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충: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단어 수정
Huzzlet the bot (토론 | 기여)
잔글 로봇의 도움을 받아 동음이의 처리: 고흐 - 빈센트 반 고흐 문서로 링크 바꿈
300번째 줄:
=== 회화와 조각속의 곤충 ===
곤충의 독특한 모습과 다양한 모습으로의 변화, 화려한 색감은 많은 예술가들에 의해 그려지고 영감을 주는 매개체 역할을 해왔다.초기 유럽 기독교 예술에서 곤충 그림은 다양한 상징으로 이용되었는데 그 중 꿀벌은 성 마리아, 벌집은 교회, 사슴벌레는 죄, 파리는 고통 등을 상징하며 특히 나비는 프시케 여신으로 영혼과 사랑의 징표로서 쓰였다.
현대 서양화에서는 [[인상주의]]와 [[초현실주의]]의 그림에 영향을 주었고 [[빈센트 반 고흐]]의 ‘꽃과 곤충’ [[달리]](S. Dali)의 'Grasshopper(메뚜기)'와 'Groupings of Ants(개미떼)' 그리고 [[후터]](W. Hutter)의 'Butterflies(나비)' 등은 이 작가들의 표징이 되기도 하였다(Hogue, 1987). 국내에서는 조선시대에 곤충을 그린 화가들로 쇠똥구리 조각품 [[김제]], [[김홍도]], [[신사임당]], [[심사정]], [[남계우]] 등 24명 정도를 찾아볼 수 있다. 특히 민화에서는 일년초나 다년생의 작은 풀과 꽃들 그리고 그 주위에 친화 관계를 유지하며 살고 있는 곤충을 그린 초충도(草蟲圖)가 주를 이룬다. 이들 소재는 남성적이라기보다는 아늑하고 소담하여 여성적이라고 할 수 있어 신사임당과 심사정 등 여성작가의 작품도 많이 볼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남계우선생(1811-1890)은 일생을 나비를 애호하고 나비를 많이 그려 '남나비'라고 불릴 정도였다. 그가 그린 나비 그림은 사실성이 매우 뛰어나서 대한민국 나비 연구의 태두인 석주명 선생께서는 그림으로부터 37종의 나비를 동정하였고, 이 정보로부터 과거 서울부근의 나비상을 유추하여 볼 수 있을 정도라 하였다.
 
우리의 조각물로 곤충을 이용한 대형물을 과거 기록에서 아직까지 확인해 볼 수 없었으나, 1998년 평촌신도시의 중앙공원에 똥을 굴리는 '쇠똥구리'(김규민 작)가 만들어졌고, 앞으로 곤충에 대한 인식이 커질수록 증가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