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방위군 사건: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98번째 줄:
그때까지 각종 청년단체의 총무부장을 역임하며 수완을 발휘했던 부사령관 [[윤익헌]]이 사령관 김윤근을 대신하여 방위군 운영을 실질적으로 담당하고 있었다.<ref name="son112">유영익, 한국과 6.25전쟁 (연세대학교출판부, 2002) 112페이지</ref> 이는 [[김윤근 (국민방위군)|김윤근]]과 [[윤익헌]]이 모두 인정한 사실이다.<ref name="son112"/> 국민 방위군 참사는 방위군 부대의 운영을 이승만의 친위조직인 [[대한청년단]]과 그 청년단을 기반으로 만들어졌던 청년방위대에게 맡겼기 때문에 저질러진 사건이었다.<ref>사실 원래 책정된 비용마저 부족해서 대량의 아사자 발생은 필연적이었다. 그러나 국민방위군 고위 간부들은 그것마저도 횡령해서 피해규모가 몇배로 불어나게 되었다. 5명의 국민방위군 고위간부들이 횡령한 돈이 [[1951년]] 당시 화폐로 30억원이었다.</ref>
 
징집된 이들은 명부도 없고 군번도 없고 무기도 없고 군복도 없는 군대. 일명 '죽음의 대열', '해골들의 행진'이라 불린 바로 그런 군대가 국민방위군이었다. 명부도 없으니 몇명이 동원되었고, 어디서 어떻게 얼마나 죽었는지는 오늘날 현재에도 정확히 모른다. 추측상으로 정부의 공식기록인 '한국전란1년지'에는 천수백명 사망으로 돼 있지만, 당시 소문으로는 5만명 내지 10만명이 죽었다고 알려졌다. 중앙일보 간행의 '민족의 증언'에 따르면 '50만명의 대원 중 2할가량이 병사나 아사했다'고 정리되어있고, 부산일보 간행의 '임시수도 천일'에는 사망자가 5만여 명으로 정리되어 있다. 역사학자 중에서는 이승만을 가장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유영익]] 교수조차 이 사건을 "9만명가량의 군인이 동사, 아사, 병사한 천인공노할 사건"으로 규정하고 있다. 국민방위군에 일어난 사태가 끝나자 국민방위군 장병 50만중 30만이 넘는 장병들이 희생되었다. 국민방위군 사건을 계기로 군입대 기피현상이 증가하였고, [[이승만]] 내각의 신뢰도는 급격히 실추된다.
 
이 사건을 계기로 [[부통령]] [[이시영 (1868년)|이시영]]이 사직서를 제출했고, [[이승만]]에게 호의적이었던 [[한민당]]과 [[민주국민당 (1949년)|민국당]]계 인사였던 [[조병옥]], [[윤보선]], [[김성수 (1891년)|김성수]] 등은 [[이승만 정권]]에 등을 돌리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