|author1=이선애|author2=|title=김정은 시기 모란봉악단의 공연활동에 관한 연구|date=2014-12|publisher=인제대학교 대학원}}</ref> 또한 '음악정치'란음악정치라는 말은용어는 2000년 2월 7일 평양에서 열린평양의 [[인민무력성]] 집회에서 처음 등장하였는데 이 집회에서 총정치국장인 [[조명록]]을 비롯한 인민군 고위 장성들은 토론에서 "지금 우리 식의 특이한 음악정치가 펼쳐지고 있다"라고 주장하였다.<ref>[http://office.kbs.co.kr/tongil1/archives/4153 음악정치] - KBS 북한백과</ref> 즉, 음악정치는 [[김정일]]이 음악을 사상이나 총대처럼 중시하고 음악을 통해 전체 주민들을 하나로 묶어 그 위력으로 혁명의 승리를 이룩해왔다는 것이다. 바꾸어 말한다면, 독재는 자신의 체제를 유지하고 공고하게 만들기 위해 통제와 폭력은 물론 대중의 취향을 동일화하는 전략도 취하는데 음악이 독재자와 만나는 지점이 바로 여기이며, 음악을 통해 독재자는 대중의 생각과 행동을 획일화하는 한편 집단적 정체성에 강한 에너지와 열정을 부여한다는 것이다.<ref name="m_song">{{서적 인용|author1=민은기|author2=|title=독재자의 노래|date=2012|publisher=한울|isbn=978-89-4604-622-1}}</ref> 또한 그들은 음악가들에게 독재 체제가 지향하는 이데올로기를 대변하는 작품들을 만들도록 요구하며, 이렇게 만들어진 작품들을 통해 대중의 가치와 의식을 조종한다고 민은기 서울음대 교수는 그의 저서 《독재자의 노래》에서 설파하였다.
 
=== 파격적인 첫 시범공연 ===
[[김정일]] 시대에 도입되기 시작한 전자악기는 모란봉악단에서 더욱 새롭게 등장하였다. 모란봉악단은 첫 무대에서 전기바이올린 3명과 전기첼로 1명의 현악 4중주단을 중심으로 전기기타/베이스 각 1명, 드럼 1명, 색소폰 1명, 피아노 1명, 전자건반악기(신디사이저) 2명의 연주자들과 가수 6명으로 이루어진 공연을 선보였다. 모란봉악단 공연이 주목을 받은 것은 그 화려한 조명과 무대장치, 현대적 전자악기, 여성단원들의 패션과 헤어스타일 등 기존의 북한 공연과는 뚜렷한 차이를 보였기 때문이다. 첫 무대였던 2012년 7월의 시범공연은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불러 일으켰는데, 공산주의 폐쇄국가인 북한에서 자본주의의 상징인 [[디즈니]] 영화의 주인공 인형들이 무대에 등장하고 '원쑤'의 나라인 미제국주의 상업영화 '[[록키]]'의 영상을 무대 대형 스크린에 보여주고 주제곡까지 연주하였다. 미제국주의의 사상문화적 침투를 단속하고 통제했던 북한으로서는 생각조차 할 수 없는 변화였다. <ref name="joins_kang">[http://news.joins.com/article/19276211 '모란봉'은 김정은 음악정치 전위대] - 중앙일보 강동완 동아대 정치외교학과 교수</ref>
 
전영선 건국대 교수는 "모란봉악단의 파격적인 행보는 주민들에게 김정은 시대에는 북한이 달라질 수 있다는 변화의 메시지를 줄 수 있다"며 "젊고 활기찬 새로운 지도자상, 새 시대에 대한 기대감을 증폭시키는 데 활용되고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3/07/09/0200000000AKR20130709180700014.HTML 북한 걸그룹' 모란봉악단 등장 1년…활약상 띄우기] - 연합뉴스</ref> 북측 언론보도에 따르면, [[김정은]]은 모란봉악단의 첫 시범공연에 대하여 "공연의 주제와 구성으로부터 편곡, 악기 편성, 연주 기법과 형상에 이르는 모든 음악요소들을 기성 관례에서 벗어나 대담하게 혁신하였다"고 평가했으며<ref name="tongil_d">[http://www.tongi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99227 모란봉악단, 파격공연으로 '불문율'을 깨다] - 통일뉴스</ref> 또한 노동신문은 "당의 음악정치를 맨 앞장에서 받들어 가는 모란봉악단이야말로모란봉악단은 사회주의 강성국가 건설의 최후 승리를 위한 대진군을 힘있게 선도해 나가는 제1나팔수다"라고 보도하였다.<ref>[https://jmagazine.joins.com/monthly/view/303703 북한 연구 | 김정은 ‘악단정치’의 비밀] - 월간중앙 강동완 동아대 정치외교학과 교수</ref>
 
[[파일:Mbb_logo.jpg|thumb|right|모란봉악단의 로고. 일렉트릭 바이올린을 휘감는 오선지 그림이다.]]
96번째 줄:
 
<!---한편으로 모리 토모오미 일본 [[리쓰메이칸 대학]] 코리아연구센터 전임연구원은 2015년 10월 13일 숭실대에서 열린 '세계 북한학 학술대회'에서 발표한 '모란봉악단, 그 존재는 무엇을 의미하는가?'라는 제목의 글에서 김정은은 모란봉악단을 중심으로 예술을 통해 자신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음악 정치'를 하고 있다고 설명하였다. "모란봉악단은 그 형식과 내용 모두가 김정은의 사고의 연장선에 있다"며 "악단이 창설 후 곧바로 북한 사회에 받아들여지고 예술영역은 물론 사회 분위기나 유행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은 메시지로서 악단이 성공하고 있다는 증거"라고 분석했다.<ref>[http://news1.kr/articles/?2456205 北 모란봉악단은 존재 자체가 김정은 메시지] - News 1</ref>--->
이우영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2015년 11월 26일 [[국가안보전략연구원]]이 주최한 '김정은 정권 4년 평가와 남북관계 전망' 학술회의에서 서구의 전자음악 특히 록이나 팝 음악에 대하여 자본주의 문화로 비판하였던 북한이 80년대 이후에는 보천보전자악단이나 왕재산경음악단을 만들어서 새로운 문화흐름을 수용하기 시작하였던 것처럼 사회문화적 상황이 변화하는 경우 문화정책도 일정 부분 새로운 조건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수정하여 왔는데 이러한 정책변화를 상징하는 것이 모란봉악단이라고 설명하였다. 외부문화의 유입확대, 주민들 특히 젊은 세대의 문화취향 변화는 북한판 걸그룹이라는 문화정책적 대응을 가져왔다는 것이다.<ref name="inss_2015">[http://www.inss.re.kr/contents/news_view.htm?boardId{{서적 인용|author1=405024|author2=|title=김정은 첨부화일정권 자료집(2015.11.26).pdf]4년 -평가와 국가안보전략연구원남북관계 자료집전망 학술지|date=2015-11|publisher=국가안보전략연구원|pages=55-56}}</ref> 김정은이 새 세기의 요구에 맞는 모란봉악단을 친히 조직해 주었다는 조선중앙통신의 보도는 바로 이러한 대응을 설명해주고 있다. 한편 노동신문은 2017년 11월 3일 자에서 새것에 민감하고 진취적인 청년들에 대한 사상교양사업에 깊은 관심을 돌려야 하며 제국주의자들이 감행하는 사상문화적 침투책동에서 첫째가는 대상은 청년들이라고 주장하였다. 청년들에 대한 사상교양사업을 홀시하면 청년들이 쉽게 날라리 바람에 말려들 수 있으며 사회의 우환거리로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강원도 원산농업대학 입구의 느티나무 옆에는 '청년대장 김정은 동지께서 보아주신 느티나무'라는 비석이 세워져 있고<ref>[http://www.dailynk.com/korean/read.php?cataId=nk04500&num=91564 김정은 우상화 가속…현지방문 표식비 세워] - 데일리NK</ref> 또한 2016년 9월의 원산 에어쇼에서 공개된 북한공군 여자 조종사들의 미그21 전투기에는 '경애하는 최고사령관 김정은동지께서 보아주신 비행기'라는 붉은 명판이 붙어 있었다. 김정은에 대한 우상화는 이렇듯 상상을 초월하고 있는데 김정은은 모란봉악단의 공연을 직접 관람한 횟수만도 수십 차례 이상이었다. 단장 [[현송월]]의 2014년 5월 노동신문 기고에 의한다면 김정은은 모란봉악단 사업을 지도하기 위하여 깊은 밤, 이른 새벽과 명절날, 일요일에 나온 적이 더 많았다고 한다. 심지어는 자정이 깊은 밤에 나온 김정은을 새벽녘에 바래다준 적이 있었다고도 한다. 최고 영도자가 이렇게 세심한 지도와 많은 관심을 보여 주었다는 사실은 악단이 그 어떤 것과도 비교할 수 없는 최고의 위상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438번째 줄:
이선애의 연구논문에 의한다면,<ref name="lsa_mbb" /> 모란봉악단의 공연에서 가장 많이 불린 노래는 2010년에 창작된 '당을 노래하노라'와 1950년에 창작된 전시가요 '진군 또 진군'이었다. 김일성 훈장을 수여받은 바 있는 차영도<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2/01/06/0200000000AKR20120106032800014.HTML 北, 시인 차영도에 '김일성 훈장' 수여] - 연합뉴스</ref>의 시에 황진영이 곡을 붙인 '당을 노래하노라'와 '진군 또 진군' 노래는 첫 시범공연에서 2014년 5월 공연까지 21회의 공연에서 아홉 번을 등장했으며 두 노래는 60년이라는 오랜 세월의 틈을 뛰어넘으며 가장 많이 불렸다고 한다.<ref name="lsa_mbb" /> 그리고 공연이 횟수를 거듭하면서 김정은을 찬양하는 노래들이 많이 나오고 있으며 이른바 '김정은 노래'가 가장 많이 불릴 노래, 앞으로 그 자리에 오를 것임은 명백해 보인다.
 
강동완·박정란 교수는 논문 〈김정은 시대 북한사회 변화와 전망:공연 분석을 중심으로〉에서 김정은의 국가정책 목표인 경제-핵무기 건설 병진노선의 내용이나 김정은의 개인 우상화를 위해 새롭게 만들어진 노래 등은 모두 모란봉악단 공연을 통해서 북한 주민들에게 선전되고 있고 따라서 모란봉악단은 최소한 김정은 시대를 읽을 수 있는 여러 요인 중 하나라는 점에서 의미를 부여할 수 있으며 이 악단이 갖는 위상을 고려할 때 앞으로 지속적인 연구대상화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고 분석하였다.<ref name="inss_2014">{{서적 인용|author1=|author2=|title=정책연구 통권 180호|date=2014-03|publisher=국가안보전략연구소국가안보전략연구원|page=75}}</ref>
 
== 같이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