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시: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683번째 줄:
 
== 문화 ==
=== 목포권 관광 ===
[[파일:Yudalsan Mokpo at Night.jpg|thumb|220px|야간조명이 설치된 유달산의 야경]]
[[파일:Downtown of Mokpo.jpg|thumb|220px|루미나리에가 설치된 목포 구시가지]]
줄 713 ⟶ 712:
서남해안기업도시개발㈜는 2025년까지 해남군 산이면 구성리 일대 2187만m<sup>2</sup>에 4조9000억원을 투자, 인구 1만8300명이 거주하는 관광 · 레저 · 문화 · 주거 · 산업 · 교육 등 다양한 기능을 두루 갖춘 자족적인 관광 · 레저 기업도시로 조성한다.<ref>[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0072393781 전남 서남해안관광도시 연말 착공] 한경데일리 2010-07-23</ref> 목포는 그 배후 중심 도시로써의 중요성도 부각되고 있다.
 
이외에도 [[유달산]], [[양을산]], [[입암산]] 등 지역의 산 일대에는 주민들을 위한 체육 공원이 간간이 설치되어 있으며 과거 철도 노선이 도시를 관통하던 것이 석현동 일대로 빠지면서 철로를 철거하고 연동 육교에서 버스터미널에 이르기까지 대대적인 정비가 이뤄졌다. 이를 통해 버스터미널과 구 동목포역사 일대에 근린 공원이 조성되어 주민들의 걷기 운동을 돕는 산책로가 정비되었다.
==== 관광지 ====
 
문화시설의 경우 갓바위에 박물관 등의 시설 외에도 [[목포문화예술회관]]이 들어서 있다.
 
==== 관광지 ====
* [[유달산]]
* [[목포 갓바위]]
줄 720 ⟶ 723:
* [[목포조각공원]]
 
===== 박물관·전시관·기념관 =====
* [[목포자연사박물관]]
* [[목포생활도자박물관]]
 
===== 전시관 =====
* [[국립해양유물전시관]]
 
===== 기념관 =====
* [[남농기념관]]
 
==== 먹거리 ====
* [[홍어]]
* [[홍탁삼합]]
* [[낙지|세발낙지]]
* [[연포탕]]
* [[민어 (어류)|민어회]]
* [[꽃게|꽃게무침]]
 
=== 주요 축제 ===
대표적인 목포의 축제로는 유달산 꽃 축제와 [[목포해양문화축제]]가 있다. 이외에도 회시장의 성격을 살려 동명동과 북항 일대에서 수산물 관련 축제를 하며 관광객들의 발길을 모으고 있다.
* 유달산 꽃 축제
유달산 개나리꽃축제였던 것을 시에서 이름을 바꿔 유달산 꽃 축제로 부르고 있다. 유달산 꽃 축제는 개나리와 목련, 벚꽃이 가득한 [[유달산]] 일대에서 열린다.
 
* [[목포해양문화축제]]
목포 [[평화광장]]일대에서 개최되며, 축제기간동안 100만 명 이상 인파가 몰릴만큼 볼거리와 풍성하고 다채로운 행사이다. 매일 밤마다 목포 춤추는 음악분수가 축제와 함께 즐거운 볼거리를 제공한다. 또한 목포사랑은빛갈치축제가 있는데 관광객들에게 낚시대를 무료로 대여하여 가족이 갈치를 잡을 수 있도록 한 데서 큰 성과를 거뒀다. 매년 10월 열리는 축제는 선상 갈치낚시대회로 그 절정에 달하며 불꽃놀이와 함께 오후 5시 30분~9시 30분까지 진행된다.<ref>[http://star.moneytoday.co.kr/view/stview.php?no=2008092418594012342&type=1&outlink=1 2008-09-24 스타뉴스 '목포바다 은빛갈치축제' 화려한 밤 수놓는다]</ref>
 
* [[난영가요제]]
목포시민이 주목하는 축제로 목포가 자랑하던 가수이던 [[이난영]]을 기리기 위해 생겨난 행사이다. 가수 [[이난영]]은 《[[목포는 항구다 (가요)|목포는 항구다]]》·《[[목포의 눈물]]》등을 부른 가수이다. 1968년 호남매일신문사가 행사를 시작해 개최되다 잠시 중단됐지만 1991년부터 [[목포문화방송]]의 주관으로 명맥을 이어오고 있다. 목포가요제도 성격이 비슷한 것으로 [[KBS목포방송국]]이 주관한다.
 
=== 언론 기관 ===
목포에는 [[KBS목포방송국]]과 [[목포문화방송]] 외 여러 언론기관이 자리하고 있다. [[KBS목포방송국]]은 [[1942년]] 지역방송으로는 최초로 설립되어 목포 연동육교(소방파출소 인근) 산자락에 있던 것을 용당동 시청 사옥 옆으로 이전해 지금에 오고 있다. [[목포문화방송]]은 1967년 무선국 가허가를 받은 뒤 이듬해 목포라디오(RMB)로 개국하면서 시작됐으며 호출부호 HLAM, 주파수 1386kHz였다. 목포문화방송은 과거 민중 항쟁 당시 민중의 소리를 담았으며 1980년에는 [[5·18 민주화운동]]이 벌어지던 시기에 5월 31일까지 방송을 중단하기도 했다. [[1989년 3월]] 3일부터 현재까지 용당동 신사옥을 준공해 이전했으며 1999년 89.1MHz로 표준FM을 개국하여 방송을 시작했다.<ref>[http://www.mpmbc.co.kr/content.php?co_id=history 목포문화방송 회사연혁]</ref>
 
종교계통 방송으로는 유일한 [[목포극동방송]]은 호남 서남부를 관할하며 1999년 개원해 전파 송출을 담당하며 전라권 활동에 주력하고 있다. 유선방송 사업자로 한국케이블TV 호남방송이 있다. 신문사업자로 목포투데이와 목포시민신문 등이 있다.
 
=== 문화·체육 시설 ===
[[파일:Mokpo Art Center.JPG|thumb|220px|목포 문화예술회관]]
용당동 용당로에 자리한 [[목포유달경기장]]은 [[1987년]] 9월 목포실내수영장과 함께 개관하였으며 총 부지 면적 65,964m<sup>2</sup>, 천연잔디구장(69×97m), 8레인의 우레탄 트랙으로 구성되어 있다. 경기장 뒤편에는 정구장과 테니스장이 있어 지역 스포츠 동호회의 활동이 잦다. 경기장 1층에는 핸드볼, 태권도 등 다양한 종목 협의회가 들어서 있다. 유달경기장과 실내체육관을 바탕으로 목포시는 2004년부터 시 체육회와 함께 동계전지훈련 유치를 위해 뛰어왔다. 홍보 결과에 힘입어 2004년 12월에서 이듬해 2월에까지 축구, 육상, 유도, 경정 등 127개팀 5,912명을 유치했고<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8&aid=0000258574 한국일보 2004-11-23 "스포츠 동계훈련 목포로 오세요"]</ref> 앞으로 그 규모는 더욱 커질 전망이다. 2005년부터 투척 종목만을 다루는 목포전국육상대회가 시작되면서 선수들의 발길이 더욱 늘고 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98&aid=0000108469& 2006-02-03 2006 목포 전국육상경기대회 개최 ]</ref> 2009년 8월 23일부터 한중일 주니어 기능경기대회가 목포에서 열리게 됨에 따라 시설 정비가 이뤄져<ref>[http://mokpombc.co.kr/bbs/board.php?bo_table=news&wr_id=63609&sca=%B4%BA%BD%BA%C5%F5%B5%A5%C0%CC&spt=-61129&page=7 목포MBC 2008-11-28 "목포 유달경기장 리모델링 추진"]</ref> 트랙을 비롯한 내부 시설 증강 및 외벽 철거가 이뤄졌다.
 
이외에도 [[유달산]], [[양을산]], [[입암산]] 등 지역의 산 일대에는 주민들을 위한 체육 공원이 간간이 설치되어 있으며 과거 철도 노선이 도시를 관통하던 것이 석현동 일대로 빠지면서 철로를 철거하고 연동 육교에서 버스터미널에 이르기까지 대대적인 정비가 이뤄졌다. 이를 통해 버스터미널과 구 동목포역사 일대에 근린 공원이 조성되어 주민들의 걷기 운동을 돕는 산책로가 정비되었다.
 
문화시설의 경우 갓바위에 박물관 등의 시설 외에도 [[목포문화예술회관]]이 들어서 있다. 두 동으로 나뉘어 있는 문화예술회관은 공연동과 전시동으로 구분된다. 공연장 1, 2층 수용면적이 약 700여 명<ref>[http://www2.mokpo.go.kr/home/www/life/culture/art/ 목포시 문화예술회관]</ref> 에 불과해 규모가 큰 것은 아니다. 전시동에서는 다양한 분야의 전시회를 개최하며 지역 예술인들의 무대로 자리하고 있다. 신도심에 체육시설이 들어설 공간이 없다는 지적에 따라 건립한 [[목포시민문화체육센터]]는 2003년 4월 준공하고도 막대한 운영비 탓에 전라남도가 운영을 하지 않고 있었다. 이를 목포시가 먼저 인계해 2003년 12월 개관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2&aid=0000011037 2003-10-24 세계일보 "목포체육센터 12월 개관"]</ref> 크게 대·소·야외공연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공연장의 경우 1,294명을 수용할 수 있는 규모다.<ref>[http://www2.mokpo.go.kr/home/www/life/culture/citicult/ 목포시민문화체육센터]</ref>
 
==== 도서관 ====
목포에는 4곳의 도서관이 있다. [[목포시립도서관]]은 [[1974년]] 구 일본영사관 건물에 문을 열었다 [[1989년]] 현재의 용당2동 자리로 옮겨 현재 약 23만 권의 장서를 보유하고 있으며 지하 1층 지상 4층에 1,636석의 열람석을 갖추고 있다. 2003년 민간 위탁업체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파행운영이라는 비난 여론이 끊이지 않아 도서관 운영이 부패로 얼룩질 수 있다고 주장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이에 따라 시는 자체심사위원회를 통해 목포문화원을 최종 위탁기관으로 선정한 바 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0061156 2003-01-20 "목포시립도서관 민간위탁에 목포문화원"]</ref><ref>[http://www.mokpocitylib.or.kr/ 목포시립도서관]</ref> 1982년 교육청의 부속기관으로 설립된 [[목포공공도서관]]은 지하1층-지상4층 규모로써 자체기관으로 독립해 현재 북항 인근의 산정동에 있으며 총 수용인원은 1,460명이다.<ref>[http://www.mokpolib.kr/ 목포공공도서관]</ref> 그리고, 2010년 목포석현초등학교 옆에 신축하여 개관한 목포어린이도서관은 지상 3층 규모에 총 29,090권의 장서를 보유하고 있다.<ref>[http://www.mokpochildlib.or.kr/main/ 목포어린이도서관]</ref> 또한 2012년에는 정확히 목포시소재의 도서관이 아니지만 같은 시가지 및 생활권을 형성하는 [[남악신도시]]의 남악지구에 지하1층 지상 3층 규모의 [[전라남도립도서관]]이 개관하였다.
 
* [[목포시립도서관]] (용당2동)
* [[목포공공도서관]] (원산동)
* [[목포어린이도서관]] (상동)
* [[전라남도립도서관]] (남악신도시 남악지구)
 
==== 전시관·박물관 ====
* 어린이바다체험과학관 (만호동)
* 노벨평화상기념관 (만호동)
줄 783 ⟶ 740:
* [[국립생물자원관]](예정) (이로동)
 
==== 먹거리 ====
==== 사적·등록문화재·문화재자료 ====
* [[홍어]]
* [[홍탁삼합]]
* [[낙지|세발낙지]]
* [[연포탕]]
* [[민어 (어류)|민어회]]
* [[꽃게|꽃게무침]]
 
==== 사적·등록문화재·문화재자료 ====
* [[구 목포 일본영사관]] (유달동)
* [[구 목포공립심상소학교 강당]] (유달동)
줄 791 ⟶ 756:
* [[이훈동정원]] (유달동)
 
==== 천연기념물 ====
* [[목포 갓바위]] (신흥동)
 
==== 문예축제 시설 ====
대표적인 목포의 축제로는 유달산 꽃 축제와 [[목포해양문화축제]]가 있다. 이외에도 회시장의 성격을 살려 동명동과 북항 일대에서 수산물 관련 축제를 하며 관광객들의 발길을 모으고 있다.
* [[목포문화예술회관]] (이로동)
* 유달산 꽃 축제
* [[목포시민문화체육센터]] (옥암동)
유달산 개나리꽃축제였던 것을 시에서 이름을 바꿔 유달산 꽃 축제로 부르고 있다. 유달산 꽃 축제는 개나리와 목련, 벚꽃이 가득한 [[유달산]] 일대에서 열린다.
 
* [[목포해양문화축제]]
목포 [[평화광장]]일대에서 개최되며, 축제기간동안 100만 명 이상 인파가 몰릴만큼 볼거리와 풍성하고 다채로운 행사이다. 매일 밤마다 목포 춤추는 음악분수가 축제와 함께 즐거운 볼거리를 제공한다. 또한 목포사랑은빛갈치축제가 있는데 관광객들에게 낚시대를 무료로 대여하여 가족이 갈치를 잡을 수 있도록 한 데서 큰 성과를 거뒀다. 매년 10월 열리는 축제는 선상 갈치낚시대회로 그 절정에 달하며 불꽃놀이와 함께 오후 5시 30분~9시 30분까지 진행된다.<ref>[http://star.moneytoday.co.kr/view/stview.php?no=2008092418594012342&type=1&outlink=1 2008-09-24 스타뉴스 '목포바다 은빛갈치축제' 화려한 밤 수놓는다]</ref>
 
* [[난영가요제]]
목포시민이 주목하는 축제로 목포가 자랑하던 가수이던 [[이난영]]을 기리기 위해 생겨난 행사이다. 가수 [[이난영]]은 《[[목포는 항구다 (가요)|목포는 항구다]]》·《[[목포의 눈물]]》등을 부른 가수이다. 1968년 호남매일신문사가 행사를 시작해 개최되다 잠시 중단됐지만 1991년부터 [[목포문화방송]]의 주관으로 명맥을 이어오고 있다. 목포가요제도 성격이 비슷한 것으로 [[KBS목포방송국]]이 주관한다.
 
==== 체육·문예 시설 ====
[[파일:Mokpo Art Center.JPG|thumb|220px|목포 문화예술회관]]
* [[목포유달경기장|유달경기장]] (용당2동)
용당동 용당로에 자리한 [[목포유달경기장]]은 [[1987년]] 9월 목포실내수영장과 함께 개관하였으며 총 부지 면적 65,964m<sup>2</sup>, 천연잔디구장(69×97m), 8레인의 우레탄 트랙으로 구성되어 있다. 경기장 뒤편에는 정구장과 테니스장이 있어 지역 스포츠 동호회의 활동이 잦다. 경기장 1층에는 핸드볼, 태권도 등 다양한 종목 협의회가 들어서 있다. 유달경기장과 실내체육관을 바탕으로 목포시는 2004년부터 시 체육회와 함께 동계전지훈련 유치를 위해 뛰어왔다. 홍보 결과에 힘입어 2004년 12월에서 이듬해 2월에까지 축구, 육상, 유도, 경정 등 127개팀 5,912명을 유치했고<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8&aid=0000258574 한국일보 2004-11-23 "스포츠 동계훈련 목포로 오세요"]</ref> 앞으로 그 규모는 더욱 커질 전망이다. 2005년부터 투척 종목만을 다루는 목포전국육상대회가 시작되면서 선수들의 발길이 더욱 늘고 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98&aid=0000108469& 2006-02-03 2006 목포 전국육상경기대회 개최 ]</ref> 2009년 8월 23일부터 한중일 주니어 기능경기대회가 목포에서 열리게 됨에 따라 시설 정비가 이뤄져<ref>[http://mokpombc.co.kr/bbs/board.php?bo_table=news&wr_id=63609&sca=%B4%BA%BD%BA%C5%F5%B5%A5%C0%CC&spt=-61129&page=7 목포MBC 2008-11-28 "목포 유달경기장 리모델링 추진"]</ref> 트랙을 비롯한 내부 시설 증강 및 외벽 철거가 이뤄졌다.
* [[목포문화예술회관]] (이로동)
두 동으로 나뉘어 있는 문화예술회관은 공연동과 전시동으로 구분된다. 공연장 1, 2층 수용면적이 약 700여 명<ref>[http://www2.mokpo.go.kr/home/www/life/culture/art/ 목포시 문화예술회관]</ref> 에 불과해 규모가 큰 것은 아니다. 전시동에서는 다양한 분야의 전시회를 개최하며 지역 예술인들의 무대로 자리하고 있다.
* [[목포시민문화체육센터]] (옥암동)
문화시설의 경우 갓바위에 박물관 등의 시설 외에도 [[목포문화예술회관]]이 들어서 있다. 두 동으로 나뉘어 있는 문화예술회관은 공연동과 전시동으로 구분된다. 공연장 1, 2층 수용면적이 약 700여 명<ref>[http://www2.mokpo.go.kr/home/www/life/culture/art/ 목포시 문화예술회관]</ref> 에 불과해 규모가 큰 것은 아니다. 전시동에서는 다양한 분야의 전시회를 개최하며 지역 예술인들의 무대로 자리하고 있다. 신도심에 체육시설이 들어설 공간이 없다는 지적에 따라 건립한 [[목포시민문화체육센터]]는 2003년 4월 준공하고도 막대한 운영비 탓에 전라남도가 운영을 하지 않고 있었다. 이를 목포시가 먼저 인계해 2003년 12월 개관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2&aid=0000011037 2003-10-24 세계일보 "목포체육센터 12월 개관"]</ref> 크게 대·소·야외공연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공연장의 경우 1,294명을 수용할 수 있는 규모다.<ref>[http://www2.mokpo.go.kr/home/www/life/culture/citicult/ 목포시민문화체육센터]</ref>
* 실내체육관 (상동)
* 실내수영장 (상동)
줄 806 ⟶ 784:
* 목포국제축구센터
 
==== 극장·영화관 ====
극장의 경우 개항이후 [[1926년]] 11월 [[목포극장]]이 개업하면서 지역민의 문화 시설로 자리 잡고 있었다. 이후 시내에 3~4곳의 극장이 더 들어섰으나 흥망을 거듭했다{{출처|날짜=2008-7-18}}. 그러나 1990년대 말부터 구도심의 영향력이 축소되면서 극장을 비롯해 시내를 찾는 사람들의 발길이 하당으로 이동했다. 이는 현대식 복합상영관이 대거 하당에 몰렸기 때문으로 하당의 번화가에 해당하는 장미의 거리 일대에만 메가라인 목포점(2011년 2월 폐점)과 [[CGV]] 목포가 들어섰기 때문이다. 설상가상으로 [[프리머스 시네마]] 목포점과 [[롯데시네마]]까지 하당 일대에 들어서면서 이에 따라 구도심 내 극장들이 연쇄 도산했고 목포극장 또한 2008년 영업을 중단하고 건물 정비 후 <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111&aid=0000002874 조이뉴스 2004-12-27 "연말연시 불붙은 멀티플렉스 전쟁"]</ref><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9&aid=0000420713 매일경제 2005-01-24 "목포 신도심에 롯데시네마 목포관 개관"]</ref><ref>[http://www.cine21.com/Article/article_view.php?mm=001001001&article_id=41772 2006-09-26 "프리머스 노원, 광명, 주안, 목포 연이어 신규 개관"]</ref> 2010년 다시 개관했지만, 2012년 롯데시네마가 구 목포극장 건물 인수하여 2013년 2월 7일 롯데시네마 목포센트럴점을 오픈하였다가 다시 2014년 12월 23일 메가박스 목포점으로 재오픈하였다. 그리고 프리머스 목포점이 2016년 2월 1일로 메가박스 목포하당점으로 바뀌었다.
 
줄 813 ⟶ 791:
* [[메가박스]] 목포점 (목원동)
* [[메가박스]] 목포하당점 (옥암동)
 
=== 주요언론 축제기관 ===
목포에는 [[KBS목포방송국]]과 [[목포문화방송]] 외 여러 언론기관이 자리하고 있다. [[KBS목포방송국]]은 [[1942년]] 지역방송으로는 최초로 설립되어 목포 연동육교(소방파출소 인근) 산자락에 있던 것을 용당동 시청 사옥 옆으로 이전해 지금에 오고 있다. [[목포문화방송]]은 1967년 무선국 가허가를 받은 뒤 이듬해 목포라디오(RMB)로 개국하면서 시작됐으며 호출부호 HLAM, 주파수 1386kHz였다. 목포문화방송은 과거 민중 항쟁 당시 민중의 소리를 담았으며 1980년에는 [[5·18 민주화운동]]이 벌어지던 시기에 5월 31일까지 방송을 중단하기도 했다. [[1989년 3월]] 3일부터 현재까지 용당동 신사옥을 준공해 이전했으며 1999년 89.1MHz로 표준FM을 개국하여 방송을 시작했다.<ref>[http://www.mpmbc.co.kr/content.php?co_id=history 목포문화방송 회사연혁]</ref>
 
종교계통 방송으로는 유일한 [[목포극동방송]]은 호남 서남부를 관할하며 1999년 개원해 전파 송출을 담당하며 전라권 활동에 주력하고 있다. 유선방송 사업자로 한국케이블TV 호남방송이 있다. 신문사업자로 목포투데이와 목포시민신문 등이 있다.
 
==== 도서관 ====
목포에는 4곳의 도서관이 있다. [[목포시립도서관]]은 [[1974년]] 구 일본영사관 건물에 문을 열었다 [[1989년]] 현재의 용당2동 자리로 옮겨 현재 약 23만 권의 장서를 보유하고 있으며 지하 1층 지상 4층에 1,636석의 열람석을 갖추고 있다. 2003년 민간 위탁업체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파행운영이라는 비난 여론이 끊이지 않아 도서관 운영이 부패로 얼룩질 수 있다고 주장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이에 따라 시는 자체심사위원회를 통해 목포문화원을 최종 위탁기관으로 선정한 바 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0061156 2003-01-20 "목포시립도서관 민간위탁에 목포문화원"]</ref><ref>[http://www.mokpocitylib.or.kr/ 목포시립도서관]</ref> 1982년 교육청의 부속기관으로 설립된 [[목포공공도서관]]은 지하1층-지상4층 규모로써 자체기관으로 독립해 현재 북항 인근의 산정동에 있으며 총 수용인원은 1,460명이다.<ref>[http://www.mokpolib.kr/ 목포공공도서관]</ref> 그리고, 2010년 목포석현초등학교 옆에 신축하여 개관한 목포어린이도서관은 지상 3층 규모에 총 29,090권의 장서를 보유하고 있다.<ref>[http://www.mokpochildlib.or.kr/main/ 목포어린이도서관]</ref> 또한 2012년에는 정확히 목포시소재의 도서관이 아니지만 같은 시가지 및 생활권을 형성하는 [[남악신도시]]의 남악지구에 지하1층 지상 3층 규모의 [[전라남도립도서관]]이 개관하였다.
 
* [[목포시립도서관]] (용당2동)
* [[목포공공도서관]] (원산동)
* [[목포어린이도서관]] (상동)
* [[전라남도립도서관]] (남악신도시 남악지구)
 
== 교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