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조색: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특정 http → https 변환
1번째 줄:
{{불교}}
 
'''소조색'''([[:zh:所造色|<span style="color: black">所造色</span>]], {{llang|sa|uppādāya-rupa}}, {{llang|en|derived matter}})은, 문자 그대로의 뜻은 "만들어진 물질"로, [[지 (고대 원소)|지]](地){{.cw}}[[수 (고대 원소)|수]](水){{.cw}}[[화 (고대 원소)|화]](火){{.cw}}[[풍 (고대 원소)|풍]](風)의 [[4대종]]([[:zh:四大種|<span style="color: black">四大種</span>]]: [[4대 원소]], [[:en:Mahābhūta|<span style="color: black">Four primary elements</span>]])에 의해 만들어진 모든 물질(色法)을 통칭한다. '''소조'''(所造)라고도 한다. 소조색은 [[4대종]]과는 다른 물질이다. 예를 들어, [[5근]](五根)은 [[4대종]]에 의해 만들어진 소조색이며, [[4대종]]을 통칭하여 [[능조색]]([[:zh:能造色|<span style="color: black">能造色</span>]]: 만드는 물질)이라고 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1676&DTITLE=%A9%D2%B3y%A6%E2 所造色]". 2012년 8월 31일에 확인}}<ref>[http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628563&mobile&categoryId=111 "경량부(經量部, Sautrā–ntika)]", 《네이버 지식백과》. 종교학대사전, 1998.8.20, 한국사전연구사. 2012년 8월 31일에 확인.</ref>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품류족론]]》에 따르면, 소조색은 [[안근|안]]{{.cw}}[[오근과 육근#이근|이]]{{.cw}}[[오근과 육근#비근|비]]{{.cw}}[[오근과 육근#설근|설]]{{.cw}}[[오근과 육근#신근|신]]의 [[5근과 6근|5근]](五根)과 [[색경 (불교)|색]]{{.cw}}[[오경 (불교)#성경|성]]{{.cw}}[[오경 (불교)#향경|향]]{{.cw}}[[오경 (불교)#미경|미]]의 4경(四境)과 '[[촉경|촉경]]의 일부'와 [[무표색]]을 말한다. 여기서, '촉경의 일부'는 [[능조색]]인 [[4대종]]이 [[촉경|촉경]]에 포함되므로 [[4대종]]을 제외한 나머지 [[촉경|촉경]] 전체를 가리킨다.{{sfn|세우 조, 현장 한역|T.1542|loc=제1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6n1542_p0692b24 T26n1542_p0692b24 - T26n1542_p0692b27]. 소조색(所造色)|ps=<br>"色云何。謂諸所有色。一切四大種。及四大種所造色。四大種者。謂地界水界火界風界。所造色者。謂眼根耳根鼻根舌根身根色聲香味。所觸一分。及無表色。"}}{{sfn|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K.949, T.1542|loc=제1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328&startNum=1 1 / 448]. 소조색(所造色)|ps=<br>"색(色)이란 무엇인가? 모두가 가지고 있는 색깔[色]로서 모든 4대종(大種)과 4대종으로 만들어진 물질[所造色]을 말한다.
8번째 줄:
== 참고 문헌 ==
 
* {{서적 인용|저자=곽철환|제목=[http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896477&categoryId=2886 시공 불교사전]|출판사=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연도=2003}}
* <span id="CITEREF.EC.84.B8.EC.B9.9C_.EC.A7.80.EC.9D.8C.2C_.ED.98.84.EC.9E.A5_.ED.95.9C.EC.97.AD.2C_.EA.B6.8C.EC.98.A4.EB.AF.BC_.EB.B2.88.EC.97.AD"></span>{{서적 인용|저자=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연도=K.614, T.1579|제목=[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09&startNum=1 유가사지론]|출판사=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id=K.570(15-465), T.1579(30-279)}}
* {{서적 인용|저자=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연도=K.955, T.1558|제목=[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1 아비달마구사론]|출판사=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id=K.955(27-453), T.1558(2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