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용어 목록 (ㄷ):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특정 http → https 변환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특정 http → https 변환
태그: 점검이 필요한 외부 링크
72번째 줄:
金剛三昧經論 신라의 고승 원효가 지은 <금강삼매경> 해석서. 신문왕 6년(686)에 이룩된 것으로 3권 1책의 목판본이다. 권1에서는 <금강삼매경>의 대의(大意)를 논하고, 마음의 근원은 홀로 정(淨)하여 아공(我空)·법공(法空)·구공(俱空) 3공(空)의 바다는 담연(湛然)한 것이라 하고, 결국 무리(無理)의 지리(至理)와 불연(不然)의 대연(大然)으로서 이 경의 종지는 개합(開合)의 별(別)이 있어서 합하면 일미관행(一味觀行)이 요(要)가 되고 열(開)면 10중법문(十重法門)이 종(宗)이 된다고 하였다. 권3에서는 경제(經題)를 말하고, 다음에는 분과(分科)하고, 이어서 본문에 대하여 논석(論釋)을 했으나 장귀(章句)에 대한 주석이 아니고, 경의 이론에 대한 구명(究明)이다. 그는 이 책 속에서 불교의 진리를 비유하여 "물이 양자강 속에 있으면 이름지어 강수(江水)라 하고, 물이 회수(淮水) 속에 있으면 이름지어 회수(淮水)라 하며, 물이 황하(黃河) 속에 있으면 이름지어 하수(河水)라 하나, 함께 모여 바다속에 있으면 오직 이름하여 해수(海水)이니, 법(法)도 역시 이와 같아서 다함께 모여 진여(眞如)에 있으면, 오직 이름하여 불도(佛道)일 뿐이다.(水在江中, 名爲江水, 水在淮中, 名爲淮水, 水在河中, 名爲河水, 俱在海中, 唯名海水, 法亦如是, 俱在眞如, 唯名佛道)"라고 하였는데, 이것은 그가 만법귀일(萬法歸一) 또는 만법귀진(萬法歸眞)을 굳게 믿고, 이에 따라 그의 모든 사상과 생활을 이끌어갔음을 잘 나타내는 하나의 예증이라 하겠다. 그는 '하나'를 강조하였는데, 그 '하나'의 이해는 원효의 사상과 생활을 아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열쇠가 된다. 그 '하나'를 원효는 '1심(一心)'이나, '제9식(第九識)'이니 또는 '대승(大乘)'이니, '불성(佛性)'이니, '열반(涅槃)'이니 하고 불렀던 것이다. 결국 그에게 있어서 이러한 이름들은 앞서 보아온 강수(江水)·회수(淮水)·하수(河水) 등의 예와 같다고 볼 수 있다."</ref>
 
《[[원각약소]](圓覺略疏)》《[[대승본생심지관경천주]](大乘本生心地觀經淺註)》 등에서는, [[소지장]](所知障)에 해당하는 [[이장 (불교)|이장]](理障)에 대해 설명하면서, [[본각]]인 마음의 근원[本覺心源]은 '''[[담연]]'''(湛然)하고 '''[[청정]]'''(清淨)한데, 오직 [[무명 (불교)|무명]]의 망녕된 [[염오|오염]][妄染: 실체 없는 오염시킴]으로 말미암아 [[바른 앎]][正知見]이 장애되어 [[진여]]의 [[이와 사|이치]]를 통달하지 못하며, 이러한 장애를 [[이장 (불교)|이장]](理障)이라 한다(理障 謂本覺心源 湛然清淨 由無明妄染 礙正知見 不達真如之理 是名理障)고 말하고 있다.{{sfn|佛門網|loc="[http://dictionary.buddhistdoor.com/word/33118/%E4%BA%8C%E9%9A%9C 二障]". 2013년 5월 2일에 확인. 담연(湛然)}}<ref>구글 CBETA 검색, "[httphttps://www.google.com/search?q=%22%E8%AC%82%E6%9C%AC%E8%A6%BA%E5%BF%83%E6%BA%90%22+%22%E6%98%AF%E5%90%8D%E7%90%86%E9%9A%9C%22+site%3Awww.cbeta.org%2Fresult%2Fnormal+site%3Awww.cbeta.org%2Fresult%2Fnormal&hl=zh-TW&inlang=zh-TW&domains=www.cbeta.org%2Fresult%2Fnormal&sitesearch=www.cbeta.org%2Fresult%2Fnormal&sitesearch=www.cbeta.org%2Fresult%2Fnormal&gs_l=heirloom-serp.3...34143.36150.0.36395.2.2.0.0.0.0.100.190.1j1.2.0...0.0...1ac.1.428wyPU9KNE&oq=%22%E8%AC%82%E6%9C%AC%E8%A6%BA%E5%BF%83%E6%BA%90%22+%22%E6%98%AF%E5%90%8D%E7%90%86%E9%9A%9C%22+site%3Awww.cbeta.org%2Fresult%2Fnormal+site%3Awww.cbeta.org%2Fresult%2Fnormal 謂本覺心源 是名理障]". 2013년 5월 2일에 확인.<br>"謂本覺心源 是名理障:
<br>CBETA X21 No. 367《大乘本生心地觀經淺註》卷5:
<br>www.cbeta.org/result/normal/X21/0367_005.htm - 頁庫存檔
<br>正住真空之理。決定不移。惺寂相導。 (07)║ 是名正定)二障習氣者。一'''理障'''。(謂本覺
<br>心源。'''湛然'''清淨。由無明妄染。礙正知見。不達真如之理。 (02)║ 是名'''理障''')二事障。"</ref><ref>구글 CBETA 검색, "[httphttps://www.google.com/search?q=%22%E4%BA%91%E4%BD%95%E4%BA%8C%E9%9A%9C%22+site%3Awww.cbeta.org%2Fresult%2Fnormal&hl=zh-TW&inlang=zh-TW&domains=www.cbeta.org%2Fresult%2Fnormal&sitesearch=www.cbeta.org%2Fresult%2Fnormal&sitesearch=www.cbeta.org%2Fresult%2Fnormal&gs_l=heirloom-serp.3...2889.8568.0.9143.12.1.0.11.0.0.149.149.0j1.1.0...0.0...1ac.1j4.vvnCyCanE80&oq=%22%E4%BA%91%E4%BD%95%E4%BA%8C%E9%9A%9C%22+site%3Awww.cbeta.org%2Fresult%2Fnormal 云何二障]". 2013년 5월 2일에 확인.<br>"云何二障:
<br style="margin-bottom: 10px">CBETA T32 No. 1669《大宗地玄文本論》卷14
<br>www.cbeta.org/result/normal/T32/1669_014.htm
428번째 줄:
 梵語 sodaśākārāh。又作十六行、十六行觀、十六行相觀、十六聖行、十六諦、四諦十六行相。行相,相狀之意。觀四諦時,各有四種差別,於其時所產生之行相共有十六種。據俱舍論卷二十六所載,苦聖諦有四相(苦諦四相):(一)非常(梵 anitya),待緣而成故。(二)苦(梵 duhkha),逼迫性故。(三)空(梵 śūnya),違我所見故。(四)非我(梵 anātman),違我見故。集聖諦亦有四相(集諦四相):(一)因(梵 hetu),其理如種子。(二)集(梵 samudaya),同於顯現之理。(三)生(梵 prabhava),能令續起。(四)緣(梵 pratyaya),能令成辦;譬如泥團、輪、繩與水等眾緣,和合而成一瓶。滅聖諦亦有四相(滅諦四相):(一)滅(梵 nirodha),諸蘊盡故。(二)靜(梵 śānta),三火息故。(三)妙(梵 pranīta),眾患無故。(四)離(梵 nihsarana),脫眾災故。道聖諦亦有四相(道諦四相):(一)道(梵 mārga),通行義故。(二)如(梵 nyāya),契正理故。(三)行(梵 pratipad),正趣向故。(四)出(梵 nairyānika),能永超故。十六行相名雖十六,實事唯七。謂緣苦諦者,名實俱四;緣餘三諦者,名四實一。說十六行相之目的,為治常、樂、我所、我見等見,故修非常、苦、空、非我等行相;為治無因、一因、變因、知先因等見,故修因、集、生、緣等行相;為治解脫是無之見,故修滅行相;為治解脫是苦之見,故修靜行相;為治靜慮及等至之樂為妙之見,故修妙行相;為治解脫是數數退墮而非永恆之見,故修離行相;為治無道、邪道、餘道、退道之見,故修道、如、行、出等行相。〔坐禪三昧經卷下、正法念處經卷三十四、大毘婆沙論卷七十九〕"}}
 
4. '''도'''(道, {{llang|sa|[[:en:mārga|<span style="color: black">mārga</span>]]}}, {{llang|pi|[[:en:magga|<span style="color: black">magga</span>]]}})는 전통적인 용어로 '''유리'''(遊履)와 '''통입'''(通入)을 말한다.<ref>구글 CBETA 검색, "[httphttps://www.google.com/search?q=%22%E9%81%8A%E5%B1%A5%22+%22%E9%80%9A%E5%85%A5%22+site:www.cbeta.org/result/normal+site:www.cbeta.org/result/normal&num=20&inlang=zh-TW&domains=www.cbeta.org/result/normal&hl=zh-TW&prmd=ivns&filter=0 遊履 通入]". 2013년 4월 27일에 확인.<br>"遊履 通入:
<br style="margin-bottom: 10px">CBETA T42 No. 1826《十二門論宗致義記》卷1
<br>www.cbeta.org/result/normal/T42/1826_001.htm
560번째 줄:
<br>通
통할 통
<br>1. 통하다(通--) 2. 내왕하다(來往--) 3. 알리다 4. 알다 5. 정을 통하다(通--) 6. 통(편지 따위를 세는 단위)"</ref> 이것은 [[도 (불교)|도]](道)에 대한 불교의 전통적인 여러 해석 가운데 하나이다.<ref name="구글-CBETA-道 能通">구글 CBETA 검색, "[httphttps://www.google.com/search?q=%22%E9%81%93+%E8%83%BD%E9%80%9A%22+site%3Awww.cbeta.org%2Fresult%2Fnormal+site%3Awww.cbeta.org%2Fresult%2Fnormal&hl=zh-TW&inlang=zh-TW&domains=www.cbeta.org%2Fresult%2Fnormal&sitesearch=www.cbeta.org%2Fresult%2Fnormal&sitesearch=www.cbeta.org%2Fresult%2Fnormal&gs_l=heirloom-serp.3...10030.14122.0.14424.2.2.0.0.0.0.115.225.0j2.2.0...0.0...1ac.1.ucJWjPsy6P4&oq=%22%E9%81%93+%E8%83%BD%E9%80%9A%22+site%3Awww.cbeta.org%2Fresult%2Fnormal+site%3Awww.cbeta.org%2Fresult%2Fnormal 道 能通]". 2013년 4월 27일에 확인.<br>"道 能通:
<br style="margin-bottom: 10px">CBETA T48 No. 2016《宗鏡錄》卷20 - CBETA 中華電子佛典協會
<br>www.cbeta.org/result/normal/T48/2016_020.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