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 (불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편집 요약 없음
27번째 줄:
[[:en:conceit|<span style="color: black">conceit</span>]])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다.
 
*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교학에서 6가지 [[근본번뇌]](根本煩惱), 즉 [[6수면]](六隨眠) 가운데 하나이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3723&DTITLE=%AE%DA%A5%BB%B7%D0%B4o根本煩惱 根本煩惱]". 2012년 10월 30일에 확인|ps=<br />"根本煩惱: 梵語 mūla-kleśa。又作本惑、根本惑。略稱作煩惱。與「隨煩惱」對稱。指諸惑之體可分為貪、瞋、癡、慢、見、疑等六種根本之煩惱。"}}{{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5831&DTITLE=%A4%BB%C0H%AFv六隨眠 六隨眠]". 2012년 10월 31일에 확인. 6수면(六隨眠)|ps=<br />"六隨眠: 謂貪、瞋、癡、慢、疑、見等六種根本煩惱,此乃俱舍家之說。隨眠即根本煩惱之異稱,根本煩惱隨逐有情,行相微細,故稱隨眠。"}}{{sfn|세친 조, 현장 한역|T.1558|loc=제19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58_p0098b18 T29n1558_p0098b18 - T29n1558_p0098c03]. 6수면(六隨眠)|ps=<br />"前言世別皆由業生。業由隨眠方得生長。離隨眠業無感有能。所以者何。隨眠有幾。頌曰。
  隨眠諸有本  此差別有六<br />
  謂貪瞋亦慢  無明見及疑<br />
47번째 줄:
<br /><sup style="color: blue">2)</sup> 여기서 '자구'는 번뇌 자신의 자량이 되는 비리작의(非理作意) 즉 참답지 못한 사유를 말한다.
<br /><sup style="color: blue">3)</sup> 식의 흐름에는 다음 생을 받을 때 부모에 대한 애념(愛念)을 일으키는 속생(續生)의 식과, 소연의 경계에 대해 촉(觸)을 일으키는 촉연(觸緣)의 식이 있다. 곧 번뇌는 후유의 소연에 대해 능히 속생의 식을 일으키며 소연에 대해 능히 염오식을 낳기 때문에 '식의 흐름을 인도한다'고 말한 것이다."}}
*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교학에서 6가지 [[근본번뇌]](根本煩惱) 가운데 하나이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3723&DTITLE=%AE%DA%A5%BB%B7%D0%B4o根本煩惱 根本煩惱]". 2012년 10월 30일에 확인}}{{sfn|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T.1585|loc=제6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585_p0031b15 T31n1585_p0031b15 - T31n1585_p0031b18]. 번뇌심소(煩惱心所)|ps=<br />"煩惱心所其相云何。頌曰。
  12煩惱謂貪瞋  癡慢疑惡見<br />
論曰。此貪等六性是根本煩惱攝故。"}}{{sfn|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K.614, T.1585|loc=제6권.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897&startNum=304 304-305 / 583]. 번뇌심소(煩惱心所)|ps=<br />"번뇌심소의 양상은 어떠한가? 게송(『삼십송』의 제12)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br />
56번째 줄:
<br>욕계에 매인 다섯 가지란 욕계에 매인 견고·견집·견멸·견도와 수도에서 끊어야 할 만(慢)이다.
<br>색계에 매인 것과 무색계에 매인 각각 다섯 가지도 또한 마찬가지이다."}}
* [[초기불교]]{{.cw}}[[부파불교]]{{.cw}}[[대승불교]]의 [[9결]](九結) 가운데 '''[[불교 용어 목록/ㅁ#만결|만결]]'''(慢結)에 해당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7621&DTITLE=%B5%B2 結]". 2012년 12월 28일에 확인. 9결(九結)|ps=<br />"結: (一)梵語 bandhana 或 sajyojana。又作結使。即使煩惱。結,為繫縛之義;蓋煩惱繫縛眾生於迷境,令不出離生死之苦,故有此異稱。諸經論所說結之類別有多種,略舉如下:...
(五)九結。雜阿含經卷十八、阿毘達磨發智論卷三、辯中邊論卷上等列舉愛、恚、慢、無明、見、取、疑、嫉、慳等九種煩惱為九結。此係六種根本煩惱(將「見」分身、邊、邪三見,稱為見結;見取見與戒禁取見合併為取結)加上嫉結、慳結,而成九結。大毘婆沙論卷五十說九結之體(自性)共有一百種。〔雜阿含經卷三十二、大毘婆沙論卷四十六、卷四十九、成實論卷十雜煩惱品、大乘阿毘達磨雜集論卷六〕(參閱「九結」、「四結」) "}}{{sfn|세우 조, 현장 한역|T.1542|loc=제1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6n1542_p0693a27 T26n1542_p0693a27 - T26n1542_p0693a28]. 9결(九結)|ps=<br />"結有九種。謂愛結恚結慢結無明結見結取結疑結嫉結慳結。"}}{{sfn|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K.949, T.1542|loc=제1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328&startNum=5 5 / 448]. 9결(九結)|ps=<br />"결(結)에는 아홉 가지[九種]가 있다.
애결(愛結)·에결(恚結)·만결(慢結)·무명결(無明結)·견결(見結)·취결(取結)·의결(疑結)·질결(嫉結)·간결(慳結)이다."}}
*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의 [[법체계 (불교)|법체계]]에서 [[심소법]](心所法: 46가지) 중 [[부정지법]](不定地法: 8가지) 가운데 하나이다.{{sfn|세친 조, 현장 한역|T.1558|loc=제4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58_p0020a20 T29n1558_p0020a20 - T29n1558_p0020a22]. 부정심소(不定心所)|ps=<br />"如是已說五品心所。復有此餘不定心所。惡作睡眠尋伺等法。"}}{{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loc=제4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173 173 / 1397]. 부정심소(不定心所)|ps=<br />"이와 같이 다섯 가지 품류의 심소[← 한글본 원문에 "심과 심소"로 되어 있으나 심소가 되어야 함]에 대해 이미 논설하였다.
다시 이 밖에도 부정(不定)의 심소로서 악작(惡作)·수면(睡眠)·심(尋)·사(伺) 등의 법이 존재한다.<sup style="color: blue">51)</sup>
<br /><sup style="color: blue">51)</sup> 심소법에는 이상의 대지법·대선지법·대번뇌지법·[대불선지법← 한글본 원문에 빠져 있으나 추가되어야 함]·소번뇌지법의 5품[← 한글본 원문에 "4품"이라고 되어 있으나 5품이 되어야 함] 이외 선·염오·무기 무엇과도 상응할 수 있어 그 구생관계가 결정적이지 않은 악작·수면(睡眠)·심(尋)·사(伺) 등의 존재가 있는데, 이를 부정지법(不定地法)이라고 한다. 그리고 여기서 '등'이라고 함은, 보광(普光)의 『구사론기』에 의하면 탐(貪)·진(瞋)·만(慢)·의(疑)인데, 이에 따라 심소법이 마흔여섯 가지가 되어 일반에서 유부의 법수(法數)를 75 법으로 일컫게 된 것이다. 이 중 악작과 심·사는 본권에서 후술되며, 수면은 본론 권제21에서 설명되고 있다 "}}{{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3311&DTITLE=%A4%AD%A6%EC%A4C%A4Q%A4%AD%AAk五位七十五法 五位七十五法]". 2012년 10월 30일에 확인. 부정심소(不定心所)|ps=<br />"(6)不定地法(不定相應,即上述各心所之外者),有尋、伺、睡眠、惡作、貪、瞋、慢、疑等八種。"}}
*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의 [[법체계 (불교)|법체계]]에서 [[심소법]](心所法: 51가지) 중 [[번뇌심소]](煩惱心所: 6가지) 가운데 하나이다.{{sfn|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T.1585|loc=제6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585_p0031b15 T31n1585_p0031b15 - T31n1585_p0031b19]. 번뇌심소(煩惱心所)}}{{sfn|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K.614, T.1585|loc=제6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897&startNum=305 305 / 583]. 번뇌심소(煩惱心所)}}{{sfn|세친 조, 현장 한역|T.1614|loc=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614_p0855b23 T31n1614_p0855b23 - T31n1614_p0855c06]. 심소유법(心所有法)|ps=<br />"第二心所有法。略有五十一種。
<br />分為六位。一遍行有五。二別境有五。三善有十一。四煩惱有六。五隨煩惱有二十。六不定有四。
124번째 줄:
'''만'''(慢, {{llang|sa|[[:en:māna|<span style="color: black">māna</span>]]}})은 [[7만]](七慢), [[8만]](八慢), [[9만]](九慢), [[10만]](十慢) 등 여러 형태로 분류되는데,
《[[품류족론]]》, 《[[대비바사론]]》, 《[[구사론]]》, 《[[성유식론]]》 등에 따르면
[[#만|만]](慢, {{llang|sa|[[:en:māna|<span style="color: black">māna</span>]]}}){{.cw}}[[#과만|과만]](過慢, {{llang|sa|[[:en:ati-māna|<span style="color: black">ati-māna</span>]]}}){{.cw}}[[#만과만|만과만]](慢過慢, {{llang|sa|[[:en:mānāti-māna|<span style="color: black">mānāti-māna</span>]]}}){{.cw}}[[#아만|아만]](我慢, {{llang|sa|[[:en:ātma-māna|<span style="color: black">ātma-māna</span>]]}}){{.cw}}[[#중상만|증상만]](增上慢, {{llang|sa|[[:en:adhi-māna|<span style="color: black">adhi-māna</span>]]}}){{.cw}}[[#비만|비만]](卑慢, {{llang|sa|[[:en:ūna-māna|<span style="color: black">ūna-māna</span>]]}}){{.cw}}[[#사만|사만]](邪慢, {{llang|sa|[[:en:mithyā-māna|<span style="color: black">mithyā-māna</span>]]}})의 '''7만'''(七慢)으로 나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20412&DTITLE=%BAC ]". 2012년 12월 28일에 확인|ps=<br />"慢: 梵語 māna,巴利語同。心所(心之作用)之名。俱舍宗以之為四十六心所中的八不定地法之一,唯識宗則以之為五十一心所中的六根本煩惱之一。即比較自己與他人之高低、勝劣、好惡等,而生起輕蔑他人之自恃之心,稱為慢;亦即輕蔑、自負之意。<br />
 慢有種種分類,大毘婆沙論卷四十三、俱舍論卷十九列舉七慢:(一)慢,對劣於自己之人,認為自己較殊勝;而對與自己同等之人,謂與自己同等而令心起高慢。(二)過慢(梵 ati-māna),對與自己同等之人,硬說自己勝過對方;對勝過自己之人,亦偏說對方與自己同等。(三)慢過慢(梵 mānāti-māna),對勝過自己之人,起相反之看法,認為自己勝過對方。(四)我慢(梵 ātma-māna),乃七慢之根本慢。於五蘊假和合之身,執著我、我所,恃我而起慢。內執有我,則一切人皆不如我;外執有我所,則凡我所有的皆比他人所有的高上。(五)增上慢(梵 adhi-māna),於尚未證得之果位或殊勝之德,自認為已經證得。(六)卑慢(梵 ūna-māna),對於極優越之人,卻認為自己僅稍劣於其人;或雖已完全承認他人之高勝,而己實卑劣,然絕不肯虛心向其人學習。(七)邪慢(梵 mithyā-māna),無德而自認為有德。<br />
 八慢,即指慢、大慢、慢慢、我慢、增上慢、不如慢、邪慢、傲慢等。<b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