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광역시의 역사: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7번째 줄:
[[병인양요]], [[신미양요]]와 [[운요호 사건]]을 거치면서 인천은 외세와 직접 대면하는 곳이 되었다. [[제물포조약]]이후 6년이 지나 제물포가 개항되고 [[청나라]]와 [[일본]]의 조계지와 서양 여러나라의 영사관이 제물포에 들어서게 되었다.<ref>{{harvnb|나채훈 박한섭|2006|p=75,85-86}}</ref> 그리고 관교동(문학동)에 있던 인천의 중심지가 개항에 따라 사실상 제물포로 옮겨지게 되었다. 제물포를 통한 교역 대상국은 청나라가 압도적이었으나<ref>{{harvnb|인천광역시 역사자료관|2009|p=13}}</ref> [[청일전쟁]] 이후 일본이 주도권을 쥐게 되었다. 1906년 인천 내항을 축조하여 항구를 확장하였고<ref>{{harvnb|윤대영|20110|p=46-47}}</ref>, 일제강점기에 이르러 인천은 일제 식민 통치의 중요한 항구가 되었다. 중일전쟁 이후에는 계속되는 전쟁을 수행하기 위한 군수산업단지의 역할을 하였다. 일제 강점기 시기에 일본은 인천 곳곳의 지명을 일본식으로 바꾸었다. 해방 이후 ‘정명개정위원회’(町名改正委員會)가 구성되어 일본식 이름을 소거하였으나 지금도 만석동, [[송도국제도시|송도]]<ref group="주해">송도(松島)는 청일전쟁과 러일전쟁 당시 일본측 순양함이었던 [[마쓰시마 (방호순양함)|마쓰시마]]에서 유래한 이름이다</ref> 와 같은 이름이 남아있다.<ref>{{harvnb|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2013|p=253}}</ref>
 
1945년 9월 8일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일본제국]]이 패망하자 미군이 인천을 통하여 상륙하였다. 1950년 9월 15일 있었던 [[인천상륙작전]]은 [[한국 전쟁]]의 국면을 크게 전환하였다. 수세에 밀렸던 대한민국은 이 작전을 계기로 공세로 전환하여 북진할 수 있었다.<ref>{{harvnb|역사학연구소|2004|p=307}}</ref> 60년대와 70년대를 거치면서 인천은 수도권의 주요 수출입 항만이 되었다. 산업화가 진행됨에 때라 인천항은 계속하여 확충되었고, 인천 내항이 맞고 있던 역할은 북항, 연안부두, 남항 등지로 분산 이전되었다. 이로 인해 내항 앞에 형성되어 있던 [[인천 차이나타운]]의 화교들은 경제 침체를 맞기도 하였다. 한편, 인천 각지에는 공업단지가 조성되었다.
 
오늘날 인천에 속한 행정구역은 근대 이전까지 전통적으로 서로 다른 지역사를 갖는 여러 지방이 묶여 있다. 원래의 인천은 지금의 인천광역시 남부와 경기도 시흥시 북부 일대였고, 그 중심지는 인천도호부가 있던 문학산을 중심으로 한 [[남구]] 남부(옛 인천도호부 부내면) 일대였고, 개항 이후 인천의 중심지는 제물포 지역으로 이동되었다. 이후 부평과 강화 등이 차례로 인천으로 편입되었다. 오늘날 인천은 8개의 구와 2개의 군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2013년 기준 인구는 약 293만명이다.<ref>[http://www.incheon.go.kr/app/ebook-102 2013년 인천통계연보], 인천광역시</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