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분류: ㅇㅎㅇㅀㅇ
96번째 줄:
[[균계|균]]의 분류는 최근의 생물 역사에 이르기까지 논란이 일었다. 이들은 분명히 동물이 아니었기에 [[칼 폰 린네|린네]]의 원래 분류는 균을 식물계 안으로 넣었다. 나중에 [[미생물학]]이 발전하자 19세기 [[에른스트 헤켈]]은 새롭게 발견한 미생물을 분류할 필요를 느꼈다. 이를 동물계에 넣지 않고 대신 [[원생생물|원생생물계]]라는 새로운 계를 만들었는데 균이 식물계에 들어가는 것이 적절한지 원생생물계로 다시 분류되는 것이 맞는지 논란이 일었다. 헤켈은 스스로 이를 결정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알았다. 1969년에 [[로버트 휘태커]]는 균계를 만들 것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휘태커의 재분류는 균계와 식물계의 영양분이 본질적으로 다르다는 것에 기반을 둔다. 광합성을 통하여 탄소를 얻음으로써 [[자가영양생물|스스로 영양분을 얻는]] 다세포 [[광영양생물]]인 식물과는 달리 균은 일반적으로 주변 물질을 분해하거나 흡수하여 탄소를 얻는탄소얻는 [[종속영양생물|속영양생물]](영양소를포[[종속영양생물|ㅀ]][[부생 다른생물]] 생물이 만든 유기물에 의존하는 생물)이거나 다세포 [[부생 생물]]이다.
 
== 분류 ==
165번째 줄:
== 생태학 ==
{{본문|식물생태학}}
육지 식물과 조류가 행하는 광합성은 거의 모든 생태계에 궁극의 에너지 원천이자 유기 물질이다. 광합성은 모든 지구의 대기 성분을 빠르게 바꾸었으며 그 결과 [[산소]]가 21%를 차지한다. 동물과 다른 대부분의 생물은 산소에 의지하여 [[호기성 생물|호흡]]을 한다. 그렇지 않은 생물들은 상대적으로 드문 [[저산소증|저산소 환경]]에 제한을 받으며 살아간다. 식물들은 대부분의 토양 생태계의 [[자가영양생물|주된 생산물]]이며 이러한 생태계에서 [[먹이 사슬|먹이]]ㅀ[[먹이 토대를사슬|사]]ㅀ의로토대를 이룬다. 수많은 동물들은 산소와 먹이뿐 아니라 은신처를 위하여 식물에 의지한다.
 
토양 식물은 [[물의 순환]]과 다른 몇 가지 [[생물지구화학적 순환]]의 주된 요소이다. 일부 식물은 [[질소고정]] 박테리아와 [[공진화]]해왔는데 이는 식물을 [[질소의 순환]]의 중요한 일부로 만들어 놓았다. 식물의 뿌리는 [[토양]] 발달과 [[토양 침식]] 방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178번째 줄:
 
== 사진첩 ==
<gallery widths="180px" heights="120px" class="center">
파일:Borassus flabellifer.jpg|Borassus flabellifer
파일:Chestnut in Guntur.jpg|인도의 한 시장에 있는 야쟈수 열매 Borassus flabellifer (Thaati Munjelu).
파일:Turmericroot.jpg|Turmeric rhizome
파일:Starr 050407-6233 Ipomoea batatas.jpg|고구마, ''Ipomoea batatas'', Maui Nui Botanical Garden
파일:Pandan wangi.JPG|''Pandanus amaryllifolius''
파일:California Papaya ID.jpg|California Papaya
파일:Papaya sunset.jpg|''Carica papaya'', cultivar 'Sunset'
파일:Prepared lemon grass.JPG|''Cymbopogon citratus'', lemon grass, oil grass
파일:Bangkuang 070612-056 stgd.jpg|''Pachyrhizus erosus'' bulb-root. Situgede, Bogor, West Java (인도네시아).
파일:KIKU brak-ontree.JPG|후지 사과
파일:SauropusAndrogynus.jpg|Sprouting shoots of ''Sauropus androgynus''
파일:Ilaneer.jpg|''Cocos nucifera''
파일:초록 식물.JPG|녹색 식물
</gallery>
 
== 같이 보기 ==
* [[식물의 진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