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쓰다이라 사다노부 (1759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9번째 줄:
사다노부는 전임 다누마 정권이 중상주의 정책과 이권 뇌물 정치를 편 것에 반해, 주자학에 기반을 둔 중농주의에 입각하여, 기근 대책, 검약령, 뇌물 인사 폐지, 하타모토에 대한 문무 장려 등을 시행하여 일련의 성과를 거두었다. 하지만 개혁 자체는 형식적인 부분이 많았으며 근본적 문제 해결에서는 어려움을 겪었다. 처사횡단의 금령을 내려 [[하야시 시헤이]] 등의 여론 선동을 금지했고, [[간세이 이학 금령]]을 통해 [[주자학]]을 정학(正學)으로 삼고 [[난학]]을 단속했다. [[다이코쿠야 고타유]] 등 일본인 표류민들을 반환하면서 일본과의 통상을 요구한 러시아의 [[아담 락스만]]에 대해서는 한정적인 통상을 시사하고, 그동안 금지되었던 표류민 수용을 용인하였으나, 대신 [[에도 만]]을 비롯한 해상의 방비 강화에 힘썼다. 또한 [[조선통신사]]의 규모도 축소했다.
 
[[대정위임론]]을 펴서 조정의 권위를 막부에 이용하려 했던 사다노부는, [[고카쿠 천황]]이 친아버지에게 태상천황의 칭호를 올리려는 것에 대해 [[주자학]]에 입각하여 반대하였고, 이 [[존호 사건]]을 계기로 아버지 히토쓰바시 하루사다에게 [[오고쇼]]의 존호를 올리려던 쇼군 이에나리와 대립하였고, 결국 [[1793년]], 해상 방어를 위해 출장중일 때 사직 명령을 받았다. 사다노부는 이때 은퇴하였지만 [[마쓰다이라 노부아키라 (1763년오코치 마쓰다이라가)|마쓰다이라 노부아키라]], [[마키노 다다키요 (1760년)|마키노 다다키요]] 등 사다노부파 로주들은 그대로 유임되어 사다노부의 정책을 계승했다. 실각한 사다노부는 시라카와 번 경영에 전념했고, 산지가 많아 실제 수입이 적은 번 재정을 개선하기 위해 말 생산을 장려하였고, 민정에 진력하여 명군으로 이름을 떨쳤다. 하지만 [[1810년]], 로주 재임 당시에 계획한 에도 만 경비가 실시되면서 그 최초의 주둔 임무가 주창자인 사다노부가 있는 시라카와 번에 내려졌고, 이로 인해 재정적 타격을 입게 되었다.
 
[[1812년]], 가문을 장남 [[마쓰다이라 사다나가 (1791년)|사다나가]]에게 계승하게 하고 은퇴했지만, 번의 실권은 여전히 쥐고 있었다. 사다나가 재임 때 히사마쓰 마쓰다이라 가문의 옛 영지인 [[구와나 번]]으로 영지를 바꾸게 된 것도 사다노부의 요청에 의한 것이었다고도 한다. [[1829년]], 72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