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용어 목록 (ㅍ):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편집 요약 없음
135번째 줄:
==팔사==
 
'''8사'''(八邪)는 [[8정도]](八正道)의 반대로, [[신 (불교)|몸]][身]{{.cw}}[[불교 용어 목록/ㅁ#말|말]][語]{{.cw}}[[불교 용어 목록/ㄷ#뜻|뜻]][意, [[마음 (불교)|마음]]]으로 행하는 다음의 8가지 종류의 잘못된 행위, 또는 8가지 그릇된 길을 말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567&DTITLE=%A4K%A8%B8%A6%E6八邪行 八邪行]". 2012년 11월 7일에 확인|ps=<br>"八邪行: 「八正道」之對稱。即身、語、意等所犯之八種誤謬。又作八邪支、八邪法。略稱八邪。即:(一)邪見,指不信因果、功德、父母、聖人等之見解。(二)邪志,又作邪思惟,指欲、恚、害等之思惟。(三)邪語,指妄語、兩舌、惡口、綺語等。(四)邪業,指殺生、不與取、邪淫等。(五)邪命,指不如法之生活。(六) 邪方便,又作邪精進,指為惡事所作之方便精勤。(七)邪念,指不如法之觀念。(八)邪定,指非正定之定。以上八者,乃凡夫外道所常行,求涅槃者悉皆捨離。〔雜阿含經卷二十八、中阿含經卷四十九、八正道經、維摩經弟子品〕"}}{{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D%8C%94%EC%82%AC&rowno=4 八邪(팔사)]". 2012년 11월 7일에 확인|ps=<br>"八邪(팔사):
[1] 또는 팔미(八迷)ㆍ팔계(八計)ㆍ팔류(八謬)ㆍ팔사(八事). ⇒팔미(八迷)
[2] 또는 팔사행(八邪行)ㆍ팔사지(八邪支). ↔팔정도. 즉 사견(邪見)ㆍ사지(邪志;邪思惟)ㆍ사어(邪語)ㆍ사업(邪業)ㆍ사명(邪命)ㆍ사방편(邪方便;邪正進)ㆍ사념(邪念)ㆍ사정(邪定)."}}{{sfn|곽철환|2003|loc="[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05522&categoryId=2886 팔사(八邪)]". 2012년 11월 7일에 확인|ps=<br>"팔사(八邪): 여덟 가지 그릇된 길, 곧 팔정도(八正道)의 반대. 사견(邪見)·사사(邪思)·사어(邪語)·사업(邪業)·사명(邪命)·사정진(邪精進)·사념(邪念)·사정(邪定)."}}
 
'''8사행'''(八邪行), '''8사지'''(八邪支) 또는 '''8사법'''(八邪法)이라고도 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567&DTITLE=%A4K%A8%B8%A6%E6八邪行 八邪行]". 2012년 11월 7일에 확인}}{{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D%8C%94%EC%82%AC&rowno=4 八邪(팔사)]". 2012년 11월 7일에 확인}}
 
# [[팔사#사견|사견]](邪見){{.cw}}[[부정견]](不正見){{.cw}}[[악견]](惡見)
226번째 줄:
==평등성지==
 
'''평등성지'''(平等性智)는 [[유식유가행파]]의 [[4지]](四智)와 [[밀교 (불교)|밀교]]의 [[5지]](五智) 가운데 하나로, 오염된 상태의 [[제7말나식]]을 [[전 (불교)|전]](轉: 질적 변형)하여 [[증득]]하는 [[무루혜]]로, 일체의 [[사상 (불교)|사상]](事相: 현상계의 [[법 (불교)|법]])과 자타(自他)가 [[불교 용어 목록/심#심평등성|평등]]하여 하나[不二, 一如]라는 것을 깨달아 [[대자비심]](大慈悲心)을 일으키는 [[반야|지혜]]이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D%8F%89%EB%93%B1%EC%84%B1%EC%A7%80&rowno=1 平等性智(평등성지)]". 2013년 1월 27일에 확인|ps=<br>"平等性智(평등성지): 5지(智)의 하나. 제7식을 전(轉)하여 얻은 무루 지혜니, 통달위(通達位)에서 그 일부분을 증득하고, 불과(佛果)에 이르러 그 전체를 증득한다. 일체 모든 법과 자기나 다른 유정들을 반연하여 평등 일여한 이성(理性)을 관하고 너와 나의 차별심을 여의어 대자대비심을 일으키며, 보살을 위하여 여러 가지로 교화하여 이익되게 하는 지혜."}}{{sfn|곽철환|2003|loc="[http://terms.naver.com/entry.nhn?cid=2886&docId=905558&categoryId=2886 평등성지(平等性智)]". 2013년 1월 27일에 확인|ps=<br>"평등성지(平等性智): 사지(四智)의 하나. 번뇌에 오염된 말나식(末那識)을 질적으로 변혁하여 얻은 청정한 지혜. 이 지혜는 자아에 대한 집착을 떠나 자타(自他)의 평등을 깨달아 대자비심을 일으킴으로 이와 같이 말함."}}{{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8498&DTITLE=%A5%AD%B5%A5%A9%CA%B4%BC平等性智 平等性智]". 2013년 1월 27일에 확인|ps=<br>"平等性智: 梵語 samatā-jñāna。又作平等智。乃四智心品之一,五智之一。指體悟自、他平等之智。即轉第七末那識所得之智慧,依此智慧而了知一切事相及自他皆平等,乃生起大慈悲心。佛地論卷三謂平等性智乃觀自、他一切皆平等,大慈大悲恆常相互契合而無間斷,故建立佛地「無住涅槃」(不住於生死、涅槃之涅槃)。隨諸有情之所樂,示現自、他受用之身與土等種種影像。對於初地以上之菩薩,示現他受用之身土,常行大慈大悲之化益。心地觀經卷二(大三‧二九八下):「平等性智,轉我見識得此智慧。是以能證自佗平等二無我性,如是名為平等性智。」<br>
 此外,密教所建立之五智,其中平等性智又作灌頂智,為南方寶生佛之智。祕藏記卷上本(大八六‧二中):「平等性智,清淨智水,不簡情、非情故,彼此同如故,常住不變故,名曰平等性智。」(參閱「五智」1161、「四智心品」1771)"}}
 
257번째 줄:
'''푸드갈라''' 또는 '''푸갈라'''({{llang|sa|[[:en:pudgala|<span style="color: black">pudgala</span>]]}},
{{llang|pi|[[:en:puggala|<span style="color: black">puggala</span>]]}},
{{llang|en|[[:en:ego|<span style="color: black">ego</span>]]}}, [[:en:soul|<span style="color: black">soul</span>]], [[:en:individual|<span style="color: black">individual</span>]])는 [[사람]]을 뜻한다. 실체로서의 [[아]](我) 또는 [[인]](人)을 뜻하는데, 불교에서는 주로 이기성에 근거한 개체자, 즉 [[중생|유정]](有情) 또는 [[중생]]의 '나[我]'를 가리키는 의미에서 사용된다. 음역하여 '''보가라'''(補伽羅){{.cw}}'''보특가라'''(補特伽羅){{.cw}}'''복가라'''(福伽羅){{.cw}}'''부특가라'''(富特伽羅){{.cw}}'''부특가야'''(富特伽耶){{.cw}}'''불가라'''(弗伽羅)라고도 하며, 번역하여 '''사부'''(士夫){{.cw}}'''삭취취'''(數取趣)라고도 한다.{{sfn|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 한역|K.650, T.99|p=[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3&startNum=475 475 / 2145]}}{{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pp=[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1353 1353-1354 / 1397]}}{{sfn|Macdonell|1929|loc="[http://dsal.uchicago.edu/cgi-bin/romadict.pl?query=pudgala&display=simple&table=macdonell pudgala]". 2012년 9월 22일에 확인}}{{sfn|Rhys Davids, T.W. & William Stede (eds.)|1921-5|loc="[http://dsal.uchicago.edu/cgi-bin/philologic/search3advanced?dbname=pali&query=puggala&matchtype=exact&display=utf8 puggala]". 2012년 9월 22일에 확인}}{{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9541&DTITLE=%B8%C9%AFS%A6%F7%C3%B9補特伽羅 補特伽羅]". 2011년 9월 23일에 확인}}{{sfn|황욱|1999|p=29}} 삭취취(數取趣)는 [[중생]]은 [[번뇌]]와 [[업]]의 [[인연]]으로 자주[數] [[6취]](六趣)에 왕래한다는 뜻의 번역이다.{{sfn|황욱|1999|p=29}}
 
{{인용문|[[무아]]에는 두 종류가 있는데 하나는 [[보특가라무아]]([[인무아]])이고 다른 하나는 [[법무아]]이다.<br/>(言無我者 略有二種 一補特伽羅無我 二法無我)|《[[대승백법명문론]](大乘百法明門論)》{{sfn|세친 조, 현장 한역|T.1614|loc=[http://www.cbeta.org/result/normal/T31/1614_001.htm T31n1614_p0855c20(00) - T31n1614_p0855c21(02)]. 2011년 3월 28일에 확인}}}}
325번째 줄:
《[[구사론]]》에 따르면, 다른 [[중생|유정]]에 대한 [[핍박]]은 [[수번뇌]] 가운데 하나인 [[불교 용어 목록/ㅎ#해|해]](害)의 [[마음작용]]의 본질적 성질이다.{{sfn|세친 조, 현장 한역|T.1558|loc=제21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58_p0109c10 T29n1558_p0109c10 - T29n1558_p0109c11]. 해(害)|ps=<br>"害謂於他能為逼迫。由此能行打罵等事。"}}{{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loc=제21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956 956 / 1397]. 해(害)|ps=<br>"'해'란 이를테면 다른 유정에 대해 능히 핍박하는 것을 말하니, 이것에 의해 능히 때리고 꾸짖는 등의 일을 저지르게 되는 것이다."}}
 
[[3수]](三受) 가운데 [[삼수 (불교)|고수]](苦受)는 '몸과 마음이 받는 핍박의 느낌' 또는 '몸과 마음을 핍박하는 느낌'으로 정의되기도 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2030&DTITLE=%A4T%A8%FC三受 三受]". 2013년 3월 30일에 확인|ps=<br>"三受:
 梵語 tisro vedanāh,巴利語 tisso vedanā。又作三痛。受,領納之義。即內之六根,觸對外之六境,所領納之三種感覺。即:(一)苦受(梵 duhkha-vedanā),又作苦痛。即領納違情之境相,令身心受逼迫。(二)樂受(梵 sukha-vedanā),又作樂痛。即領納順情之境相,令身心適悅。(三)捨受(梵 upeksā-vedanā),又作不苦不樂受、不苦不樂痛。即領納中容之境相,身心無有逼迫,亦無有適悅。此三受通於眼等六根,亦通有漏無漏。或各自分成兩種,與五識相應者,稱為身受;與意識相應者,稱為心受。〔雜阿含經卷八、成唯識論卷五、阿毘達磨發智論卷十四、成實論卷六〕(參閱「五受」1103、「受」3096) p559"}}{{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82%BC%EC%88%98&rowno=2 三受(삼수)]". 2013년 3월 30일에 확인|ps=<br>"三受(삼수):
세 가지 감각. 고수(苦受)ㆍ낙수(樂受)ㆍ사수(捨受). (1) 고수. 외계(外界)의 접촉에 의하여 몸과 마음에 받는 괴로운 감각. (2) 낙수. 바깥 경계와 접촉하여 즐거움을 느끼는 감각. (3) 사수. 고수와 낙수에 속하지 않은 감각. 곧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느낌. 수(受)는 바깥 경계를 받아 들인다는 뜻. ⇒수(受)"}}{{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4016&DTITLE=%ADW%A8%FC苦受 苦受]". 2013년 3월 30일에 확인|ps=<br>"苦受:
 梵語 duhkha-vedanā。三受之一,五受之一。受者,領納外境之義。境有順、違、俱非三境,故受有苦、樂、捨三受。逼迫身心,領納違情之境而起苦惱之感者,稱為苦受。其為三受之一者,係指於身心所領納的逼迫不悅之感受;其為五受之一者,僅指於身所領納的逼迫不悅之感受。〔成唯識論卷九、四念處卷一〕(參閱「三受」559、「五受」 1103) p3945"}} 마찬가지로, [[고 (불교)|고]](苦)는 [[신 (불교)|몸]]과 [[마음 (불교)|마음]]이 [[핍박]]을 받고 있는 고뇌(苦惱)의 상태로 정의되기도 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4013&DTITLE=%ADW 苦]". 2013년 3월 30일에 확인|ps=<br>"苦:
 梵語 duhkha 之意譯。音譯作豆佉、諾佉、納佉。泛指逼迫身心苦惱之狀態。苦與樂乃相對性之存在,若心向著如意之對象,則感受到樂;若心向著不如意之對象,則感受到苦。清淨論道謂,苦具有嫌惡(du)與空虛(khaj)二義,即嫌惡,及無「常、樂、我、淨」之空虛狀態,稱之為苦。在稱「苦、樂、捨(不苦不樂)」等三受之時,苦指身心所感之苦(廣義),配列於五受、二十二根之苦,而可分為身感受之苦(狹義)與心感受之憂兩類。「一切行皆苦」乃佛教根本思想之一,亦為四法印之一。苦之分類有多種,其大別如下:<br>
 (一)二苦,起自一己身心之苦,稱為內苦;受外界逼迫所產生之苦(如惡賊、天災等),稱為外苦。<b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