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활절: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유래: 유래를 인정된 학술 자료에 따라 정리함
51번째 줄:
 
=== 유래 ===
부활절은 예수가 십자가에 못박혀 죽은 지 3일 째 되는 날, 그가 다시 살아났다는 것을 기념하는 날이다. 기독교의[[기독교]]의 경전인 신약성서의[[신약성서]]의 복음서 중 [[마가]](마르코), [[마태]](마태오), [[누가]](루가), [[요한]] 복음서의[[복음서]]의 기록을 따른다. 각복음서의 기록에는 약간이 차이가 있지만 전체를 통합하여 부활절의 전승으로 이해하고, 그 전승에 따라 부활절 예배와 예식, 행사 등이 생겨났다.복음서가 장성된 1세기와 2세기인 초대교회에서도 예수의 부활에 대한 강한 신념을 지녔으며, 부활절은 구약성서를 통한 전승과 예수가 복음으로 전한 하늘나라와[[하늘나라]]와 에세네파가[[에세네파]]가 중요시했던 몸의 부활과 묵시론과[[묵시론]]과 [[반제국주의]] 사상과 [[평화주의]] 사상들이 복합적으로 구성된 사건으로 본다.
 
1세기에서 3세기 경의 부활절은 성찬을[[성찬]]을 통한 기독교 복음의[[복음]]의 완성을 확인하는 예배로 발전하였다. 초기 교회의 3대 신학계파인신학 사상인 칼케돈(카르타고)과 안디옥(안디오키아), 알렉산드리아를 중심으로하는 초대 신학 학파의 부활절 이해는 차이를 보였다. 칼케돈 학파는 회개를[[회개]]를 위한 시건으로 부활절을 보았고, 안디옥 학파는 새로운 해방을[[해방]]을 위한 사건으로 부활절을 보았으며, 알렉산드리아 학파는 인간이 진정한 진리를[[진리]]를 알게 하는 사건으로 부활절을 보았다. 이런 세 가지 부활절의 이해는 복합적으로 변화하여 초기의 부활절과 차이를 지니게 되었다. <ref>후스토 곤잘레스. 《기독교사상사: 그 세가지 신학의 유형으로 살펴본》. 이후정 옮김. (서울: 컨콜디아사, 1991) </ref>
 
313년 기독교 공인 이후에 칼케돈이 콘스탄티노플로[[콘스탄티노플]]로 흡수되면서 부활절의 개념은 칼케돈 학파를 중심으로 하는 부활절의 개념으로 변화하였다.<ref>후스토 곤잘레스. 《기독교사상사: 그 세가지 신학의 유형으로 살펴본》. 이후정 옮김. (서울: 컨콜디아사, 1991) </ref> 창조주의 완전한 질서로 창조된 세상이 인간의 죄악으로 분리되었고, 완전한 질서인 창조질서를 완전히 따른 것, 즉 율법으로서[[율법]]으로서 복음을 따르는 질서적 교회의 모습과 예전(전례)을 구성하게 되었다. 점차 부활절 예식은 부활의 기쁨과 성찬의 나눔의 소박한 예전에서 점차 위와 아래가 구분되고, 예전 순서와 음악, 예법이 중요시되는 종합적 예식으로 발전하였다.
 
=== 시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