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관 (불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특정 http → https 변환
49번째 줄:
<br>(otl) = Cologne Online Tamil Lexicon
<br>(cpd) = Concise Pahlavi Dictionary
<br>1 (mwd) abhisami %{-eti} (3. pl. %{-yanti} , Imper. %{-yantu}) , Ved. to approach together , come together or meet at (acc.) RV. i , 125 , 7 AV. &c. ; (Opt. 3. pl. %{-Iyu4H}) to invade TS."}} 즉, [[반야|지혜]]와 [[불교 용어 목록/이#인식대상|대상]]이 바로[直接] 만나는 것을 뜻한다. 이런 의미에서 현관(現觀)은 [[무루]]의 [[반야|지혜]]로써 [[불교 용어 목록/이#인식대상|대상]]을 [[있는 그대로]] 명료하게 파악하는 것, 즉 명료한 이해(clear understanding), [[각 (불교)|각]](覺, [[:en:Buddh|<span style="color: black">Buddh</span>]]) 즉 [[깨달음]]([[:en:Buddh|<span style="color: black">Buddh</span>]], [[:en:realization|<span style="color: black">realization</span>]])이라고도 정의된다.{{sfn|Sanskrit and Tamil Dictionaries|loc="[http://www.sanskrit-lexicon.uni-koeln.de/cgi-bin/tamil/recherche?dictionary=all&prst=exact&maxhits=50&st=abhisamaya abhisamaya]". 2013년 4월 25일에 확인}}{{sfn|곽철환|2003|loc="[httphttps://terms.naver.com/entry.nhn?cid=2886&docId=905816&categoryId=2886 현관(現觀)]". 2013년 4월 25일에 확인|ps=<br>"현관(現觀):
산스크리트어 abhisamaya 지혜로써 대상을 있는 그대로 명료하게 파악함."}}{{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A%B0%81&rowno=6 覺(각)]". 2013년 4월 25일에 확인|ps=<br>"覺(각):
<br>[1] 【범】 Buddha 불타(佛陀)라 음역. 이를 바르게는 각자(覺者)라 번역해야 하겠지만, 보통 줄여서 각(覺)이라 한다. 각에는 각찰(覺察)ㆍ각오(覺悟)의 두 가지 뜻이 있다. 각찰은 나쁜 일을 살펴보아 아는 것, 각오는 진리를 깨닫는(開悟) 것.
78번째 줄:
불교 용어로서 현관(現觀)이라고 할 때, 그 대상은 진리[諦]를 말하는데, 현관이라는 용어가 사용된 대표적인 불교 수행론 또는 교의로는 [[부파불교]]의 '''4제현관'''(四諦現觀)과 [[대승불교]]의 '''[[6현관]]'''(六現觀)이 있다. 4제현관은 '''성제현관'''(聖諦現觀)이라고도 불린다.
 
[[반야|지혜]][智]라는 관점에서 보면 [[4제현관]]은 [[불교 용어 목록/심#십지(十智)|10지]](十智) 가운데 [[불교 용어 목록/경#고지|고지]](苦智){{.cw}}[[불교 용어 목록/지#집지|집지]](集智){{.cw}}[[불교 용어 목록/ㅁ#멸지|멸지]](滅智){{.cw}}[[불교 용어 목록/ㄷ#도지|도지]](道智)가 [[현행]]하고 있는 상태로, 달리 말하자면 [[4성제]]를 깊이 [[체득]]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현관은 [[불교 용어 목록/지#진리|진리]]를 '''체득'''(體得)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sfn|곽철환|2003|loc="[httphttps://terms.naver.com/entry.nhn?cid=99&docId=902147&categoryId=1885 십지(十智)]". 2013년 4월 29일에 확인|ps=<br>"십지(十智):
모든 지혜를 열 가지로 나눈 것.
<br>(1) 세속지(世俗智). 세속의 일을 아는 지혜.
97번째 줄:
 小乘俱舍宗謂觀察思悟四諦十六行相之後,進入見道,以無漏智現觀四諦所得之十六種智慧,稱為十六心。四諦,指苦、集、滅、道四種真諦,為佛教最基本之教義。十六行相,即在修習觀悟之過程中,對四諦各自產生四個方面之理解與觀念。見道,為佛教修行階位之一種,意謂「見照四諦真理之修行階位」。無漏智,即斷除欲界、色界、無色界等三界之煩惱,而證得佛教真理(出世間智)之智慧。現觀,即透過禪定,不經語言文字等概念,而使佛教真理直接呈現於面前的一種認識方法。此類認識方法,於小乘佛教中,特以四諦作為認識對象,稱為「聖諦現觀」,亦即次第觀三界之四諦:先緣欲界之「苦諦」而觀之,乃生起無漏之「法忍智」,其後又生起「法智」;次緣色界、無色界之苦而觀之,生起「類忍智」、「類智」;準此,集、滅、道等三諦亦各生四智,則現觀四諦,共成十六種智慧。<br>
 據俱舍論卷二十三賢聖品載,此十六心即:(一)苦法智忍(梵 duhkhe dharma-jñāna-ksānti),現觀欲界之苦諦,斷除迷惑苦諦之見惑。(二)苦法智(梵 duhkhe dharma-jñāna),現觀欲界之苦諦,印證苦諦之理。(三)集法智忍(梵 samudaye-dharma-jñāna-ksānti),現觀欲界之集諦,斷除迷惑集諦之見惑。(四)集法智(梵 samudaye dharma-jñāna),現觀欲界之集諦,印證集諦之理。(五)滅法智忍(梵 nirodhe dharma-jñāna-ksānti),現觀欲界之滅諦,斷除迷惑滅諦之見惑。(六)滅法智(梵 nirodhe dharma-jñāna),現觀欲界之滅諦,印證滅諦之理。(七)道法智忍(梵 mārge dharma-jñāna-ksānti),現觀欲界之道諦,斷除迷惑道諦之見惑。(八)道法智(梵 mārge dharma-jñāna),現觀欲界之道諦,印證道諦之理。(九)苦類智忍(梵 duhkhe 'nvaya-jñāna-ksānti),現觀上二界(色界、無色界)之苦諦,斷除對苦諦之見惑。(十)苦類智(梵 duhkhe 'nvaya-jñāna),現觀上二界之苦諦,印證苦諦之理。(十一)集類智忍(梵 Samudaye 'nvaya-jñāna-ksānti),現觀上二界之集諦,斷除對集諦之見惑。(十二)集類智(梵 Samudaye 'nvaya-jñāna),現觀上二界之集諦,印證集諦之理。(十三)滅類智忍(梵 nirodhe 'nvaya-jñāna-ksānti),現觀上二界之滅諦,斷除對滅諦之見惑。(十四)滅類智(梵 nirodhe 'nvaya-jñāna),現觀上二界之滅諦,印證滅諦之理。(十五)道類智忍(梵 mārge 'nvaya-jñāna-ksānti),現觀上二界之上道諦,斷除對道諦之見惑。(十六)道類智(梵 mārge 'nvaya-jñāna),現觀上二界之道諦,印證道諦之理。<br>
 概括而言,現觀欲界四諦之智,稱為法智;現觀色界、無色界四諦之智,稱為類智。又所謂「類」,類似、相似之意,即謂其類似於先前的欲界之法。法智與類智復各有「忍」與「智」,合為「八忍八智」。所謂忍,即以「忍」(忍許、認可)來斷除煩惱,如「法忍」、「類忍」,均屬於無間道;所謂智,即以「智」來印證真理,如「法智」、「類智」,均屬於解脫道。無間道與解脫道皆為修行佛道、求得涅槃解脫的「四道」之一。上記謂「忍」屬於「無間道」者,蓋因於此階段,正處於忍許、認可四諦之理,而絲毫不被惑體障礙間隔之故;謂「智」屬於「解脫道」者,蓋因既已了知四諦之理,自然即斷除惑體而得解脫。又十六心之中,前十五心屬「見道」修行果位之預流向,又稱十五剎那;後一心則屬「修道」之預流果。〔大毘婆沙論卷一九六、俱舍論卷二十五、雜阿毘曇心論卷五、成唯識論卷九〕(參閱「見道」3000) p385"}}{{sfn|곽철환|2003|loc="[httphttps://terms.naver.com/entry.nhn?cid=99&docId=902125&categoryId=1885 십육심(十六心)]". 2013년 4월 25일에 확인|ps=<br>"십육심(十六心):
팔인(八忍)과 팔지(八智)를 통틀어 일컬음. 팔인은 욕계의 고제(苦諦)·집제(集諦)·멸제(滅諦)·도제(道諦)와 색계·무색계의 고제·집제·멸제·도제를 명료하게 주시하여 그것들에 대한 미혹을 끊고 확실하게 인정하는 지혜. 곧, 고법지인(苦法智忍)·집법지인(集法智忍)·멸법지인(滅法智忍)·도법지인(道法智忍)과 고류지인(苦類智忍)·집류지인(集類智忍)·멸류지인(滅類智忍)·도류지인(道類智忍). 팔지는 욕계의 고제(苦諦)·집제(集諦)·멸제(滅諦)·도제(道諦)와 색계·무색계의 고제·집제·멸제·도제를 체득한 지혜. 곧, 고법지(苦法智)·집법지(集法智)·멸법지(滅法智)·도법지(道法智)와 고류지(苦類智)·집류지(集類智)·멸류지(滅類智)·도류지(道類智).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에서는 십육심을 견도(見道)로 간주하지만 경량부(經量部)에서는 마지막 도류지를 제외한 십오심(十五心)을 견도, 도류지를 수도(修道)로 분류함."}} 이에 비해 [[대승불교]]에서 [[불교 용어 목록/지#진리|진리]][諦]라고 할 때 비록 본질은 [[4성제]]와 동일하지만 그 외연은 이보다 넓다. 따라서, [[대승불교]]의 입장에서는 현관은 '[[진리]]'를 [[불교 용어 목록/ㅇ#언설|언어]]{{.cw}}[[문신 (불교)|문자]]{{.cw}}[[관념]] 또는 [[명신|개념]]의 개입 없이 직접적으로 면전에서 보는 것을 말한다.
 
228번째 줄:
 (一)梵語 ārya。又稱聖者、聖。指證得聖智,而在見道位以上之人;此因見道位以上之人終將完成無漏之聖智,故稱之。<br>
 (二)指佛、菩薩及權化之人(方便示現為人,而德高者)。<br>
 (三)對高僧或碩德之尊稱。印度人即尊稱諸論師為「聖者」;日本對高僧亦尊稱為「聖人」"}} [[견도]](見道)는, [[부파불교]]의 수행계위인 [[성문 (불교)|성문]]의 [[4향4과]]에서는 [[수다원향]](須陀洹向) 즉 [[예류향]](預流向)에 해당하고,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불교 용어 목록/오#오위|5위]](五位)의 수행 계위에서는 제3위인 [[통달위]](通達位)에 해당하고, [[대승불교]] 일반의 [[52위]](五十二位)의 [[보살 수행계위]]에서는 [[십지|초지]](初地), 즉 [[10지]](十地) 가운데 첫 번째 계위, 즉 [[환희지]](歡喜地)에 해당한다.{{sfn|곽철환|2003|loc="[httphttps://terms.naver.com/entry.nhn?cid=2886&docId=896809&categoryId=2886 견도(見道)]". 2013년 4월 25일에 확인|ps=<br>"견도(見道):
산스크리트어 darśana-mārga 사제(四諦)를 명료하게 주시하여 견혹(見惑)을 끊는 단계. 이 이상의 단계에 이른 사람을 성자라고 함. 초기 불교에서는 예류향(預流向), 유식설에서는 통달위(通達位), 보살의 수행 단계에서는 십지(十地) 가운데 초지(初地)에 해당함.
<br>동의어: 견제, 견제도(見諦道), 정성, 정성결정, 정성이생"}}
248번째 줄:
 
* {{서적 인용|저자=고려대장경연구소|제목=[http://kb.sutra.re.kr/ritk/service/diction/dicSearch.do 고려대장경 전자 불교용어사전]|출판사=고려대장경 지식베이스 / (사)장경도량 고려대장경연구소}}
* {{서적 인용|저자=곽철환|제목=[http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896477&categoryId=2886 시공 불교사전]|출판사=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연도=2003}}
* {{서적 인용|저자=운허|제목=[http://buddha.dongguk.edu/bs_list.aspx?type=fromto&from=%EA%B0%80&to=%EB%82%98&pageno=1 불교 사전]|편집자=동국역경원 편집}}
* {{언어링크|en|크기=9pt}} {{서적 인용|저자=DDB|제목=[http://www.buddhism-dict.net/ddb/ 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電子佛教辭典)]|기타=Edited by A. Charles Mull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