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스카이: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Metrobot (토론 | 기여)
잔글 ISBN 매직 링크 제거
86번째 줄:
* [[1882년]]: 조선에서 임오군란이 일어나고, 이에 조선이 친청 세력인 [[명성황후]]의 주도하에 [[청나라]]에 구원 요청함. 젊은 위안스카이는 우창칭과 함께 조선에 들어와서, 이홍장의 천거로 한성 방위 책임자로 머물었음. 그는 청을 대표하는 외교수장은 아니었으며, 떠나기 전까지도 수장이 아닌 외교를 담당하던 북양대신의 파견원의 신분이었음.<ref>
{{서적 인용 |url=http://www.ypbooks.co.kr/ypbooks/WebHome/specdm/specdm.jsp?p_isbn=1275000085
|저자=허우이저 |편집자=장지용 역 |출판사=지호(도) |제목="원세개" |id={{ISBN |89-86270-78-1}} |인용문=
원세개는 청을 대표하는 외교수장이 아니라 외교를 담당하던 북양대신의 조선 파견원에 불과한 직책이었다. 따라서 총리교섭통상사의라는 묘한 명칭으로 조선에 부임하였다. 하지만 그는 자신을 조선의 “총독”처럼 여기고 조선을 쥐고 흔들었던 인물이다. [[갑신정변]] 진압으로 기세가 오른 위안스카이는 아예 “상국”의 “총독”으로 조선을 마음대로 요리하려 한 것이다. 일본은 여기에 “조선이 독립국”임을 강조하려 한 것은 조선을 위해서가 아니라 우선 청의 간섭을 배제하려 한 것이다. 일본은 [[청일 전쟁]]에서 승리한 다음 조선을 식민지화하는 정책을 착착 실행했다. 조선은 청의 위안스카이라는 고리가 끊기자 일본이라는 수갑을 차게 되는 것이다. 이 무렵, 그의 오만무도함은 수많은 유명한 사례를 남겼다.}}</ref>
* 그는 조선의 군주를 배알하는 자리에서도 기립하지 않을 것이며, 고종을 ‘혼군(昏君)’이라 칭하면서 폐위를 주장하고 나선다. 조선 정부관료 스무명을 일거에 자신의 측근으로 갈아치웠다. 주조선 미국공사 포크는 이를 ‘무혈 정변’이라고 이름했다.<ref>[http://news.chosun.com/svc/content_view/content_view.html?contid=2004032570383 위안스카이 ‘골수까지 병든 조선’ 의 최고 권력자] 조선일보 2004.03.25</ref>
102번째 줄:
** [[쑨원]](孫文)과 막후 협약. 쑨원의 혁명당은 황제 퇴위와 공화정 체제를 요구. 위안스카이는 새로운 정부의 [[중화민국의 총통|대총통]]으로 선출된다는 조건을 내 놓음. 위안스카이는 혁명당의 이름을 빌어서 청나라 마지막 황제인 선통제(宣統帝) [[푸이]](溥儀)를 퇴위시킴.
* [[1913년]]: 중화민국 대총통 취임. [[중국 국민당]] 및 국회 해산.
* [[1914년]]: 임시약법(臨時約法) 폐기. 국무원 해산. 북양군 [[단기서]] 등의 군권 박탈. 임시약법의 폐지로 봉건독재적 대총통 권력을 가지게 됨. 유럽에서 [[제1차 세계 대전]] 이 발발하자 [[영일 동맹|영·일 동맹]]을 근거로 연합군 측에 가담한 일본은 중국 [[산둥 반도]]의 독일 조차지를 점령했다. 그리고 1915년 1월 만주와 산동반도 등에 대한 일본의 이권을 반영구화하고, [[남만주]]와 [[내몽골]] 일부를 일본에 조차하는 것을 요지로 하는 등, 일본의 요구를 대부분 수용한 [[21개조 요구]]조건을 위안스카이 정부에 제시했다. 일본은 1915년 5월 7일 위안스카이 정부에 최후통첩을 발하였으며, 위안스카이 정부는 5월 9일 이를 수락할 수 밖에 없었다.<ref>백범흠《중국:외교관의 눈으로 보다》늘품플러스(2010) 411쪽 {{ISBN |978-89-93324-15-0}}</ref> (→[[21개조 요구]]·[[일본-중국 관계]])이 21개조에 대한 처리는 중국의 민중이 위안스카이에게서 이탈하는 계기가 된다.
* [[1915년]] 12월: [[참정원]]을 조정하여 [[중화제국]] 대황제로 칭제('''홍헌제'''; 洪憲帝). [[중화민국]] 연호를 폐지하고 중화제국으로 바꿈. 이에 윈난, 구이저우, 광시 및 광둥 저장 산시(陝西) 후난 쓰촨 등의 지방군이 봉기하고, 중국의 일반 시민은 물론, 자신의 지지기반이었던 북양군의 일부 계파를 포함한 내외적인 반격과 반발을 받음.
* [[1916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