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광역시의 역사: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Lotje (토론 | 기여)
302번째 줄:
1930년 이른바 [[만주 사변]]으로 [[중일전쟁]]을 일으킨 일제는 한반도의 산업 정책을 재편하여 공업화를 추진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인천은 송림동, 창영동, 도원동 서쪽의 항만지대에 한정된 6.05km<sup>2</sup>만을 남겨두고 나머지는 부평군과 통합되어 부천군이 되었으나 공업화 추징으로 관할지가 확대되게 되었다. 1940년 2차 관할구역 확장 결과 인천은 부평군의 대부분을 흡수하여 그 면적이 165.82km<sup>2</sup>에 달하게 된다.<ref>{{harvnb|인천광역시 역사자료관 역사문화연구실|2006|p=9-10}}</ref> 일제는 인천의 공업화를 위해 전력수급계획을 마련하였고 군수 물자로 사용하기 위한 방적산업을 집중 육성하였다.<ref>{{harvnb|인천광역시 역사자료관 역사문화연구실|2006|p=11}}</ref> 1934년 인천시 만석동에 동양방적주식회사가 인천공장이 세워졌다. 일제시대부터 운영되던 이 공장은 1955년 민영으로 넘겨져 동일방직 주식회사가 되었고 1970년대 가혹한 노동탄압으로 세상에 알려졌다.<ref>{{harvnb|경인일보 특별취재팀|2001|p=264-267}} (상권)</ref><ref>한상철, 《내가 쓰는 한국 근현대사》, 우리교육, 2011년, ISBN 8980409400, 280쪽</ref>
 
한편 부평에는 [[닛산]]이 자동차제작소를 세우고 디젤자동차를 생산하였다. 해방 이후 부평이 자동차공업의 시발지가 된 이유가 여기에 있다. 제2차 세계대전 말기에 일제는 부평에 일본육군조병창을 세웠다. 1930년~40년대 사이 인천공업지대에 건설된 주요 공장들은 동양방적, 조선목재, 일본제분 등 3개 공장을 제외하고는 모두 군수산업에 속하는 공장들이다.<ref>{{harvnb|인천광역시 역사자료관 역사문화연구실|2006|p=12}}</ref> 1940년대 당시 인천에는 섬유공업 4 개소, 기계금속공업 26 개소, 화학공업 3 개소, 제재업 6 개소, 식료품 공업 47 개소, 기타제조업 51개소 등 137 개의 공장이 있었다.<ref>{{harvnb|인천광역시 역사자료관 역사문화연구실|2006|p=115-16}}</ref>
 
==== 수인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