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전병: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정훈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정훈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11번째 줄:
|pmid=1617202
|doi=
}}</ref> 스크래피는 [[프리온 질병]] 가운데 하나로, 소해면상뇌증(소위 [[광우병]])과 사슴의 [[만성소모증]], 증 [[광록병]]과도 관련이 있다. 다른 해면상뇌증과 마찬가지로 스크래피진전병 역시 프리온이 원인이다.<ref name="pmid17560089">{{저널 인용
|저자=Hunter N
|제목=Scrapie: uncertainties, biology and molecular approaches
36번째 줄:
}}</ref>
 
스크래피는진전병은 비슷한 류의 동물들에게 전염성을 가진 질환으로, 불치병인 까닭으로 전염을 막기 위해서는 병에 걸린 개체를 모두 폐사시켜야 한다. 하지만 전에 스크래피에진전병ㅇ 걸린 개체가 없었다 하더라도 자연적으로 발병하기도 한다. 전염경로에 대한 메커니즘은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며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의 한 연구보고에 따르면 소변을 통해 배출된 프리온이 자연상태에서 수십년 이상 보존된다고 한다.<ref name="pmid12793776">{{저널 인용
|저자=Detwiler LA, Baylis M
|제목=The epidemiology of scrapie
50번째 줄:
또다른 한 실험은 감염된 어미양의 젖을 먹고 자란 새끼에게 프리온이 전염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ref>Konold, Moore, Bellworthy, Simmons, "Evidence of scrapie transmission via milk", BMC Veterinary Research 2008, 4:16 doi:10.1186/1746-6148-4-16</ref> 하지만 새끼 양의 체내에 프리온이 남아 있다는 것만을 보여준 이 실험은, 이후 어떤 증상을 나타냈는지는 알지 못한 채 중단되었다.
 
영국에서는 스크래피진전병 발생을 줄이기 위해 정부차원의 스크래피방역대책(National Scrapie Plan)을 세워 스크래피에 대한 저항력을 가진 양들의 사육을 독려하고 있다. 스크래피는진전병은 [[유럽]]과 [[북아메리카]]에서 발생하며, [[호주]]와 [[뉴질랜드]] 등지에서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
발병여부 확인을 위한 검사는 소량의 림프 또는 [[순막]] 조직의 추출을 통해 이루어진다.<ref name="pmid12204945">{{저널 인용
|저자=O'Rourke KI, Duncan JV, Logan JR, ''et 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