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경각: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50번째 줄:
-->
* '''반야'''(般若){{.cw}}'''마하반야'''(摩訶般若){{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B%B0%98%EC%95%BC&rowno=38 般若(반야)]". 2013년 5월 6일에 확인|ps=<br>"般若(반야):
【범】 prajñā 반야(班若)ㆍ바야(波若)ㆍ발야(鉢若)ㆍ반라야(般羅若)ㆍ발랄야(鉢剌若)ㆍ발라지양(鉢羅枳孃)이라고도 쓰며, 혜(慧)ㆍ명(明)ㆍ지혜(智慧)라 번역. 법의 참다운 이치에 계합한 최상의 지혜. 이 '''반야'''를 얻어야만 성불하며, '''반야'''를 얻은 이는 부처님이므로 반야는 모든 부처님의 스승 또는 어머니라 일컬으며, 또 이는 법의 여실한 이치에 계합한 평등ㆍ절대ㆍ무념(無念)ㆍ무분별일 뿐만 아니라, 반드시 상대 차별을 관조하여 중생을 교화하는 힘을 가지고 있는 것이 특색이다. 이를 보통 2종ㆍ3종ㆍ5종 등으로 나눔."}}{{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20623&DTITLE=%BC%AF%B6F%AF%EB%ADY摩訶般若 摩訶般若]". 2013년 5월 6일에 확인|ps=<br>"摩訶般若:
 梵語 mahāprajñā。mahā,意為大;prajñā,意為慧。摩訶般若即照了諸法實相,最極最勝之大智慧。禪苑清規卷十(卍續一一一‧四六五上):「若未悟摩訶般若者,但依佛語修行。」〔唯識樞要卷上本〕 p6080"}}
 
66번째 줄:
 
묘각(妙覺)은 [[대승불교]]의 [[보살 수행계위]] 중 마지막의 [[불과]](佛果)를 가리키는데, 《[[화엄경]]》에 나오는 [[41위]](四十一位)나 《[[영락경]]》에 나오는 [[52위]](五十二位)의 마지막 [[지 (불교)|지위]]에 해당한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5%A6%99%E8%A6%BA&rowno=2 妙覺(묘각)]". 2013년 5월 6일에 확인|ps=<br>"妙覺(묘각):
불과(佛果)를 말한다. 보살 수행의 지위 점차인 52위(位)나 41위의 마지막 지위. 등각위(等覺位)에 있는 보살이 다시 1품의 무명을 끊고 이 지위에 들어간다. 온갖 번뇌를 끊어버린 부처님의 자리."}}{{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0005&DTITLE=%A7%AE%C4%B1妙覺 妙覺]". 2013년 5월 6일에 확인|ps=<br>"妙覺:
 為大乘菩薩修行五十二階位之一,四十二位之一。指覺行圓滿之究竟佛果,故亦為佛果之別稱。又稱妙覺地。為究極理想境地之表現;係由等覺位更斷一品之無明,而得此妙覺位。於此位能斷盡一切煩惱,智慧圓妙,覺悟涅槃之理。<br>
 天台四教儀一書說明別、圓二教妙覺位之差異,謂別教之妙覺位坐於蓮華藏世界七寶菩提樹下大寶華王座,現圓滿報身,為鈍根菩薩轉無量四諦之法輪;圓教之妙覺位則以虛空為座,成就清淨法身,居於常寂光土。〔菩薩瓔珞本業經卷上賢聖學觀品、大佛頂首楞嚴經卷八、四教義卷五、卷六、法華玄義卷四下、卷五上、大乘四論玄義卷二〕 p2857"}}
 
특히, 《[[영락경]]》에 나오는 [[10신]](十信){{.cw}}[[10주]](十住){{.cw}}[[10행]](十行){{.cw}}[[10회향]](十迴向){{.cw}}[[10지]](十地){{.cw}}[[등각]](等覺){{.cw}}'''묘각'''(妙覺)의 [[52위]]는 《[[화엄경]]》의 [[10주]]{{.cw}}[[10행]]{{.cw}}[[10회향]]{{.cw}}[[10지]]{{.cw}}'''불지'''(佛地)의 [[41위]]에 기반하여 성립된 [[보살 수행계위]]로, [[대승불교]]에서 널리 사용하고 있는 [[보살 수행계위]]이다. 이들 [[수행계위]]에 대한 교의에 따르면, [[등각보살]] 즉 [[등각]]의 [[지 (불교)|지위]]에 있는 [[수행자]]가 마지막으로 남은 한 가지[一品] [[무명 (불교)|무명]](無明), 즉 최초[元品]의 [[무명 (불교)|무명]], 즉 [[무시무명]](無始無明) 즉 [[원품무명]](元品無明) 즉 [[근본무명]](根本無明)을 [[끊고]] 묘각의 [[지 (불교)|지위]]에 들어간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0005&DTITLE=%A7%AE%C4%B1妙覺 妙覺]". 2013년 5월 6일에 확인|ps=<br>"妙覺:
 為大乘菩薩修行五十二階位之一,四十二位之一。指覺行圓滿之究竟佛果,故亦為佛果之別稱。又稱妙覺地。為究極理想境地之表現;係由等覺位更斷一品之無明,而得此妙覺位。於此位能斷盡一切煩惱,智慧圓妙,覺悟涅槃之理。<br>
 天台四教儀一書說明別、圓二教妙覺位之差異,謂別教之妙覺位坐於蓮華藏世界七寶菩提樹下大寶華王座,現圓滿報身,為鈍根菩薩轉無量四諦之法輪;圓教之妙覺位則以虛空為座,成就清淨法身,居於常寂光土。〔菩薩瓔珞本業經卷上賢聖學觀品、大佛頂首楞嚴經卷八、四教義卷五、卷六、法華玄義卷四下、卷五上、大乘四論玄義卷二〕 p2857"}}{{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7029&DTITLE=%B5L%A9l%B5L%A9%FA無始無明 無始無明]". 2013년 5월 6일에 확인|ps=<br>"無始無明:
 謂無始以來即恆常存在之無明。為生死流轉之根本惑體。平等法界之理不達,妄隔平等之理性,稱為無明;又如是闇惑之心,隔離理性,故又作間隔。依此無明之間隔而生種種煩惱,造種種業,受種種果報。故勝鬘經、大乘起信論等諸經論稱為無始無明,菩提心論則稱為無始間隔。關於無始之名,有如下三種解釋:(一)就因緣生之理而言,謂凡一切有為法,乃因緣和合而生,現世之果,由前世之因而生;前世之果,更由前世之因而生,如是推究,故知無初始,若以為有初始,即是無因生之外道,而非佛法。(二)就惑體相依之義而言,謂枝末無明依根本無明,根本無明依真如,此乃緣起法自然之理。此時無明為惑之根本,無明之先更無初始之惑法,故稱為無始。依此釋,則無始為根本之異稱,以成無明有始之義。依此義,大乘起信論以忽然念起為無明;天台家稱為元品無明,大乘起信論之注疏家則稱為根本無明。故如忽然、元品、根本等,皆為有始之異稱。大乘經論所說,多依此義。此為去妄歸真之一種教法。乃「權大乘」之義。(三)就真妄同體之義而言,謂真如與無明,乃一法之異稱,如水與冰,冰之自性即為水,無明之自性即為真如。非先為水而後為冰,如言先為水,則僅為教法之方便說而已。〔圓覺經、勝鬘寶窟卷中末、大乘起信論義記卷下末〕(參閱「無明」5094) p5090"}}{{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7%84%A1%E5%A7%8B%E7%84%A1%E6%98%8E&rowno=1 無始無明(무시무명)]". 2013년 5월 6일에 확인|ps=<br>"無始無明(무시무명):
원품무명(元品無明)과 같음."}}{{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9B%90%ED%92%88%EB%AC%B4%EB%AA%85&rowno=1 ]". 2013년 5월 6일에 확인|ps=<br>"元品無明(원품무명):
78번째 줄:
있는 그대로의 참모습을 깨닫지 못하여 차별을 일으키는 원초적 번뇌."}}
 
묘각(妙覺)은 '''묘각지'''(妙覺地)라고도 하며 또는 묘각의 바다의 지위라는 뜻에서 '''묘각해지'''(妙覺海地)라고도 한다.{{sfn|축불념 한역|T.1485|loc=상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4n1485_p1010b24 T24n1485_p1010b24 - T24n1485_p1010b27]. 본업영락(本業瓔珞)|ps=<br>"佛念吾等建立大志。乃悉現我諸佛世界所有好惡殊勝之土。佛所遊居闡隆導化。光明神足教誨我等開示我意。佛本業瓔珞十住十行十向十地無垢地'''妙覺地'''。"}}{{sfn|축불념 한역, 노혜능 번역|K.530, T.1485|loc=상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1248&startNum=2 2 / 62]. 본업영락(本業瓔珞)|ps=<br>"부처님이시여, 저희들이 큰 뜻을 세운 것을 생각하여 주시고, 또한 저희들에게 모든 부처님 세계에 있는 좋거나 나쁘거나 수승한 국토를 나타내어 주소서. 부처님께서 노니시는 곳마다 교화를 일으키시며, 빛나는 신통력으로써 저희들을 가르치고 일깨우시며 저희들의 뜻을 열어보여 주소서. 저희들을 위해 부처님의 본업영락(本業瓔珞)인 십주(十住)ㆍ십행(十行)ㆍ십회향[十向]ㆍ십지(十地)ㆍ무구지(無垢地)ㆍ'''묘각지'''(妙覺地)를 말씀해 주소서."}} 또한 '''적멸심'''(寂滅心){{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3359&DTITLE=%A4%AD%A4Q%A4G%A6%EC五十二位 五十二位]". 2013년 4월 9일에 확인|ps=<br>"五十二位:
 大乘菩薩之五十二種階位。即十信、十住、十行、十迴向、十地、等覺、妙覺。此等菩薩之階位,諸經論所說不一,如華嚴經說十住、十行、十迴向、十地、佛地等四十一位;仁王經卷上菩薩教化品說十善、三賢三十心、十地、佛地等五十一位;菩薩瓔珞本業經則舉前位十信與四十二賢聖位,稱為十信心、十心住、十行心、十迴向心、十地心、入法界心、'''寂滅心''';大佛頂首楞嚴經卷八更於十信之前說乾慧地,於十迴向之後加煖、頂、忍、世第一法等四善根,合為五十七階位。其中,瓔珞經所舉之五十二位名義整足,位次無缺,故自古廣為大乘諸家所採用,其名數為:(一)十信心,即信心、念心、精進心、慧心、定心、不退心、迴向心、護法心、戒心、願心。(二)十心住,即發心住、治地心住、修行心住、生貴心住、方便心住、正心住、不退心住、童真心住、法王子心住、灌頂心住。(三)十行心,即歡喜心行、饒益心行、無瞋恨心行、無盡心行、離癡亂心行、善現心行、無著心行、尊重心行、善法心行、真實心行。(四)十迴向心,即救護一切眾生離相迴向心、不壞迴向心、等一切佛迴向心、至一切處迴向心、無盡功德藏迴向心、隨順平等善根迴向心、隨順等觀一切眾生迴向心、如相迴向心、無縛解脫迴向心、法界無量迴向心。(五)十地心,即四無量心、十善心、明光心、焰慧心、大勝心、現前心、無生心、不思議心、慧光心、受位心。第四十一地之心稱為入法界心,即為等覺。第四十二地之心稱為寂滅心,即為妙覺。此中,十住、十行、十迴向、十地、等覺與妙覺,依次配習種性、性種性、道種性、聖種性、等覺性、妙覺性等。〔梁譯攝大乘論釋卷七、瑜伽師地論略纂卷十二、法華經玄義卷四下、成唯識論述記卷九末、菩薩戒義疏卷上、華嚴經探玄記卷五至卷十四〕(參閱「菩薩階位」5221) p1044"}} 또는 '''적멸심묘각지'''(寂滅心妙覺地){{sfn|축불념 한역|T.1485|loc=상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4n1485_p1015c09 T24n1485_p1015c09 - T24n1485_p1015c15]. 적멸심묘각지(寂滅心妙覺地)|ps=<br>"佛子。第四十二地名'''寂滅心妙覺地'''常住一相。第一無極湛若虛空。一切種智照達無生有諦始終。唯佛窮盡眾生根本有始有終。佛亦照盡乃至一切煩惱一切眾生果報。佛一心念稱量盡原。一切佛國一切佛因果。一切佛菩薩神變。亦一念一時知住不可思議二諦之外獨在無二。"}}{{sfn|축불념 한역, 노혜능 번역|K.530, T.1485|loc=상권.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1248&startNum=29 29-30 / 62]. 적멸심묘각지(寂滅心妙覺地)|ps=<br>"불자여, 제사십이지(第四十二地)를 '''적멸심묘각지'''(寂滅心妙覺地)라고 이름하느니라. 항상 한 모양에 머물러 제일무극(第一無極)이며, 담담하기가 허공과 같으니라. 일체종지로써 존재가 생겨남이 없는 진리의 처음과 끝을 널리 비치는데, 오직 부처님만이 중생의 근본과 유시유종(有始有終)을 궁구하여 다하셨느니라. 부처님은 또 일체 번뇌와 일체 중생의 과보를 다 비추어 보시고 부처님은 또 일심념(一心念)으로써 헤아리고 근원을 다하시며, 모든 불국토와 모든 불의 인과와 모든 보살의 신통 변화까지도 또한 한 생각, 한 순간에 다 알고 불가사의한 이제(二諦)의 밖에 머물러 홀로 존재하시며 둘이 없느니라."}}라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