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특정 http → https 변환
33번째 줄:
然色界諸天之廢立,諸經論頗有異說。長阿含經卷二十舉出二十二天,即:梵身天、梵輔天、梵眾天、大梵天、光天、少光天、無量光天、光音天、淨天、少淨天、無量淨天、遍淨天、嚴飾天、小嚴飾天、無量嚴飾天、嚴飾果實天、無想天、無造天、無熱天、善見天、大善見天、阿迦尼吒天。起世經卷八、大般若經卷四○三等持相同說法。舊華嚴經卷十三、新華嚴經卷二十一、大般若經卷四○二、佛本行集經卷九等則刪除無想天,而僅列舉二十一天。大毘婆沙論卷一三六、立世阿毘曇論卷六、大乘阿毘達磨雜集論卷六等刪除梵身、光天、淨天、嚴飾等四天,而立十八天之說。金光明最勝王經卷三、順正理論卷二十一、彰所知論卷上等更除去無想天而立十七天之說;阿毘曇心論經卷五刪除大梵天,另加無想天,亦立十七天之說;中阿含卷九地動經復刪除無想天,而僅舉出十六天之名。
關於色界四禪天眾生之依處(所居之處)、身量、壽量,於長阿含經卷二十、大佛頂首楞嚴經卷九、立世阿毘曇論卷三、大毘婆沙論卷一三四、卷一三六、俱舍論卷十一、順正理論卷三十一等,皆詳加敘述,然所說略異。〔仁王般若波羅蜜經卷上、菩薩地持經卷二、大智度論卷十六、成實論卷十二、俱舍論卷五、卷二十八、仁王般若經疏卷一、法華經玄贊卷二、大乘義章卷八末〕(參閱「三界」584、「天」1330、「四禪」1843)
(二)即十八界之色界。(參閱「色境」2549)p2545"}}{{sfn|곽철환|2003|loc="[httphttps://terms.naver.com/entry.nhn?cid=99&docId=900615&categoryId=108 삼계(三界)]". 2013년 6월 8일에 확인|ps=<br>"삼계(三界):
<br>① 중생의 마음과 생존 상태를 세 단계로 나눈 것.
<br>(1) 욕계(欲界). 탐욕이 들끓는 세계로, 지옥·아귀·축생·아수라·인간·육욕천(六欲天)을 통틀어 일컬음.
237번째 줄:
==3계9지와 색계==
 
[[불교]]의 [[불교의 우주론|우주론]] 또는 [[세계관 (불교)|세계관]]에서 [[3계]] 또는 [[3유]]는 [[6도]](六道) [[28천]](二十八天) 등으로 나뉘지만, [[불교 용어 목록/수#수행|수행론]]과 [[번뇌론]]에서는 흔히 [[9지]](九地)로 나뉜다. [[9지]] 중 색계 또는 [[색유]]에 해당하는 것은 제2지인 [[이생희락지]](離生喜樂地)부터 제5지인 [[사념청정지]](捨念淸淨地)까지의 4가지 [[지 (불교)|지]](地)이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4%B8%89%E7%95%8C%E4%B9%9D%E5%9C%B0&rowno=1 三界九地(삼계구지)]". 2012년 10월 24일에 확인}}{{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4%B9%9D%E5%9C%B0&rowno=1 九地(구지)]". 2012년 10월 24일에 확인}}{{sfn|곽철환|2003|loc="[http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897420&categoryId=1885 구지(九地)]". 2012년 10월 24일에 확인}}
 
이들 4지(四地)의 각각을 순서대로 [[지 (불교)#이생희락지|초선]](初禪){{.cw}}[[2선]](二禪){{.cw}}[[3선]](三禪){{.cw}}[[4선]](四禪)이라고도 한다. 또는 [[초선천]](初禪天){{.cw}}[[제2선천]](第二禪天){{.cw}}[[제3선천]](第三禪天){{.cw}}[[제4선천]](第四禪天)이라고도 하며, 혹은 [[초정려]](初靜慮){{.cw}}[[제2정려]](第二靜慮){{.cw}}[[제3정려]](第三靜慮){{.cw}}[[제4정려]](第四靜慮)라고도 한다. 그리고 이들 4가지를 통칭하여 '''4선'''(四禪){{.cw}}'''4선천'''(四禪天){{.cw}}'''4정'''(四定){{.cw}}'''4정려'''(四靜慮){{.cw}}'''4정려천'''(四靜慮天){{.cw}}'''4정려처'''(四靜慮處){{.cw}}'''4생정려'''(四生靜慮) 또는 '''생정려'''(生靜慮)라고 한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8%89%B2%E7%95%8C&rowno=3 色界(색계)]". 2013년 6월 8일에 확인}}{{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0715&DTITLE=%A6%E2%AC%C9 色界]". 2013년 6월 8일에 확인}}{{sfn|佛門網|loc="[http://dictionary.buddhistdoor.com/word/30424/%E5%9B%9B%E7%A6%AA 四禪]". 2013년 6월 9일에 확인|ps=<br>"四禪:
336번째 줄:
색계가 몇 가지 처소[處] 즉 [[천 (불교)|하늘]][天]로 구성되어 있는가에 대해서 경전과 논서들의 의견이 한 가지로 일치하지 않는다.
 
대체로 말하자면,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와 [[경량부]]에서는 색계에 열일곱 [[천 (불교)|하늘]][天]이 있다는 [[색계 17천]](色界十七天)을 설하고 있고, [[상좌부]]와 [[대승불교]]에서는 색계에 열여덟 [[천 (불교)|하늘]][天]이 있다는 [[색계 18천]](色界十八天)을 설하고 있다. 이 두 견해 간의 차이는 색계의 [[4선천]](四禪天) 가운데 [[제4선천]](第四禪天)에 속한 [[무상천]](無想天)을 [[제4선천]]의 제3천인 [[광과천]](廣果天)에 속한 특정한 영역에 부여된 명칭일 뿐이라고 보는가, 혹은, [[무상천]](無想天)을 [[광과천]](廣果天) 위에 존재하는 별도의 처소[處] 즉 [[천 (불교)|하늘]][天]로 보는가에 의한 것이다. 전자의 입장에서는 [[색계 17천]](色界十七天)을 설하고, 후자의 입장에서는 [[색계 18천]](色界十八天)을 설한다.{{sfn|곽철환|2003|loc="[httphttps://terms.naver.com/entry.nhn?cid=99&docId=900922&categoryId=1885 색계십칠천(色界十七天)]". 2013년 1월 9일에 확인|ps=<br>"색계십칠천(色界十七天): 색계의 열일곱 경지.<br>
(1) 범중천(梵衆天).<br>
(2) 범보천(梵輔天).<br>
361번째 줄:
<br>1]무상정(無想定)을 수행한 결과로써 나게 되는 곳. 설일체유부와 경량부에서는 무상천이 색계(色界)의 제4선(禪) 중 광과천(廣果天)의 일부라고 하지만, 상좌부에서는 광과천 위에 있다고 함.
<br>[동]무상유정천(無想有情天), 소광천(少廣天), 복덕천(福德天), 무상계(無想界), 무상처(無想處).
<br>[약]무상(無想)."}}{{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B%AC%B4%EC%83%81%EC%B2%9C&rowno=1 無想天(무상천)]". 2013년 1월 9일에 확인|ps=<br>"無想天(무상천): 색계 4선천(禪天)의 제4선천에 8천이 있는데, 그중 제3 광과천(廣果天) 가운데 있는 하늘을 말한다. 이 하늘에 태어나면 모든 생각이 없으므로 이같이 이름한 것임."}}{{sfn|곽철환|2003|loc="[httphttps://terms.naver.com/entry.nhn?cid=2886&docId=1589467&categoryId=2886 무상천(無想天)]". 2013년 1월 9일에 확인|ps=<br>"무상천(無想天): 모든 마음 작용을 소멸시킨 경지.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경량부(經量部)에서는 색계 제4선천(第四禪天)의 광과천(廣果天)에 포함시키지만, 상좌부(上座部)에서는 광과천 위에 있다고 함.
<br>약어: 무상(無想)
<br>동의어: 무상계(無想界), 무상처(無想處), 무상유정천(無想有情天)"}}{{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7064&DTITLE=%B5L%B7Q%A4%D1 無想天]". 2013년 1월 9일에 확인|ps=<br>"無想天: 無想,梵名 Asajjñisattvāh。又作無想有情天、無想眾生天、少廣天、福德天。色界天之一。即修無想定所感之異熟果報。生此天者,念想滅盡,僅存色身及不相應行蘊,故稱無想天。此天為外道婆羅門之最高涅槃處,亦為異生凡夫以「出離想」作意,修無想定,所感得的異熟之果報,稱為無想果,或無想異熟、無想事、無想報。此天之位置,有部與經部攝之於第四禪天之廣果天,不另立別處;上座部則於廣果天之上,別立無想天一處。此外,此天眾生之身長有五百由旬,壽命為五百大劫(立世阿毘曇論卷七謂一千大劫),壽終之時,再生念想,而墮欲界。〔起世經卷八、俱舍論卷五、瑜伽師地論卷四〕"}}
756번째 줄:
* 《[[아비담심론경]](阿毘曇心論經)》 제5권{{sfn|법승 론, 우파선다 석, 나련제야사 한역|T.1551|loc=제5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8n1551_p0860a04 T28n1551_p0860a04 - T28n1551_p0860a21]. 3계의 처소|ps=<br>"問曰。如佛說三界。彼何者是。答曰。
<br>  欲界十居處  色界說十七
<br>  無色界有四  決定唯彼有欲界十居處者。謂地獄畜生餓鬼人六欲界天。種類此十居處。當知說欲界。此眾生有欲想轉。若此處具足彼一切愛欲相應。是故說欲界。色界說十七者。梵身梵富樓。少光無量光光曜。少淨無量淨遍淨。無蔭福生大果無想眾生。不廣不熱善見善現色究竟。此十七居處說色界。此居處欲想不轉。彼極大色非男女相。是故說色界。無色界有四者。無色界有四居處。無邊虛空處。無邊識處。無所有處。非想非非想處。此居處中色不生。何以故。離色欲故。又次第滅故。若無色中生色者。便無次第滅。然有次第滅。若無者。應色中生欲過。是故無色中不生色。是故說無色。問曰。如佛說三有。欲有色有無色有。此云何。答曰。決定唯彼有。前所說界此即是有。"}}{{sfn|진현종|2007|loc="[httphttps://terms.naver.com/entry.nhn?cid=99&docId=1628909&categoryId=109 아비담심론경(阿毘曇心論經)]". 2013년 6월 9일에 확인|ps=<br>"아비담심론경(阿毘曇心論經):
인도의 학승 법승이 지었고 우파선다가 해석하였으며 6세기 중엽 인도 출신의 학승 나련제야사가 번역하였다. 총 6권 10품으로 구성된 이 경은 사람들이 태어나서는 죽고, 죽어서는 다시 태어난다는 생사윤회에서 벗어나 영원한 안락을 이룩할 것에 대해 설법한 불교교리들을 해석하고 있다."}}
* 《[[창소지론]](彰所知論)》 상권{{sfn|발합사파 조, 사라파 한역|T.1645|loc=상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2n1645_p0230b09 T32n1645_p0230b09 - T32n1645_p0230c01]. 색계 17천(色界十七天)|ps=<br>"色界一十七天者。四靜慮攝。初禪三天者。謂梵眾梵輔大梵。彼天壽量。梵眾半劫。梵輔一劫。大梵一劫半。彼天身量。次第半由旬。一由旬。一由旬半。二禪三天者。謂少光無量光極光。彼天壽量。少光二劫(以上四天四十中劫為一大劫以下諸天八十中劫為一大劫)。無量光四劫。極光八劫。彼天身量。少光二由旬。無量光四由旬。極光八由旬。三禪三天者。少善無量善廣善。彼天壽量。少善一十六劫。無量善三十二劫。廣善六十四劫。彼天身量。少善十六由旬。無量善三十二由旬。廣善六十四由旬。四禪八天者。無雲福生廣果。三是凡居。無煩無熱善現善見色究竟。五是聖居。名曰五淨居。彼天壽量。無雲百二十五劫。福生二百五十劫。廣果五百劫。無煩一千劫。無熱二千劫。善現四千劫。善見八千劫。色究竟一萬六千劫。彼天身量。無雲一百二十五由旬。福生二百五十由旬。廣果五百由旬。無煩一千由旬。無熱二千由旬。善現四千由旬善見八千由旬。色究竟一萬六千由旬。始從梵眾至色究竟。皆名色界。出離欲樂。非離色故。故名色界。"}}<ref>"[httphttps://terms.naver.com/entry.nhn?cid=200000000&docId=1205673&categoryId=200000082 창소지론(彰所知論)]",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2013년 6월 10일에 확인.<br>"창소지론(彰所知論):
<br>요약: 원(元)나라의 발합사파(發合思巴:1239∼1280)가 지은 불교서적.
<br>저자: 발합사파
2,763번째 줄:
 
* {{서적 인용|저자=고려대장경연구소|제목=[http://kb.sutra.re.kr/ritk/service/diction/dicSearch.do 고려대장경 전자 불교용어사전]|출판사=고려대장경 지식베이스 / (사)장경도량 고려대장경연구소}}
* {{서적 인용|저자=곽철환|제목=[http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896477&categoryId=2886 시공 불교사전]|출판사=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연도=2003}}
* {{서적 인용|저자=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연도=K.572, T.1605|제목=[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1364&startNum=1 대승아비달마집론]|출판사=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id=K.572(16-157), T.1605(31-663)}}
* {{서적 인용|저자=불타발타라 한역, 이운허 번역|연도=K.79, T.278|제목=[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0&startNum=1 대방광불화엄경]|출판사=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id=K.79(8-1), T.278(9-395)}} - 《60권 화엄》《구화엄(舊華嚴)》《진경(晉經)》 또는 《진본(晉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