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불라 라사: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19번째 줄:
 
13세기에 들어서 성 [[토마스 아퀴나스]]는 Tabula rasa와 관련하여 [[아리스토텔레스]]와 아비첸나의 주장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그리스도교적 사상으로 정립시켰다. 그의 사상적 체계는 인간의 마음이 지상에서 인간의 육신과 결합되기 이전에 독립적인 상태로 [[이데아]]계의 어느 곳에 선재하고 있다는 플라톤의 사상과 급격한 대립을 이루었다. (이 같은 플라톤의 사고는 그의 저서 [[파이돈]]과 [[변론]]뿐 아니라 다른 저작에서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13세기의 철학자인 성 [[보나벤투라]]는 성 토마스의 사상체계에 플라톤의 사상체계를 준거로 하여 열성적으로 지적 투쟁을 감행했다.
 
아비첸나와 이븐투필 그리고 성 토마스의 Tabula rasa 이론과 관련된 저작들은 이후 수 세기 동안 진척되거나 검증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었다. 가령, 중세 영국의 법학자였던 John Fortescue는 그의 저작인 ‘영국 법률의 칭송에 관하여’ [[영어]]: In Praise of the Laws of England / [[라틴어]]:De Laudibus)에서 Tabula rasa에 대해 언급한다. 저자는 해당 개념을 왕실의 왕자들을 위시하여 일반적으로 어린아이들의 교육을 위한 기본 바탕으로 강조한다.
* “그러므로 왕자는 그의 나이가 어리거나, 그의 심성이 아직 깨끗할 때 그곳에 무언가를 강조할 수 있게 된다. 만약 그렇지 않으면 추후에라도 보다 기쁘게 그 이미지들을 기입할 수 있을 것이다.” <ref>{{서적 인용|url=https://books.google.co.kr/books?id=T1ytAAAAMAAJ&pg=PA228&dq=dum+Adolescens+es,+et+Anima+tua+velut+Tabula+rasa,+depinge+eam,+ne+in+futurum+ipsa+Figuris+minoris+Frugi+delectabilius+depingatur.&hl=ko&sa=X&ved=0ahUKEwiGyqbhrfLZAhWMKJQKHXgtAV4Q6AEIJTAA#v=onepage&q=dum%20Adolescens%20es%2C%20et%20Anima%20tua%20velut%20Tabula%20rasa%2C%20depinge%20eam%2C%20ne%20in%20futurum%20ipsa%20Figuris%20minoris%20Frugi%20delectabilius%20depingatur.&f=false|제목=De Laudibus Legum Angliae|성=Sir John Fortescue|이름=|날짜=|출판사=|확인날짜=}}</ref>
 
== 관련 서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