톈궁 1호: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태그: m 모바일 앱
→‎통제 불능 상태와 낙하: 결과가 나온 시점에서 무의미한 예상 등 정리
41번째 줄:
 
== 통제 불능 상태와 낙하 ==
[[파일:Altitude of Tiangong-1.svg|500px|썸네일|왼쪽섬네일|2017년 3월 부터의 톈궁 1호의 고도. 파란색 : 근지점 고도, 노란색 : 원지점 고도]]
[[파일:Tiangong-1 Reentry Map.png|썸네일|300px|오른쪽|톈궁 1호의 낙하 가능성 지도. 빨간색 위도의 지역에 낙하할 확률이 가장 높으며 (약 4%), 녹색 위도의 지역에 낙하할 확률이 가장 낮다. (약 1% 미만)]]
톈궁 1호는 기계·기술적 결함이 발생하면서 2016년 9월부터는 통제 불능 상태에 돌입하여, 지구로 추락하기 시작했다. 대형 비행체인만큼 낙하 도중 분리된 파편이 대기 중에서 미처 다 타지 않고 지구 표현에 떨어질 가능성이 있었기 때문에, 낙하가 예상되는 범위 내의 국가들은 한때 경계 상태에 돌입하기도 헀다. 중국 유인우주선 공정판공실(CMSEO) 발표에 따르면, 톈궁 1호는 오전 8시 15분([[UTC+08:00]]) 지구 대기권에 진입해 파편 대부분이 소멸했으며 잔해 낙하 지점은 남태평양 중부이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jtbc.joins.com/html/573/NB11612573.html|제목=중 "톈궁1호 대기권 진입…마찰열로 파편 대부분 소멸"|날짜=2018-04-02|언어=ko-KR|확인날짜=2018-04-03}}</ref>.
하지만 2016년 9월부터는 기계·기술적 결함이 발생하면서 통제 불능 상태에 돌입하였다. 톈궁 1호는 궤도가 점차 낮아지면서 지구로 추락하고 있다. 정상궤도가 340 ~ 380㎞ 이지만 2018년 3월 31일 기준으로 179km 까지 내려온 상태다. 우주비행체는 200㎞ 이하로 떨어지면 본격적으로 추락하고, 120㎞ 이하로 떨어지면 마찰열이 높아져 불이 붙는다. 78㎞부터는 대부분의 인공물체가 폭발해 공중 분해되는데, 특히 크기가 작은 인공위성의 경우 대부분 이 과정에서 소멸된다. 문제는 톈궁 1호가 대형체라는 점이다. 이에 미처 소멸되지 못한 파편이 발생해 지구표면으로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 전 세계 우주 관련 기관들이 텐궁 1호의 낙하 날짜와 위치를 예측해보고 있지만 조금씩 엇나가고 있다. 이렇게 예측이 어려운 것은 마지막 궤도 까지 지상에서 통제했던 다른 우주 비행체의 낙하와 달리 통제 불능의 상태이기 때문이다. 이에 낙하 범위 안에 드는 세계 각국은 만일의 사태를 대비하는 상황이다. 그러나 파편이 떨어질 가능성은 있지만, 실제 사람이 이에 맞을 확률은 거의 없다는 게 전문 기관들의 분석이다. 파편에 맞을 확률을 1조 분의 1로 예측하기도 한다.<ref>{{뉴스 인용|url=http://www.edaily.co.kr/news/news_detail.asp?newsId=01184086619145288&mediaCodeNo=257&OutLnkChk=Y |제목=줌인. 중국 최초 우주정거장 ‘텐궁 1호’ 최후 카운트다운 |뉴스=이데일리 |저자=조용석 |날짜=2018년 3월 20일}}</ref> 낙하 날짜는 2018년 4월 2일 9시에서 10시 사이로 예측되고 있다. 중국 유인우주선 공정판공실(CMSEO) 역시 톈궁 1호가 오전 9시 15분(한국시간) 지구 대기권에 진입해 파편 대부분이 소멸했으며 잔해 낙하 지점은 남태평양 중부라고 밝혔다. 중국 우주정거장 톈궁(天宮) 1호가 한국시간으로 4월 2일 오전 9시 16분에 남태평양에 추락한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국내에 내려졌던 우주위기경보가 해제됐다.<ref>{{뉴스 인용|url=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4/02/0200000000AKR20180402071351017.HTML|제목=톈궁1호 9시16분 칠레 앞바다 추락…정부, 위기경보 해제(종합)|성=임화섭|날짜=2018-04-02|뉴스=연합뉴스|언어=ko-KR|확인날짜=2018-04-02}}</ref>
[[파일:Altitude of Tiangong-1.svg|500px|썸네일|왼쪽|2017년 3월 부터의 톈궁 1호의 고도. 파란색 : 근지점 고도, 노란색 : 원지점 고도]]
{{clear}}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