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란사 사건: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내용 문맥 정리
33번째 줄:
 
== 개전 ==
[[미야코 섬]] 주민의 대만 실종을 알게 된 [[청나라]] [[샤먼]] 주재 미국 총영사 [[샤를 르 장드르]]는 주일 미국 공사 [[찰스 드롱]]을 통해 “야만인을 징벌해야 한다”며 [[일본]] [[외무성]]을 옹호했다. 외무경인 [[소에지마 다네오미]]는 드롱의 중개를 통해 샤를 르 장드르와 회담을 가졌고, 내무경인 [[오쿠보 도시미치]]도 르 장드르의 의견에 주목하여 르 장드르는 고문으로 외무성에 고용되게 되었다. 당시 메이지 정부는 [[조선]] 출병을 둘러싼 [[정한론]] 등으로 갈등이 있었고, 가바[[가바야마 야마 스케노리와스케노리]]와 [[가고시마 현]] 참사 [[오야마 쓰나요시]]도 [[사쓰마 번]]의 대만 출병을 건의했다. 이러한 강경강경한 의견의 배경에는 [[폐번치현]]에 의해으로 실직한 40만명에서 50만명에 달하는달할 것으로 추정되는 사족들의 불만의불만을 해소하기 해소할위한 배출구를 찾고 있었던 것도이유도 있었다.
 
[[1873년]] 특명 전권대사로 청나라에 건너간 소에지마 외무경은 수행원인 [[야나기하라 사키미쓰]](柳原前光)를 통해 [[미야코 섬]] 주민의 대만 실종 사건을 추궁했지만추궁했다. 그러나, 청나라의 외무 당국은 대만 원주민은 ‘화외’(化外)이며, 청나라의 통치가 미치지 않는 영역에서의 사건이라고 답변하고 책임을 회피했다.
 
이후 일본에서는 그 해 가을, [[조선]] 사절 파견을 둘러싸고 정부가 분열되었다. ([[메이지 6년 정변]]) 또한, 다음 해 [[1874년]] 1월 [[이와쿠라 도모미]](岩倉具視) 암살 미수 사건, 2월 [[에토 신페이]]의 반란([[사가의 난]])이 일어나는 등 내정 불안이 고조되었기고조되고 있었다. 이런 때문에상황에서 [[오쿠보 도시미치]]를 중심으로 한 메이지 정부는 국내의 불만을 외부로 돌리기 위해 대만 정벌을 결정했다. [[1874년]] 4월 참의 [[오쿠마 시게노부]]를 대만 번지 사무국 장관으로서 또한 육군 중장 [[사이고 주도]]를 대만 번지 사무 도독으로 각각 임명하고 군사 행동 준비에 들어갔다.
 
[[1873년]], [[메이지 6년 정변]]에서 [[메이지 천황]]의 칙령은 [[러시아]]와 국경 분쟁을 이유로 한 ‘정한’의 연기일 뿐이어서뿐이었다. 러시아와 국경이 확정되면 [[정한론|정한파]]의 요구가 재연될재현될 가능성이 높았다. 정변으로 하야한소에지마는 소에지마하야를 했고, 대신 외교를 담당하게맡게오쿠보로서는오쿠보의 입장에서는 조선보다 더 쉽게 제압할 수 있는 대만 출병을 오히려 적극적으로 기획한 것이다.
 
== 전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