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용어 목록 (삽):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12번째 줄:
==상==
 
1. '''상'''(想, {{llang|sa|[[:en:saṃjñā|<span style="color: black">saṃjñā</span>]]}}, {{llang|pi|[[:en:saññā|<span style="color: black">saññā</span>]]}}, {{llang|en|[[:en:perception|<span style="color: black">perception</span>]]}}, [[:en:cognition|<span style="color: black">cognition</span>]], [[:en:conceptualization|<span style="color: black">conceptualization</span>]], [[:en:distinguishing|<span style="color: black">distinguishing</span>]])은[[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에서 [[심소법]](心所法: 46가지) 중 [[대지법]](大地法: 10가지) 가운데 하나이며,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에서 [[심소법]](心所法: 51가지) 중 [[변행심소]](遍行心所: 5가지) 가운데 하나이다.{{sfn|권오민|2003|pp=69-81}}{{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8580&DTITLE=%B7Q 想]". 2012년 9월 21일에 확인}}
 
[[불교 용어 목록/삽#상|상]](想)은 [[마음 (불교)|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으로 하여금 [[인식대상]]의 물질적{{.cw}}정신적(개념적) [[차별상]](差別相)을 파악하게 하는 [[마음작용]]이다. 즉 [[마음 (불교)|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으로 하여금 [[표상작용]][取像] 즉 [[개념화 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마음작용]]이다. 간단히 말하자면, [[불교 용어 목록/삽#상|상]](想)은 현대적인 용어로 '''표상'''(表象, [[:en:mental representation|<span style="color: black">mental representation</span>]] 또는 [[:en:representation|<span style="color: black">representation</span>]])을 뜻한다.{{sfn|세친 조, 현장 한역|T.1558|loc=제4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58_p0019a18 T29n1558_p0019a18]. 상(想)|ps=<br>"想謂於境取差別相。"}}{{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loc=제4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163 163 / 1397]. 상(想)|ps=<br>"상(想)이란 이를테면 대상[境]에 대한 차별의 상을 취하는 것을 말한다.<br>상(saṃjñā)이란 취상(取像)의 뜻으로, 사물의 형상이나 언어적 개념의 차별상을 취(표상)하는 의식작용이다."}}{{sfn|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T.1585|loc=제3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585_p0011c22 T31n1585_p0011c22 - T31n1585_p0011c24]|ps=<br>"想謂於境取像為性。施設種種名言為業。謂要安立境分齊相方能隨起種種名言。"}}{{sfn|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K.614, T.1585|loc=제3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897&startNum=124 124 / 583]. 상(想)심소|ps=<br>"‘상(想)심소’는 대상에 대해 형상을 취하는 것을 체성으로 삼고, 갖가지 명칭을 시설하는 것을 업으로 삼는다. 반드시 대상의 자상{{.cw}}공상[分齊相]을 안립하여 바야흐로 능히 따라서 갖가지 명칭[名言]을 일으킨다.<br>상(想, saṃjñā)심소는 ‘표상(表象) 작용’ ‘개념화 작용’의 심소이다. 능히 자기 대상의 구체적인 양상을 안립한다. 대상의 형상을 취하여 명칭을 붙이는(언어와 일치할 수 있는) 개념화 작업을 한다."}}
20번째 줄:
:[[불교 용어 목록/삽#상|상]](想)은 상(想: 취상){{.cw}}등상(等想: 평등한 취상){{.cw}}증상등상(增上等想: 뛰어난 평등한 취상){{.cw}}이상(已想: 이미 지나간 취상){{.cw}}상류(想類: 취상의 부류)를 말한다.{{sfn|세우 조, 현장 한역|T.1542|loc=제2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6n1542_p0699c09 T26n1542_p0699c09 - T26n1542_p0699c10]. 상(想)|ps=<br>"想云何。謂想等想增上等想已想想類。是名為想。"}}{{sfn|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K.949, T.1542|loc=제2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328&startNum=42 42 / 448]. 상(想)|ps=<br>"상(想)은 무엇인가? 생각[想]이고 평등한 생각[等想]이며 더욱 뛰어나게 평등한 생각[增上等想]이요 이미 지나간 느낌[已想]이며 생각의 종류이니, 이것을 이름하여 ‘상’이라 한다."}}
 
2. '''상'''(相, {{llang|sa|[[:en:laksana|<span style="color: black">laksana</span>]]}})은 사물의 '''모습'''{{.cw}}'''모양'''{{.cw}}형상{{.cw}}상태{{.cw}}성격{{.cw}}'''[[불교 용어 목록/선#성질|성질]]'''{{.cw}}'''[[자성 (불교)|본질]]''' 등을 말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3799&DTITLE=%AC%DB 相]". 2012년 9월 27일에 확인}} [[영어]]로는 form, appearance, state, condition, aspect, mark, token, sign, characteristic, attribute 등의 뜻이 있다.{{sfn|Macdonell|1929|loc="[http://dsal.uchicago.edu/cgi-bin/romadict.pl?query=laksana&display=simple&table=macdonell laksana]". 2012년 9월 27일에 확인}}{{sfn|佛門網|loc="[http://dictionary.buddhistdoor.com/word/34374/%E7%9B%B8 相]". 2013년 1월 30일에 확인|ps=<br>"相: 相 (Sanskrit: lakṣaṇa, saṃjñā, nimitta). (1) Form, appearance, state, condition, aspect, situation, expression, external appearance, outwardly expressed appearance. (2) Characteristic, distinctive feature."}} 사물 간에 서로 상(相)의 차별이 있기 때문에 [[마음 (불교)|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은 각각의 사물을 다른 사물과 다른 것으로 [[표상]]([[식별]])할 수 있다. 한편, [[마음 (불교)|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의 이러한 [[표상작용]]과 그 세력(적집, 집합)을 [[불교 용어 목록/삽#상|상]](想) 또는 [[상온]](想蘊)이라 한다.{{sfn|권오민|2003|pp=69-81}}{{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p=[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28 28 / 1397]}}{{sfn|권오민|2003|pp=49-56}}{{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8582&DTITLE=%B7Q%C4%AD想蘊 想蘊]". 2012년 9월 27일에 확인}} (참고: [[차별상]])
 
==상견==
 
'''상견'''(常見, {{llang|sa|[[:en:nityadrsti|<span style="color: black">nityadrsti</span>]]}}, {{lang|sa|[[:en:śāśvatadrsti|<span style="color: black">śāśvatadrsti</span>]]}}, {{llang|pi|[[:en:sassata-ditthi|<span style="color: black">sassata-ditthi</span>]]}})은 [[세간]](世間)과 [[자아]](自我)는 사후(死後)에도 없어지지 않는다는 [[견 (불교)|견해]]이다. [[상견]](常見)에는 나름의 논리를 갖춘 다양한 [[견 (불교)|견해]]가 있다. [[불교]]의 입장에서 보면, 모든 [[상견]](常見)은 [[유위법]]을 [[무위법]]으로 여기는 잘못된 [[견 (불교)|견해]]이다. '''상사견'''(常邪見) 또는 '''상론'''(常論)이라고도 한다. [[단견]](斷見)과 함께 [[변집견]](邊執見)을 이루며, 다시 [[변집견]]은 5가지 [[염오견]](染汚見)인 [[5견]](五見)의 하나이다.{{sfn|곽철환|2003|loc="[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00812&categoryId=2886 상견(常見)]". 2012년 10월 27일에 확인}}{{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4820&DTITLE=%B1%60%A8%A3常見 常見]". 2012년 10월 27일에 확인}}
 
==상견도==
70번째 줄:
==상계==
 
1. '''상계'''(上界)는 [[상2계]](上二界)의 다른 말이다. 즉, [[욕계]](欲界){{.cw}}[[색계]](色界){{.cw}}[[무색계]](無色界)의 [[3계]](三界) 가운데 [[색계]](色界)와 [[무색계]](無色界)를 통칭한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83%81%EC%9D%B4%EA%B3%84&rowno=1 上二界(상이계)]". 2012년 10월 29일에 확인}}{{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3202&DTITLE=%A4W%AC%C9上界 上界]". 2012년 10월 29일에 확인}}
 
2. '''상계'''(上界)는 [[천상도|천상계]](天上界), [[천도]](天道) 또는 [[천상도]](天上道)를 말한다. [[지옥도]](地獄道){{.cw}}[[아귀도]](餓鬼道){{.cw}}[[축생도]](畜生道){{.cw}}[[수라도]](修羅道){{.cw}}[[인간도]](人間道){{.cw}}[[천도]](天道)의 [[육도 (불교)|6도]](六道) 중 [[천도]](天道)에 해당한다. 천도는 [[천상도]](天上道)라고도 한다. 즉, [[욕계]](欲界){{.cw}}[[색계]](色界){{.cw}}[[무색계]](無色界)의 [[3계]](三界)의 여러 [[천 (불교)|천]](天: 하늘)들을 통칭하여 [[불교 용어 목록/삽#상계|상계]](上界)라고 한다. 이에 대하여 [[욕계]]의 [[지옥도]]{{.cw}}[[아귀도]]{{.cw}}[[축생도]]{{.cw}}[[수라도]]{{.cw}}[[인간도]]의 [[5도]](五道)를 [[불교 용어 목록/ㅎ#하계|하계]](下界)라고 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3202&DTITLE=%A4W%AC%C9上界 上界]". 2012년 10월 29일에 확인}}{{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5822&DTITLE=%A4%BB%B9D六道 六道]". 2012년 10월 29일에 확인}}{{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6601&DTITLE=%A4%D1%B9D天道 天道]". 2012년 10월 29일에 확인}}{{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9C%A1%EB%8F%84&rowno=4 六道(육도)]". 2012년 10월 29일에 확인}}
 
3. '''상계'''(上界)는 어떤 [[계 (불교)|계]](界) 또는 [[천 (불교)|천]](天: 하늘)의 바로 위의 [[계 (불교)|계]](界) 또는 [[천 (불교)|천]](天: 하늘)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3계]] 중 [[색계]]는 [[욕계]]의 상계(上界)이다. [[색계]]의 [[4선천]](四禪天) 중 [[2선천]](二禪天)은 [[초선천]](初禪天)의 상계(上界)이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3202&DTITLE=%A4W%AC%C9上界 上界]". 2012년 10월 29일에 확인}}
 
==상론==
128번째 줄:
顯揚一卷十五頁云:想受滅者:謂離無所有處欲,入滅盡定;於其中間,不恆現行心心法、及恆行一分心心法滅,而離繫性。
二解成唯識論二卷四頁云:想受不行,名想受滅。"}}{{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9C%A1%EB%AC%B4%EC%9C%84&rowno=2 六無爲(육무위)]". 2013년 3월 3일에 확인|ps=<br>"六無爲(육무위):
유식종(唯識宗)에서 무위법(無爲法)이 어떤 것인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가설(假設)로 6존의 이름을 세움. (1) 허공무위(虛空無爲). 걸림 없음을 성품으로 하여 다른 것을 장애하거나 다른 것에 장애됨이 없어 허공ㆍ공간과 같은 무위. (2) 택멸(擇滅)무위. 지혜로 간택(簡擇)ㆍ판정(判定)하는 힘에 따라 얻는 무위. (3) 비택멸(非擇滅)무위. 지혜의 힘에 의하지 않고, 생길 인연이 없어서 나타나는 무위. (4) 부동(不動)무위. 제4선(禪)에 들어가서 선정의 장애를 여의고 얻는 무위. (5) 상수멸(想受滅)무위. 멸진정(滅盡定)에 들어 상(想)과 수(受)를 멸한 곳에 나타나는 무위. (6) 진여(眞如)무위. 진여가 곧 무위임을 말함."}}{{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7118&DTITLE=%B5L%AC%B0無為 無為]". 2013년 3월 3일에 확인|ps=<br>"無為:
 梵語 asajskrta。無造作之意。為「有為」之對稱。即非由因緣所造作,離生滅變化而絕對常住之法。又作無為法(梵 asajskrta-dharma)。原係涅槃之異名,後世更於涅槃以外立種種無為,於是產生三無為、六無為、九無為等諸說。於小乘各部派中,說一切有部立擇滅無為、非擇滅無為、虛空無為,合為三無為。大眾部、一說部、說出世部於三無為之外,立空無邊處、識無邊處、無所有處、非想非非想處等四無色處,及緣起支性(十二緣起之理)、聖道支性(八聖道之理)等,總為九無為。化地部則以不動、善法真如、不善法真如、無記法真如取代四無色處,亦作九無為之說。大乘唯識家於三無為外,別立不動、想受滅、真如,合為六無為;或開立真如為善法、不善法、無記法,而為八無為。然無論開立為六無為或八無為,非謂無為有多種別體,而係斷除我、法二執所顯之一種法性;復以此一法性從所顯之諸緣而稱種種之名。準此而言,真如、法性、法界、實相等亦皆為無為法。又以涅槃而言,上記三無為中之擇滅無為、六無為中之真如無為即涅槃;而涅槃乃一切無為法中之最殊勝者。<br>
 又關於無為法之體,說一切有部主張其為有體,經量部及大乘唯識家以其為無體,不承認其實相。其中,唯識家依「識變」與「法性」假立六種無為,即:(一)指遠離煩惱所知障之真如,以其無有障礙,恰如虛空,稱為虛空無為。(二)指遠離一切有漏之繫縛而顯之真理,稱為擇滅無為。(三)指本來自性清淨之真如,以其非由無漏智之簡擇力而來,稱為非擇滅無為。(四)指顯現於第四靜慮(第四禪)之真如,以第四靜慮已滅苦、樂二受,寂靜不動,稱為不動無為。(五)指顯現於滅盡定之真如,以滅盡定已滅六識心想與苦、樂二受,稱為想受滅無為。(六)指真實如常,無有絲毫虛妄變異之法性真如,稱為真如無為。〔品類足論卷一、大毘婆沙論卷二十一、卷三十九、俱舍論卷一、卷六〕(參閱「有為」2445) p5112"}}{{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5738&DTITLE=%A4%BB%B5L%AC%B0六無為 六無為]". 2013년 3월 3일에 확인|ps=<br>"六無為:
 梵語 sadasajskrta。法相宗對無為法之分類。無為,謂無因緣造作,又無生、住、異、滅之四相;即真理之異名。大乘唯識家以無為法為無體,依識變與法性假立六無為。其法性(依空無我所顯真如)之六無為者,即:(一)虛空無為,謂離煩惱、所知諸障所顯現之真如,其無障礙恰如虛空,故稱虛空無為。(二)擇滅無為,此係就正斷障立名。擇滅,即離繫之意。離一切有漏之繫縛而顯真理,故稱擇滅無為。(三)非擇滅無為,真如之自性本來清淨,離諸雜染,以其非由無漏智之簡擇力,故稱非擇滅無為,此乃大乘之解釋。又有為法之緣缺故不生,此不生若滅,即顯真理,故稱非擇滅無為,此亦非由無漏智之簡擇力,為大小乘共通之解釋。(四)不動無為,指顯現於第四靜慮之無為。第四禪唯有捨受,而離苦樂二受,故稱不動。於滅苦樂受處顯現寂靜之真理,故稱不動無為。(五)想受滅無為,乃顯現於滅盡定之無為。於滅盡定中,滅盡六識心想及苦樂二受,故稱想受滅無為。(六)真如無為,無為乃真實如常而不虛妄變異者,故稱真如無為。六者之中,前五者為詮法性之相的假名,後一者為詮法性之體的假名。<br>
 識變(內識所變)之六無為者,即曾聞說虛空等名,隨分別有虛空等相,由數習力故,變現似虛空等無為之相,此所現之相,前後相似而無變易,假說為常。又唯識家或開六無為中之真如無為,成善法真如、不善法真如、無記法真如三者,而立八無為之說。〔成唯識論卷二、成唯識論述記卷二末、百法問答鈔卷九〕(參閱「無為」5112) p1294"}} 그리고 《[[대승아비달마집론]]》과 《[[대승아비달마잡집론]]》에 따르면 [[멸진정]]은 '[[불항행]](不恒行)의 모든 [[심 (불교)|심]]{{.cw}}[[심소]][不恒行諸心心所]'와 '[[항행]](恒行)의 일분의 [[심 (불교)|심]]{{.cw}}[[심소]][恒行一分心心所滅]', 즉 '항상 [[현행]]하지는 않는 부류에 속한 모든 [[마음 (불교)|마음]]과 [[마음작용]]'과 '항상 [[현행]]하는 부류에 속한 [[마음 (불교)|마음]]과 [[마음작용]]의 일부'가 소멸되는 선정이다. 간단히 말하자면, '[[제6의식]]과 그것의 [[마음작용]]'의 전부 그리고 '[[제7말나식]]과 그것의 [[마음작용]]'의 일부가 소멸되는 [[선정]]이다.{{sfn|무착 조, 현장 한역|T.1605|loc=제1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605_p0665c05 T31n1605_p0665c05 - T31n1605_p0665c08]. 멸진정(滅盡定)|ps=<br>"何等滅盡定。謂已離無所有處欲。超過有頂暫息想。作意為先故。於不恒行諸心心所及恒行一分心心所滅。假立滅盡定。"}}{{sfn|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K.572, T.1605|loc=제1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1364&startNum=17 17 / 159]. 멸진정(滅盡定)|ps=<br>"어떠한 것이 멸진정 불상응행법입니까?
137번째 줄:
[釋] ‘항행의 일부분’이란 염오의(染汚意)에 수렴된 것을 말한다."}}
 
즉, [[상수멸무위]]는 [[멸진정]]에 의해 [[증득]]되는, '[[제6의식]]과 그것의 [[마음작용]]'의 전부 그리고 '[[제7말나식]]과 그것의 [[마음작용]]'의 일부가 소멸된 '''[[적정 (불교)|적정]]'''(寂靜)의 상태를 말하는데,{{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9C%A1%EB%AC%B4%EC%9C%84&rowno=2 六無爲(육무위)]". 2013년 3월 3일에 확인}}{{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7118&DTITLE=%B5L%AC%B0無為 無為]". 2013년 3월 3일에 확인}}{{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5738&DTITLE=%A4%BB%B5L%AC%B0六無為 六無為]". 2013년 3월 3일에 확인}}
이 상태를 두고 [[무위법]]의 하나라고 말하는 것은 이 '''[[적정 (불교)|적정]]'''(寂靜)의 상태가 [[유위법]] 즉 [[인연화합]]에 의해 만들어진 어떤 상태가 아니라 [[진여]]의 한 측면, 즉 1가지 [[무위법]]의 한 측면이라는 것을 뜻한다.
 
148번째 줄:
'''상응'''(相應)은 문자 그대로의 뜻은 '서로 응한다'는 것으로 '''계합'''(契合)을 뜻한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83%81%EC%9D%91&rowno=8 相應(상응)]". 2012년 10월 26일에 확인}}
 
'''상응'''(相應)의 원어로는 [[팔리어]]로는 상윳따({{lang|pi|[[:en:saṃyutta|<span style="color: black">saṃyutta</span>]]}})가 있으며, [[산스크리트어]]로는 삼프라육타(saṃprayukta)와 삼프라요가(saṃprayoga)의 2가지가 있다.{{sfn|곽철환|2003|loc="[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00872&categoryId=2886 상응(相應)]". 2012년 10월 26일에 확인}}{{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3823&DTITLE=%AC%DB%C0%B3相應 相應]". 2012년 10월 26일에 확인}}
 
첫 번째의, [[팔리어]]의 상윳따({{lang|pi|[[:en:saṃyutta|<span style="color: black">saṃyutta</span>]]}})의 번역어로서의 [[상응]](相應)은 가르침을 주제에 따라 분류하여 배열한 것을 말한다.{{sfn|곽철환|2003|loc="[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00872&categoryId=2886 상응(相應)]". 2012년 10월 26일에 확인}} 두 번째의, [[산스크리트어]] 삼프라육타(saṃprayukta)와 삼프라요가(saṃprayoga)의 번역어로서의 [[상응]](相應)은 서로 화합(和合)하는 것, 화합하여 서로 떨어지지 않는[不離] 것, 화합하여 동행(同行)하는 것을 말한다. 특히, 동일한 [[불교 용어 목록/이#인식대상|대상]]을 [[인연]]하여 [[마음 (불교)|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과 [[마음작용]](심소, 심소법)이 그 [[불교 용어 목록/이#인식대상|대상]]에 대해 서로 화합하여 함께 작용하는 것을 [[상응]]이라 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3823&DTITLE=%AC%DB%C0%B3相應 相應]". 2012년 10월 26일에 확인}}
 
==상응무명==
159번째 줄:
2무명의 하나. 구사종에서는 10수면(睡眠)과 상응하여 일어나는 무명을 말하고, 유식종에서는 6근본번뇌와 상응하는 동시에 일어나는 무명을 말함."}}
 
[[무명 (불교)|무명]](無明)은 [[탐|탐]](貪){{.cw}}[[진 (불교)|진]](瞋){{.cw}}[[만 (불교)|만]](慢){{.cw}}[[무명 (불교)|치]](癡, 無明){{.cw}}[[불교 용어 목록/육#의|의]](疑){{.cw}}[[악견|견]](見, 惡見)의 [[6근본번뇌]] 가운데 하나인데, [[무명]]은 나머지 5가지 [[근본번뇌]]와 [[상응]]하면서 [[불교 용어 목록/ㅎ#현행|생기]](生起)할 수도 있고, 이들과 [[상응]]하지 않고 그 자체로 홀로 [[불교 용어 목록/ㅎ#현행|생기]]할 수도 있다. 전자의, 다른 [[근본번뇌]]와 [[상응|상응]]하면서 [[불교 용어 목록/ㅎ#현행|생기]]하는 [[무명 (불교)|무명]](無明)을 [[상응무명]] 또는 [[공무명]]이라 한다.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교학에서 [[6근본번뇌]]는 [[6수면]]이라고 하고 [[6수면]] 가운데 [[악견|견]]이 [[5견]]으로 세분되어 [[6수면]]은 [[10수면]]이 된다. 따라서 [[10수면]]의 문맥에서 [[상응무명]] 또는 [[공무명]]이라고 할 때는 나머지 9가지 [[수면 (불교)|수면]] 가운데 하나 혹은 다수와 [[상응]]하면서 그것들과 함께 일어나는 [[무명 (불교)|무명]]을 말한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83%81%EC%9D%91%EB%AC%B4%EB%AA%85&rowno=1 相應無明(상응무명)]". 2013년 3월 18일에 확인}}{{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3827&DTITLE=%AC%DB%C0%B3%B5L%A9%FA相應無明 相應無明]". 2013년 3월 18일에 확인|ps=<br>"相應無明:
 「不共無明」之對稱。又作共無明。即與貪等諸惑相應而生起之無明。(參閱「無明」5094) p3914"}}
 
168번째 줄:
==상이계==
 
'''상2계'''(上二界)는 [[욕계]](欲界){{.cw}}[[색계]](色界){{.cw}}[[무색계]](無色界)의 [[3계]](三界) 가운데 [[색계]](色界)와 [[무색계]](無色界)를 통칭하는 말이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83%81%EC%9D%B4%EA%B3%84&rowno=1 上二界(상이계)]". 2012년 10월 29일에 확인}} '''[[불교 용어 목록/삽#상계|상계]]'''(上界)라는 낱말이 [[상2계]]의 동의어로 쓰이기도 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3202&DTITLE=%A4W%AC%C9上界 上界]". 2012년 10월 29일에 확인}}
 
==상지==
174번째 줄:
 
'''상지'''(上地)는 여러 [[지 (불교)|지]](地)가 있을 때 서로를 비교하여 하위에 위치하는 [[지 (불교)|지]](地)에 대하여 상위에 위치하는 [[지 (불교)|지]](地)를 가리킨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9C%A1%ED%96%89%EA%B4%80&rowno=1 六行觀(육행관)]". 2013년 5월 27일에 확인|ps=<br>"六行觀(육행관):
유루지(有漏智)로써, 모든 수혹(修惑)을 끊을 때에 닦는 하지(下地)를 싫어하고, 상지(上地)를 좋아하는 관(觀). 곧 무간도(無間道)에서는 하지(下地)를 반연하여 추(麤)ㆍ고(苦)ㆍ장(障)이라 관하고, 해탈도(解脫道)에서는 상지(上地)를 반연하여 정(靜)ㆍ묘(妙)ㆍ이(離)라 관하는 것."}}{{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5804&DTITLE=%A4%BB%A6%E6%C6%5B六行觀 六行觀]". 2013년 5월 27일에 확인|ps=<br>"六行觀:
 以有漏智次第斷除修惑之際所修厭下欣上之觀法。三界分為九地,比較上地與下地,下地為粗、苦、障,故觀而厭之;上地為靜、妙、離,故觀而欣之。依此欣上厭下之力,可次第斷除下地之惑,故又稱欣厭觀。<br>
 有部主張,行者入見道之前,可以六行觀斷除修惑之一分,而入於見道。據俱舍論卷二十四載,於無間道時,緣自地(自己現在之境位)與次下地之諸有漏法,觀粗、苦、障等三行相之一;於解脫道中,緣次上地之諸有漏法,觀靜、妙、離等三行相之一,如是則可斷除次下地之惑。合其上下,共須觀六行相,故稱六行觀。<br>
197번째 줄:
==색계==
 
'''색계'''(色界)는 [[욕계]](欲界){{.cw}}[[색계]](色界){{.cw}}[[무색계]](無色界)의 [[3계]](三界) 가운데 하나로, [[욕유]](欲有){{.cw}}[[색유]](色有){{.cw}}[[무색유]](無色有)의 [[3유]](三有) 가운데 [[색유]](色有)와 동의어이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0403&DTITLE=%A6%B3 有]". 2012년 10월 24일에 확인|ps=<br>"有:
 梵語 bhava,巴利語同。即存在、生存之義。於佛教典籍或各家主張中,「有」之使用範圍極廣,其意義與分類亦有多種不同之說法。據大毘婆沙論卷六十所舉,「有」之義有多種,然主要指有情眾生之異熟果體,及能招感此異熟果體之諸業。亦即由善惡之業因,能招感苦樂之果報,此種因果報應,相續而不亡失,故稱為「有」。又據俱舍論卷九、成唯識論卷八等所舉,能牽引當來果報之業,稱為「有」,此有即指「有支」,為十二因緣之一。<br>
 就諸法之存在與否而言,「有」係表示諸法之存在,為「無」、「空」之對稱。說一切有部認為,諸法存在,三世實有。然唯識家則以「依他起性」之諸法為「假有」,以「圓成實性」為「實有」,但此「實有」與說一切有部之「三世實有」等意義不同,乃指諸法之實性(真如)常存、遍存,無有生滅,故唯識家特稱之為妙有、真有。<br>
203번째 줄:
 另關於「有」之種類,可分為下列數種:(一)三有,指三界,亦即指欲有、色有、無色有。(二)七有,指地獄有、餓鬼有、傍生有、天有、人有、業有、中有。(三)二十五有,包括:(1)地獄、惡鬼、畜生、阿修羅等四惡趣。(2)東勝身洲、南贍部洲、西牛貨洲、北俱盧洲等四洲。(3)四天王天、夜摩天、忉利天、兜率天、化樂天、他化自在天等六欲天。(4)初禪天、大梵天、第二禪天、第三禪天、第四禪天、無想天、五淨居天等色界諸天。(5)空無邊處天、識無邊處天、無所有處天、非想非非想處天等無色界諸天。(四)二十九有,即將上述二十五有中之五淨居天,細分為無煩天、無熱天、善見天、善現天、色究竟天等五天,總合為二十九有。<br>
 此外,初果之聖者,尚須於人界、天界間往返七次(各受生七次),合之則為十四生,而每一生復分為生有、中有,故共為「二十八有」,此二十八有又稱二十八生,為初果聖者受生之極度,故更無第二十九有可言。準此,若言「二十九有」者,則多表示事物之絕無者,猶如謂「六陰」、「十三入」、「十九界」等。<br>
 又以一切萬有因存在之狀態不同,而有諸種之分類,此總稱為「諸有」;而「諸有」廣大無邊猶如大海,故亦稱「諸有海」。於大智度論卷十二中,將存在之法分為三種,稱為三種有,即:(一)相待有,謂有大小、長短等相對之存在。(二)假名有,謂由眾多因緣集合而成者,如由四大假合之人等,係有假名而無實體者。(三)法有,謂由因緣而生之法,雖無自性,然非如兔角、龜毛等之有名無實,故稱法有。〔集異門足論卷四、大毘婆沙論卷一九二、俱舍論卷十九、順正理論卷四十五、成唯識論卷二、卷九、大智度論卷三、大乘義章卷八〕(參閱「十二因緣」337、「三有」548、「四有」1668、「無」5068) p2426"}}{{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2155&DTITLE=%A4T%A6%B3三有 三有]". 2012년 10월 24일에 확인|ps=<br>"三有:
  有,梵語 bhava,其義分類如下:(一)欲有、色有、無色有。義同三界。(一)欲有,欲界天、人、修羅、畜生、餓鬼、地獄,各隨其業因而受果報,稱為欲有。(二)色有,色界四禪諸天,雖離欲界粗染之身,而有清淨之色,稱為色有。(三)無色有,無色界四空諸天,雖無色質為礙,亦隨所作之因,受其果報,稱為無色有。〔大智度論卷三、集異門足論卷四、大毘婆沙論卷六十〕 <br>
 (二)有情一生之始終分為生有、本有、死有。(一)生有,指託生之最初一剎那。(二)本有,指由生至死之間。(三)死有,指死之瞬間。小乘有部宗則以此三有,加上「中有」,而主張四有之說。〔異部宗輪論〕(參閱「四有」1688) <br>
332번째 줄:
 
1. '''색욕'''(色欲)은 [[오경 (불교)|5경]](五境)에 대한 [[탐욕]] 또는 [[집착]]인 [[불교 용어 목록/삽#색욕|색욕]](色欲){{.cw}}[[성욕 (5욕)|성욕]](聲欲){{.cw}}[[향욕 (5욕)|향욕]](香欲){{.cw}}[[미욕 (5욕)|미욕]](味欲){{.cw}}[[촉욕 (5욕)|촉욕]](觸欲)의 [[5욕]](五欲) 가운데 하나이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83%89%EC%9A%95&rowno=2 色欲(색욕)]". 2013년 5월 20일에 확인|ps=<br>"色欲(색욕):
5욕(欲)의 하나. (1) 청ㆍ황ㆍ적ㆍ백 따위의 색깔에 대한 욕심. (2) 남녀간의 정욕."}}{{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4414&DTITLE=%A4%AD%B1%FD五欲 五欲]". 2013년 5월 20일에 확인|ps=<br>"五欲:
 梵語 pañca kāmāh,巴利語 pañca kāmā。(一)又作五妙欲、妙五欲、五妙色。指染著色、聲、香、味、觸等五境所起之五種情欲。即:(一)色欲(梵 rūpa-kāma),謂男女之形貌端莊及世間寶物玄、黃、朱、紫等種種妙色,能使眾生樂著無厭。(二)聲欲(梵 śabda-kāma),謂絲竹與環珮之聲及男女歌詠等聲,能使眾生樂著無厭。(三)香欲(梵 gandha-kāma),謂男女身體之香及世間一切諸香,能使眾生樂著無厭。(四)味欲(梵 rasa-kāma),謂各種飲食肴緕等美味,能使眾生樂著無厭。(五)觸欲(梵 sprastavya-kāma),謂男女之身有柔軟細滑、寒時體溫、熱時體涼及衣服等種種好觸,能使眾生樂著無厭。又相對於欲界粗弊之五欲,稱色界、無色界之五欲為「淨潔五欲」。〔佛遺教經、大智度論卷十七、卷三十七、摩訶止觀卷四下〕<br>
 (二)指財欲、色欲、飲食欲、名欲、睡眠欲。即:(一)財欲,財即世間一切之財寶。謂人以財物為養身之資,故貪求戀著而不捨。(二)色欲,色即世間之青、黃、赤、白及男女等色。謂人以色悅情適意,故貪求戀著,不能出離三界。(三)飲食欲,飲食即世間之肴緕眾味。謂人必藉飲食以資身活命,故貪求戀著而無厭。(四)名欲,名即世間之聲名。謂人由聲名而能顯親榮己,故貪求樂著而不知止息。(五)睡眠欲,謂人不知時節,怠惰放縱,樂著睡眠而無厭。〔華嚴經隨疏演義鈔卷二十七、大明三藏法數卷二十四〕 p1149"}}{{sfn|佛門網|loc="[http://dictionary.buddhistdoor.com/word/38125/%E4%BA%94%E6%AC%B2 五欲]". 2013년 5월 20일에 확인|ps=<br>"五欲:
361번째 줄:
<br>頁數: 出華嚴經隨疏演義鈔"}}
 
[[불교 용어 목록/삽#색욕|색욕]](色欲, {{llang|sa|[[:en:rūpa-kāma|<span style="color: black">rūpa-kāma</span>]]}})은 [[오경 (불교)|5경]] 가운데 [[색경 (5경)|색경]](色境)이 지닌 [[맛 (불교)|맛]][味]에 [[미착]](味著: 맛들여 집착함)하는 것 또는 이러한 [[미착]]에 의해 형성된 [[탐욕]]{{.cw}}[[집착]] 또는 [[갈애]]를 말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4414&DTITLE=%A4%AD%B1%FD五欲 五欲]". 2013년 5월 20일에 확인}}{{sfn|佛門網|loc="[http://dictionary.buddhistdoor.com/word/38125/%E4%BA%94%E6%AC%B2 五欲]". 2013년 5월 20일에 확인}}
 
《[[마하지관]]》 제4권과 《[[천태사교의]]》와 《[[삼장법수]]》에 따르면,{{sfn|佛門網|loc="[http://dictionary.buddhistdoor.com/word/38125/%E4%BA%94%E6%AC%B2 五欲]". 2013년 5월 20일에 확인}}{{sfn|제관 록|T.1931|loc=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46n1931_p0780b10 T46n1931_p0780b10 - T46n1931_p0780b17]. 5욕(五欲)|ps=<br>"第二訶五欲。一訶色。謂男女形貌端嚴。脩目高眉丹。脣皓齒。及世間寶物。玄黃朱紫種種妙色等。二訶聲。謂絲竹環珮之聲。及男女歌詠聲等。三訶香。謂男女身香。及世間飲食香等。四訶味。謂種種飲食肴膳美味等。五訶觸。謂男女身分柔軟細滑。寒時體溫。熱時體涼。及諸好觸等。"}}{{sfn|지의 설, 관정 기|T.1911|loc=제4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46n1911_p0043c10 T46n1911_p0043c10 - T46n1911_p0044c06]. 5욕(五欲)|ps=<br>"第二呵五欲者。謂色聲香味觸。十住毘婆沙云。禁六情如縶狗鹿魚蛇猿鳥。狗樂聚落鹿樂山澤。魚樂池沼。蛇樂穴居。猿樂深林。鳥樂依空。六根樂六塵。非是凡夫淺智弱志所能降伏。唯有智慧堅心正念。乃能降伏。總喻六根。今私對之。眼貪色色有質像如聚落。眼如狗也。耳貪聲聲無質像如空澤。耳如鹿也。鼻貪香如魚也。舌引味如蛇也。身著觸如猿也。心緣法如鳥也。今除意但明於五塵。五塵非欲而其中有味。能生行人須欲之心。故言五欲。譬如陶師人客延請不得就功。五欲亦爾。常能牽人入諸魔境。雖具前緣攝心難立。是故須呵。色欲者所謂赤白長短明眸善睞。素頸翠眉皓齒丹脣。乃至依報紅黃朱紫諸珍寶物惑動人心。如禪門中所說。色害尤深令人狂醉。生死根本良由此也。如難陀為欲持戒。雖得羅漢習氣尚多。況復具縛者乎。國王耽荒無度。不顧宗廟社稷之重。為欲樂故身入怨國。此間上代亡國破家多從欲起。赫赫宗周褒姒滅之。即其事也。經云。眾生貪狼於財色。坐之不得道。觀經云。色使所使為恩愛奴。不得自在。若能知色過患則不為所欺。如是呵已。色欲即息。緣想不生。專心入定。聲欲者即是嬌媚妖詞。婬聲染語。絲竹絃管。環釧鈴珮等聲也。香欲者。即是鬱茀氛氳。蘭馨麝氣。芬芳酷烈郁毓之物。及男女身分等香。味欲者。即是酒肉珍肴。肥瘦津膩。甘甜酸辣。酥油鮮血等也。觸欲者。即是冷暖細滑。輕重強軟。名衣上服。男女身分等。此五過患者。色如熱金丸執之則燒。聲如毒塗鼓聞之必死。香如憋龍氣嗅之則病。味如沸蜜湯舌則爛。如蜜塗刀舐之則傷。觸如臥師子近之則齧。此五欲者得之無厭。惡心轉熾如火益薪。世世為害劇於怨賊。累劫已來。常相劫奪摧折色心。今方禪寂復相惱亂。深知其過貪染休息。事相具如禪門中(云云)。上代名僧詩云。遠之易為士近之難為情。香味頹高志聲色喪軀齡。 ○觀心呵五欲者。如色欲中滋味無量。謂常無常。我無我。淨不淨。苦樂空有。世第一義皆是滋味。故大論云。色中無味相凡夫不應著。若謂色是常是見依色。若色無常。亦常亦無常。非常非無常。是見皆依色。乃至非如去。非不如去。非邊非無邊等。是見皆依於色。悉是諍競執謂是實。戲論破智慧眼。互相是非。為色造業。適有此有即有生死。如是觀者增長於欲非是呵欲。今觀色有無等六十二見。皆依無明。無明無常生滅不住。速朽之法念念磨滅。無我無主寂滅涅槃。無明既爾。從無明生若有若無等。悉皆無常寂滅涅槃。既無主我。誰實誰虛。終不於色起生死業業謝果亡。是為呵色入空而得解脫。呵色既爾餘四亦然。是名三藏析法呵五欲也。中論指此云不善滅戲論也。若摩訶衍呵色欲者。體知諸見皆依無明。無明即空諸見亦即空。故金剛般若云。須陀洹者名為入流。實不入流。不入色聲香味觸故。所以者何。若有色可析可名入色。色即是空無色可入。故名不入。既無流可入即無業果。是名善滅戲論。呵色既爾餘四亦然。復次呵色即空者。但入色空不能分別種種色相。云何能度一切眾生。眾生於色起種種計。即是種種集招種種苦。苦集病多。道滅之藥亦復無量。若欲化他豈可證空而不觀察。是故知空非空。從空入假。恒沙佛法悉令通達。若不如此猶名受入色空。今深呵色空不受不入。廣分別色。雖復分別但有名字。名字即空故稱為假。呵色既爾。餘四亦然。又呵色二邊。如大品云。色中無味相凡夫不應著。色中無離相二乘不應離。破色無明有無等見。是呵其味。破其沈空是呵其離。若定有味不應有離若定有離不應有味。味不定故非味。離不定故非離。不著二邊即是非味非離顯色中道實相。故釋論云。二乘為禪故呵色事。不名波羅蜜。菩薩呵色即見色實相。見色實相即是見禪實相。故名波羅蜜到色彼岸。到色彼岸即是見色中道。分別色者即是見色俗。即色空者是見色真。如是呵色盡色源底。成三諦三昧發三種智慧。深呵於色為止觀方便。其意在此。呵色既然餘四亦爾。"}}
381번째 줄:
<br style="margin-bottom: 10px">出處: 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William Edward Soothill and Lewis Hodous
<br>解釋:
<br>idem 依報 v. 依正."}}{{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1104&DTITLE=%A8%CC%A5%BF%A4G%B3%F8依正二報 依正二報]". 2013년 5월 20일에 확인|ps=<br>"依正二報:
 即依報與正報。略稱二報。正報,即指依過去善惡業因而感得之果報正體,如生於人間,則具備四肢五官,受人間之果報;生於畜牲,則具備羽毛齒革,受畜牲之果報。依報,即指依於正報而受相應止住之所的果報,如受人間之正報者,則必有與其相應之家屋器物等依報;受畜牲之正報者,則必有與畜牲相應之巢穴等依報。<br>
 概言之,依報指國土世間,即有情依託之處所;正報指眾生世間,即能依之有情。華嚴經行願品疏鈔卷二(卍續七‧四二四上):「依者,凡聖所依之國土,若淨若穢;正者,凡聖能依之身,謂人天、男女、在家出家、外道諸神、菩薩及佛。」又以依正二報均屬果報之一種,故又可分別稱為依報依果(略稱依果)、正報正果(略稱正果)。〔菩薩瓔珞本業經卷上、無量壽經疏(慧遠)、觀經玄義分、往生論註卷下、大明三藏法數卷二十七〕 p3054"}}
 
2. '''색욕'''(色欲)은 [[재욕]](財欲){{.cw}}[[색욕]](色欲){{.cw}}[[음식욕]](飲食欲){{.cw}}[[명욕]](名欲){{.cw}}[[수면욕]](睡眠欲)의 [[5욕]](五欲) 즉 5가지 [[탐욕]] 또는 [[집착]] 가운데 하나이다. 여기서의 [[색욕]]은 남녀간의 정욕(情慾) 즉 [[성욕]](性慾)을 말한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83%89%EC%9A%95&rowno=2 色欲(색욕)]". 2013년 5월 20일에 확인}}{{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4414&DTITLE=%A4%AD%B1%FD五欲 五欲]". 2013년 5월 20일에 확인}}{{sfn|佛門網|loc="[http://dictionary.buddhistdoor.com/word/38125/%E4%BA%94%E6%AC%B2 五欲]". 2013년 5월 20일에 확인}}
 
==색유==
 
'''색유'''(色有)는 [[욕유]](欲有){{.cw}}[[색유]](色有){{.cw}}[[무색유]](無色有)의 [[3유]](三有) 가운데 하나로, [[십이연기설#(10) 유(有)|유]](有)는 [[존재]] 또는 그 존재가 살고 있는 [[불교 용어 목록/선#세간|세계]]를 뜻한다. [[불교 용어 목록/선#세간|세계]]라는 뜻에서는 [[욕유]]는 [[욕계]](欲界){{.cw}}[[색계]](色界){{.cw}}[[무색계]](無色界)의 [[3계]](三界) 가운데 '''색계'''(色界)와 동의어이다. 그리고 [[존재]]라는 뜻에서는 [[색유]]는 [[색계]]에 [[윤회]]할 수 밖에 없는 [[지 (불교)|상태]] 또는 [[경지]]의 [[중생|유정]]을 말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0403&DTITLE=%A6%B3 有]". 2012년 10월 24일에 확인|ps=<br>"有:
 梵語 bhava,巴利語同。即存在、生存之義。於佛教典籍或各家主張中,「有」之使用範圍極廣,其意義與分類亦有多種不同之說法。據大毘婆沙論卷六十所舉,「有」之義有多種,然主要指有情眾生之異熟果體,及能招感此異熟果體之諸業。亦即由善惡之業因,能招感苦樂之果報,此種因果報應,相續而不亡失,故稱為「有」。又據俱舍論卷九、成唯識論卷八等所舉,能牽引當來果報之業,稱為「有」,此有即指「有支」,為十二因緣之一。<br>
 就諸法之存在與否而言,「有」係表示諸法之存在,為「無」、「空」之對稱。說一切有部認為,諸法存在,三世實有。然唯識家則以「依他起性」之諸法為「假有」,以「圓成實性」為「實有」,但此「實有」與說一切有部之「三世實有」等意義不同,乃指諸法之實性(真如)常存、遍存,無有生滅,故唯識家特稱之為妙有、真有。<br>
395번째 줄:
 另關於「有」之種類,可分為下列數種:(一)三有,指三界,亦即指欲有、色有、無色有。(二)七有,指地獄有、餓鬼有、傍生有、天有、人有、業有、中有。(三)二十五有,包括:(1)地獄、惡鬼、畜生、阿修羅等四惡趣。(2)東勝身洲、南贍部洲、西牛貨洲、北俱盧洲等四洲。(3)四天王天、夜摩天、忉利天、兜率天、化樂天、他化自在天等六欲天。(4)初禪天、大梵天、第二禪天、第三禪天、第四禪天、無想天、五淨居天等色界諸天。(5)空無邊處天、識無邊處天、無所有處天、非想非非想處天等無色界諸天。(四)二十九有,即將上述二十五有中之五淨居天,細分為無煩天、無熱天、善見天、善現天、色究竟天等五天,總合為二十九有。<br>
 此外,初果之聖者,尚須於人界、天界間往返七次(各受生七次),合之則為十四生,而每一生復分為生有、中有,故共為「二十八有」,此二十八有又稱二十八生,為初果聖者受生之極度,故更無第二十九有可言。準此,若言「二十九有」者,則多表示事物之絕無者,猶如謂「六陰」、「十三入」、「十九界」等。<br>
 又以一切萬有因存在之狀態不同,而有諸種之分類,此總稱為「諸有」;而「諸有」廣大無邊猶如大海,故亦稱「諸有海」。於大智度論卷十二中,將存在之法分為三種,稱為三種有,即:(一)相待有,謂有大小、長短等相對之存在。(二)假名有,謂由眾多因緣集合而成者,如由四大假合之人等,係有假名而無實體者。(三)法有,謂由因緣而生之法,雖無自性,然非如兔角、龜毛等之有名無實,故稱法有。〔集異門足論卷四、大毘婆沙論卷一九二、俱舍論卷十九、順正理論卷四十五、成唯識論卷二、卷九、大智度論卷三、大乘義章卷八〕(參閱「十二因緣」337、「三有」548、「四有」1668、「無」5068) p2426"}}{{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2155&DTITLE=%A4T%A6%B3三有 三有]". 2012년 10월 24일에 확인|ps=<br>"三有:
  有,梵語 bhava,其義分類如下:(一)欲有、色有、無色有。義同三界。(一)欲有,欲界天、人、修羅、畜生、餓鬼、地獄,各隨其業因而受果報,稱為欲有。(二)色有,色界四禪諸天,雖離欲界粗染之身,而有清淨之色,稱為色有。(三)無色有,無色界四空諸天,雖無色質為礙,亦隨所作之因,受其果報,稱為無色有。〔大智度論卷三、集異門足論卷四、大毘婆沙論卷六十〕 <br>
 (二)有情一生之始終分為生有、本有、死有。(一)生有,指託生之最初一剎那。(二)本有,指由生至死之間。(三)死有,指死之瞬間。小乘有部宗則以此三有,加上「中有」,而主張四有之說。〔異部宗輪論〕(參閱「四有」1688) <br>
428번째 줄:
 
2. '''[[불교 용어 목록/삽#생|생]]'''(生, {{llang|sa|[[:en:prabhava|<span style="color: black">prabhava</span>]]}})은 [[괴로움]]이라는 결과[苦果]가 계속 [[상속 (불교)|상속]]되면서 [[생 (4상)|일어나게]] 또는 자라나게 하는[能令續起, prabhava{{sfn|Sanskrit and Tamil Dictionaries|loc="[http://www.sanskrit-lexicon.uni-koeln.de/cgi-bin/tamil/recherche?dictionary=all&prst=exact&maxhits=50&st=prabhava prabhava]". 2013년 2월 7일에 확인|ps=<br>"3 (mwd) prabhava mfn. prominent , excelling , distinguished RV. ; m. production , source , origin , cause of existence (as father or mother , also `" the Creator "') , birthplace (often ifc. , with f. %{A} , springing or rising or derived from , belonging to) Up. Mn. MBh. &c. ; might , power (= %{pra-bhAva}) L. ; N. of a Sa1dhya Hariv. ; of Vishn2u A. ; of sev. men HParis3. ; N. of the first or 35th year in a 60 years "' cycle of Jupiter Var. ; %{-prabhu} and %{-svAmin} m. (with Jainas) N. of one of the 6 S3ruta-kevalins L.
<br>7 (cap) prabhava a. excelling; m. origin, source, home, a. --- sprung or descended from, being in or on."}}] 어떤 [[법 (불교)|법]]을 뜻하는데, [[유루]](有漏)를 가리키는 말이다.{{sfn|세우 조, 현장 한역|T.1542|loc=제1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6n1542_p0694a04 T26n1542_p0694a04 - T26n1542_p0694a06]. 집지(集智)|ps=<br>"集智云何。謂於有漏因思惟因集生緣。所起無漏智。"}}{{sfn|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K.949, T.1542|loc=제1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328&startNum=10 10 / 448]. 집지(集智)|ps=<br>"집지(集智)란 무엇인가? ‘유루(有漏)의 원인에 대하여 괴로움의 결과를 내는 원인[因]이며 발생하여 나타나게[集] 하며 상속하여 나게[生] 하며 이루게 하는 연(緣)이다’라고 사유하여 일으킨 무루의 지혜이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754&DTITLE=%A4Q%A4%BB%A6%E6%AC%DB十六行相 十六行相]". 2013년 2월 2일에 확인|ps=<br>"十六行相:
 梵語 sodaśākārāh。又作十六行、十六行觀、十六行相觀、十六聖行、十六諦、四諦十六行相。行相,相狀之意。觀四諦時,各有四種差別,於其時所產生之行相共有十六種。據俱舍論卷二十六所載,苦聖諦有四相(苦諦四相):(一)非常(梵 anitya),待緣而成故。(二)苦(梵 duhkha),逼迫性故。(三)空(梵 śūnya),違我所見故。(四)非我(梵 anātman),違我見故。集聖諦亦有四相(集諦四相):(一)因(梵 hetu),其理如種子。(二)集(梵 samudaya),同於顯現之理。(三)生(梵 prabhava),能令續起。(四)緣(梵 pratyaya),能令成辦;譬如泥團、輪、繩與水等眾緣,和合而成一瓶。滅聖諦亦有四相(滅諦四相):(一)滅(梵 nirodha),諸蘊盡故。(二)靜(梵 śānta),三火息故。(三)妙(梵 pranīta),眾患無故。(四)離(梵 nihsarana),脫眾災故。道聖諦亦有四相(道諦四相):(一)道(梵 mārga),通行義故。(二)如(梵 nyāya),契正理故。(三)行(梵 pratipad),正趣向故。(四)出(梵 nairyānika),能永超故。十六行相名雖十六,實事唯七。謂緣苦諦者,名實俱四;緣餘三諦者,名四實一。說十六行相之目的,為治常、樂、我所、我見等見,故修非常、苦、空、非我等行相;為治無因、一因、變因、知先因等見,故修因、集、生、緣等行相;為治解脫是無之見,故修滅行相;為治解脫是苦之見,故修靜行相;為治靜慮及等至之樂為妙之見,故修妙行相;為治解脫是數數退墮而非永恆之見,故修離行相;為治無道、邪道、餘道、退道之見,故修道、如、行、出等行相。〔坐禪三昧經卷下、正法念處經卷三十四、大毘婆沙論卷七十九〕"}}
 
3. '''[[불교 용어 목록/삽#생|생]]'''(生, {{llang|sa|[[:en:prabhava|<span style="color: black">prabhava</span>]]}})은 불교의 수행법 중 하나인 [[4제 16행상]](四諦 十六行相: 4성제를 관찰하는 16종의 관법 또는 관행{{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D%96%89%EC%83%81&rowno=2 十六行相(십륙행상)]". 2013년 1월 6일에 확인|ps=<br>"十六行相(십륙행상): 4제(諦)를 관찰하는 16종의 관법(觀法). (1) 고제(苦諦)의 4행상. 만유의 현상은 생멸 변화하는 것이며, 고(苦)ㆍ공(空)ㆍ무상(無常)ㆍ무아(無我)라 관함. (2) 집제(集諦)의 4행상. 온갖 번뇌와 업(業)은 고과(苦果)를 내는 인(因)이며, 고과를 모아(集) 나타나게 하며, 상속하여 나게(生) 하며, 고과를 이루게 하는 연(緣)이라 관함. (3) 멸제(滅諦)의 4행상. 멸제는 물(物)ㆍ심(心)의 속박이 없는 진리며(滅), 번뇌의 시끄러움이 없으며(靜), 3계를 벗어나 온갖 근심이 없으며(妙), 온갖 재액(災厄)을 여의었다고(離) 관함. (4) 도제(道諦)의 4행상, 도제는 진리에 들어가는 길이며(道), 올바른 이치에 계합하며(如), 열반 적정한 경지에 가게 하며(行), 생사계를 뛰어나게 하는(出) 것이라고 관함."}}) 가운데 하나로, [[4성제]] 중 [[집제]]에 대한 4가지 [[현관 (불교)|관찰]][觀法 또는 觀行]인 [[불교 용어 목록/이#인|인]](因){{.cw}}[[불교 용어 목록/지#집|집]](集){{.cw}}[[불교 용어 목록/삽#생|생]](生){{.cw}}[[연 (불교)#연의 행상|연]](緣) 가운데 [[불교 용어 목록/삽#생|생]](生)을 말한다. 이것은 '[[유루]](有漏)라는 [[인연|원인]][因]에 대하여, 마치 씨앗 즉 [[불교 용어 목록/정#종자|종자]](種子)로부터 나무가 이어져 자라난 것처럼[能令續起], [[유루]]는 [[괴로움]]이라는 결과[苦果]가 계속 [[상속 (불교)|상속]]되면서 [[생 (4상)|일어나게]] 또는 자라나게 한다[能令續起, prabhava{{sfn|Sanskrit and Tamil Dictionaries|loc="[http://www.sanskrit-lexicon.uni-koeln.de/cgi-bin/tamil/recherche?dictionary=all&prst=exact&maxhits=50&st=prabhava prabhava]". 2013년 2월 7일에 확인|ps=<br>"3 (mwd) prabhava mfn. prominent , excelling , distinguished RV. ; m. production , source , origin , cause of existence (as father or mother , also `" the Creator "') , birthplace (often ifc. , with f. %{A} , springing or rising or derived from , belonging to) Up. Mn. MBh. &c. ; might , power (= %{pra-bhAva}) L. ; N. of a Sa1dhya Hariv. ; of Vishn2u A. ; of sev. men HParis3. ; N. of the first or 35th year in a 60 years "' cycle of Jupiter Var. ; %{-prabhu} and %{-svAmin} m. (with Jainas) N. of one of the 6 S3ruta-kevalins L.
<br>7 (cap) prabhava a. excelling; m. origin, source, home, a. --- sprung or descended from, being in or on."}}]고 관찰하는 것'을 말한다. 즉, 이러한 수행[行相]을 [[불교 용어 목록/삽#생|생]](生)이라고 한다.{{sfn|세우 조, 현장 한역|T.1542|loc=제1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6n1542_p0694a04 T26n1542_p0694a04 - T26n1542_p0694a06]. 집지(集智)|ps=<br>"集智云何。謂於有漏因思惟因集生緣。所起無漏智。"}}{{sfn|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K.949, T.1542|loc=제1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328&startNum=10 10 / 448]. 집지(集智)|ps=<br>"집지(集智)란 무엇인가? ‘유루(有漏)의 원인에 대하여 괴로움의 결과를 내는 원인[因]이며 발생하여 나타나게[集] 하며 상속하여 나게[生] 하며 이루게 하는 연(緣)이다’라고 사유하여 일으킨 무루의 지혜이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754&DTITLE=%A4Q%A4%BB%A6%E6%AC%DB十六行相 十六行相]". 2013년 2월 2일에 확인|ps=<br>"十六行相:
 梵語 sodaśākārāh。又作十六行、十六行觀、十六行相觀、十六聖行、十六諦、四諦十六行相。行相,相狀之意。觀四諦時,各有四種差別,於其時所產生之行相共有十六種。據俱舍論卷二十六所載,苦聖諦有四相(苦諦四相):(一)非常(梵 anitya),待緣而成故。(二)苦(梵 duhkha),逼迫性故。(三)空(梵 śūnya),違我所見故。(四)非我(梵 anātman),違我見故。集聖諦亦有四相(集諦四相):(一)因(梵 hetu),其理如種子。(二)集(梵 samudaya),同於顯現之理。(三)生(梵 prabhava),能令續起。(四)緣(梵 pratyaya),能令成辦;譬如泥團、輪、繩與水等眾緣,和合而成一瓶。滅聖諦亦有四相(滅諦四相):(一)滅(梵 nirodha),諸蘊盡故。(二)靜(梵 śānta),三火息故。(三)妙(梵 pranīta),眾患無故。(四)離(梵 nihsarana),脫眾災故。道聖諦亦有四相(道諦四相):(一)道(梵 mārga),通行義故。(二)如(梵 nyāya),契正理故。(三)行(梵 pratipad),正趣向故。(四)出(梵 nairyānika),能永超故。十六行相名雖十六,實事唯七。謂緣苦諦者,名實俱四;緣餘三諦者,名四實一。說十六行相之目的,為治常、樂、我所、我見等見,故修非常、苦、空、非我等行相;為治無因、一因、變因、知先因等見,故修因、集、生、緣等行相;為治解脫是無之見,故修滅行相;為治解脫是苦之見,故修靜行相;為治靜慮及等至之樂為妙之見,故修妙行相;為治解脫是數數退墮而非永恆之見,故修離行相;為治無道、邪道、餘道、退道之見,故修道、如、行、出等行相。〔坐禪三昧經卷下、正法念處經卷三十四、大毘婆沙論卷七十九〕"}}
 
==생득혜==
 
'''생득혜'''(生得慧)는 태어날 때 타고나는 지혜를 말하며, 4가지 [[유루혜]](有漏慧) 즉 4가지 [[세간의 지혜]]인 [[생득혜]](生得慧){{.cw}}[[문혜]](聞慧){{.cw}}[[사혜]](思慧){{.cw}}[[수혜]](修慧)의 [[4혜]](四慧)의 하나이다. [[생득혜]]는 [[4혜]] 중 나머지 3가지 지혜들이 생겨나는 기본 근거 또는 바탕이 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7670&DTITLE=%A5%7C%BCz四慧 四慧]". 2012년 10월 25일에 확인}}{{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82%AC%ED%98%9C&rowno=1 四慧(사혜)]". 2012년 10월 25일에 확인}}{{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83%9D%EB%93%9D%ED%98%9C&rowno=1 生得慧(생득혜)]". 2012년 10월 25일에 확인}}
 
==생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