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학도암 마애사리탑: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 각주
자료 추가
9번째 줄:
| 해지 =
| 주소 = [[서울특별시]] [[노원구]] 중계로14다길 89 <br />(중계동, 학도사)
| 시대 = 조선시대① 1819년(순조 19)<br />② 조선후기
| 소유 = 학도암
| 참고 = ① 좌측 : 높이 147, 너비 56 <br /> ② 우측 : 높이 128, 너비 54
| 참고 =
| 면적 =
| 수량 = 1건2점
28번째 줄:
}}
 
'''서울 학도암 마애사리탑'''(-- 鶴到庵 磨崖舍利塔)은 [[서울특별시]] [[노원구]] 학도암에 있는 [[조선시대]]의 마애사리탑이다. 2015년 8월 20일 [[서울특별시의 문화재자료]] 제64호로 지정되었다.<ref>{{뉴스 인용|저자=홍성희|제목=19세기 초 학도암 마애 사리탑 서울시 문화재 지정|url=http://news.kbs.co.kr/news/view.do?ncd=3133129|날짜=2013-6-7|확인날짜=2018-05-14|뉴스=KBS 뉴스}}</ref><ref name="고시">[http://www2.seoul.go.kr/snews/data/CN_MST/2015-%C1%A63307%C8%A3-pdf.pdf#page=15&view=FitV&scrollbar=1&toolbar=1&statusbar=1&messages=1&navpanes=1 서울특별시고시 제2015–241호], 《서울특별시 문화재자료 지정 고시》, 서울특별시장, 서울시보 제3307호, 14-18면, 2015-08-20</ref>
 
== 특징지정사유 ==
<학도암 마애사리탑> 2기는 학도암 경내 진입로에 위치한 대형 암벽에 나란히 조성되어 있는데 좌측에 “가경이십사년기묘십월(嘉慶二十四年己卯十月) 청신녀월영영주지탑(淸信女月影靈珠之塔)”, 우측에 “환□당선사취근지탑(幻□堂禪師就根之塔)”이라고 새겨져 있어 여성 재가자(在家者)인 월영(月影)과 환□당(幻□堂) 취근(就根) 스님의 사리를 봉안하기 위해 조성하였음을 알 수 있다.
 
두 마애사리탑은 치석(治石) 수법이나 양식으로 보아 비슷한 시기에 조성된 것으로, 현존하는 마애사리탑 중에서 규모가 크며 석비 형태로서 상부에 봉안되었던 유물은 남아있지 않지만 사각형 감실이 잘 보존되어 마애사리탑의 용도와 성격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학도암 마애사리탑은 명문을 통하여 주인공과 제작연대를 알 수 있는 작품으로, 19세기 초반 마애사리탑 연구에 기준작이 될 수 있다.<ref name="고시" />
 
== 참고조사 자료보고서 ==
학도암 마애사리탑은 경내 진입로에 위치한 대형 암벽에 2기가 나란히 조성되어 있다(도1).
* {{문화재청 문화재|31,00640000,11|학도암 마애사리탑}}
 
향좌측에 새겨진 마애사리탑은 표면에 “청신녀월영영주지탑(淸信女月影靈珠之塔)”이라고 새겨져 있어 여성 재가자(在家者)인 월영(影靈)의 사리를 봉안한 조형물임을 알 수 있다(도2). 마애사리탑 하부에 낮은 받침대를 마련하고 그 위에 석비(石碑) 형태로 마애사리탑을 조성하였다. 상부에 사각형 구멍(21㎝×16㎝, 깊이 10㎝)을 마련하여 유골이나 사리 등 봉안물을 넣었으며, 그 아래 가운데 세로로 주인공을 알 수 있도록 명문을 오목새김(음각)으로 새겨놓았다. 그리고 우측에 “가경이십사년기묘십월(嘉慶二十四年己卯十月)”이라 기록되어 1819년(순조 19)에 조성된 것임을 알 수 있다.
 
향우측의 마애사리탑은 표면에 “환□당선사취근지탑(幻□堂禪師就根之塔)”이라고 새겨져 있어 ‘환□당’‘취근(就根)’스님의 사리를 봉안하기 위해 조성한 조형물임을 알 수 있다(도3). 취근은 학도암에서 오랫동안 머물렀거나 인연이 깊었던 스님일 것으로 추정된다. 이 마애사리탑은 하부에 낮은 받침대를 마련하고 그 위에 석비 형태를 오목새김으로 마애사리탑을 조성하였다. 상부에 사각형 구멍(20㎝×15㎝, 깊이 18㎝)을 마련하였다. 그 아래로 주인공을 알 수 있도록 명문을 새겨놓았다. 치석(治石) 수법이나 양식으로 보아 청신녀 월영의 마애사리탑과 비슷한 시기에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조성연대가 새겨진 마애사리탑은 1783년 경기 [[안양 염불암 현진당부도]](現眞堂浮屠), 1796년 추정 경기 [[안양 불성사 각원선사마애부도]](覺圓禪師磨崖浮屠), 1852년 경북 [[청도 신둔사 마애현수이씨사리탑]](磨崖賢修李氏舍利塔, 도4), 1873년 서울 강북 [[도선사 김상궁마애사리탑]](金尙宮磨崖舍利塔), 1890년 [[안양 염불암 여산송씨마애부도]](礪山宋氏磨崖浮屠) 등이 있고, 조성연대가 불분명한 것으로는 19세기 [[안양 반월암 서영당마애부도]](西影堂磨崖浮屠), 20세기 서울 종로 [[안양암 춘학대화상마애부도]](春鶴大和尙磨崖浮屠), 경북 [[상주 북장사 경암당부도]](景巖堂浮屠, 도5) 등이 남아 있다(참고1). 이들 마애사리탑은 스님이나 신도가 죽은 후 조성하는 추모적인 성격의 조형물이다.
 
학도암 마애사리탑은 명문을 통하여 주인공을 알 수 있고, 특히 향좌측의 청신녀월영영주지탑은 조성 시기도 구체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현존하는 마애사리탑 중에서 규모가 크고, 석비 형태를 따르고 있으며, 상부에 봉안되었던 유물은 남아있지 않지만 사각형 감실이 잘 보존되어 마애사리탑의 용도와 성격을 분명하게 알 수 있다. 한편 이 마애사리탑은 학도암이 19세기 초반에도 지속적으로 법등(法燈)이 유지되고 있었음을 알려주며, 학도암의 연혁이나 위상과 관련하여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학도암 마애사리탑(2점)은 제작연대와 주인공을 알 수 있는 작품으로 19세기 초반 마애사리탑 연구에 기준작이 될 수 있는 유물인 바 서울특별시 문화재자료로 지정하여 보존하고자 한다.<ref name="고시" />
 
== 각주 ==
{{각주}}
 
|== 참고 자료 = =
* {{문화재청 문화재|31,00640000,11|학도암 마애사리탑}}
 
[[분류:서울특별시의 문화재자료|학도암 마애사리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