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골과 진골: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허재혁3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4번째 줄:
진골은 성골(聖骨)과 함께 왕족을 구성했는데, 원래는 성골만이 왕이 될 자격이 있었으나, [[선덕여왕]] 때가 되어 성골 출신의 남자가 하나도 없게 되자, 진골 출신도 왕이 될 수 있게 되었다. 《[[삼국유사]]》는 이때의 상황을 "성골남진(聖骨男盡)"이라고 표현했다.
 
진골과 성골의 차이는 정확히 알려진 것이 없고 여러가지 가설만 존재한다. 1. 진흥왕의 직계(성골) 및 방계(진골)를 구별하기 위한 표현이다.{{출처}} 2. 성골은 왕족 내부의 혼인(족내혼(族內婚, 즉 근친혼))으로 태어난 집단이고, 진골은 왕족과 다른 귀족의 혼인(족외혼(族外婚))으로 태어난 집단이다.{{출처}} 등의 가설이 존재한다.
 
화랑세기는 진골과 성골을 각각 진골정통, 대원신통으로 표현하는데, 전자는 진흥왕의 왕비인 사도왕후 박씨 계통을, 후자는 지소태후 계통을 일컫는다. 그러나 이 역시 정확하게 묘사되어 있지는 않으며, 진골정통과 대원신통이 진골, 성골과 바로 일치하는지도 확실하지 않다.{{출처}}
 
신라가 [[태종 무열왕]] 이래로 국세를 신장하게 되면서, 진골은 기존의 왕족 뿐 아니라, 정복지의 왕족까지 흡수하는 표현이 된다.{{출처}} 한 예로, [[가야]]의 왕족 김씨의 후손인 [[김유신]]은 진골 대접을 받았으며, [[고구려]]가 멸망한 이후, 부흥운동의 지도자였던 [[안승]]도 김씨 성을 하사받고 진골 대접을 받았다.
 
[[신라의 관직|신라 관직]] 상에서 [[이벌찬|1등급]]부터 5등급 까지는 진골 이상의 출신들만 들어갈 수 있었다.
 
== 참고 문헌 ==
* 박영규, 《한권으로 읽는 신라왕조실록》, [[웅진]], 2004
 
[[분류:신라의 관직과 칭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