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시: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13 개의 출처 구조, 6 개의 링크를 깨진 것으로 표시 #IABot (v2.0beta2) (Tebula)
79번째 줄:
 
== 지리 ==
[[전라남도]]의 남서단 [[무안반도]] 남서쪽에 자리하며 1004개의 섬으로 이뤄진 [[신안군]]을 바로 앞에 두고 있다. 북동쪽으로는 [[무안군]], 남쪽으로는 [[영암군]]을 바라본다. 영암군을 사이에 두고 [[영산강]]이 흘러가며 지금은 하굿둑이 설치되어 있다. 구도심 중심부에는 해발 228m인 [[유달산]], 동쪽에는 [[입암산]](121m),북쪽에는 [[양을산]](156m)·[[대박산]](156m)·[[지적봉]](189m) 등으로 둘러 있고 남쪽은 영산강 하구에 면해 있다. 목포의 최고 자랑 중 하나인 [[유달산]]은 [[노령산맥]]의 끝자리에 해당하며 남도의 [[개골산]]이라는 별칭을 지닌 기암괴석의 산으로 [[1351년]] [[고려 충정왕]] 3년에 [[봉수대]]가 설치된 곳이기도 하다. 임진왜란 때 군량미가 쌓여 있는 것처럼 위장했다는 일명 [[노적봉 (목포시)|노적봉]]이 있으며, [[영산강]]· [[삼학도]]와 함께 이곳 사람들의 시정(詩情)을 돋우는 아름다운 경관을 갖추고 있다. 도심지의 중심에 산이 있다보니 시내를 조금만 벗어나면 언덕지대가 나타나기도 한다. 영산강 하구 주변에는 13개의 섬이 있기 때문에 아름다운 경치를 펼칠 뿐 아니라 해일이 생긴다 해도 자연 방파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하여 목포를 천혜의 양항으로 기능하게 하였고 이는 목포발전의 원동력이 되었다.<ref>삼성출판사 편집부 2007. 《대한민국 웬만한곳 다있다》</ref><ref name= '목포지리'>[http://www.mokpo.go.kr/open_content/administrative/organization/location/ 목포시청 홈페이지, 목포소개] {{웨이백|url=http://www.mokpo.go.kr/open_content/administrative/organization/location/ |date=20131029195156 }},
위치/자연환경</ref>
 
86번째 줄:
총 면적 50.08km<sup>2</sup>이며 일반대지가 21.7%, 전답이 24.5%, 임야가 25.7%, 기타 28.1%를 차지한다.
 
한편, 집중 호우로 큰 홍수가 났을 때에는 바닷물이 [[영산포]]까지 침범하였으나 [[영산강하굿둑]] 설치 후 영산포지역 피해는 해소된 반면, 목포권역의 수위가 높아져 피해를 늘렸다. 특히 [[2004년]] [[7월 4일]]에 시작된 7호 [[2004년 태풍#제7호 태풍 민들레|태풍 민들레]]는 목포에 많은 피해를 입혔다. 오늘날까지 [[영산강하굿둑]] 개선사업에는 정부와 학자 및 시민단체들 사이에서는 많은 논란이 끊이지 않은 상태이다.<ref>[http://media.daum.net/society/others/view.html?cateid=1067&newsid=20100330112225546&p=ktv 영산강 하구둑 홍수 방지 구조개선]</ref><ref>[{{웹 인용 |url=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0/05/03/0200000000AKR20100503073900054.HTML?did=1179m |제목=영산강 하구둑 개선사업 환경영향평가 '부실'] |확인날짜=2011년 05월 04일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20402001639/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0/05/03/0200000000AKR20100503073900054.HTML?did=1179m |보존날짜=2012년 04월 02일 |깨진링크=예 }}</ref> 2010년부터 영산강 하구둑 배수갑문 확장 공사가 진행 중이다.
 
=== 기후 ===
93번째 줄:
2006년 기준 강수가 1년중 121일, 흐림이 98일로 강수일이 많은 편이다. 맑은 날은 66일에 해당하지만 최근 [[대한민국 기상청]] 자료에 따르면 목포지역은 전국에서 가장 일조량이 높은 곳으로 인근 [[신안군]]과 함께 새로운 태양광발전 중심지로 떠오르고 있다.<ref>[http://www.kbizweek.com/cp/view.asp?vol_no=601&art_no=29&sec_cd=1702 한경비즈니스, 2007-06-11 전국은 지금 ‘태양의 도시’ 열풍]</ref> [[황사]]의 경우 평균 10일로서 서울, 인천의 11일과 비슷한 편이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2537514 전남, 수도권비해 황사발생 적고 농도 낮다] 2009-02-21</ref>
 
목포는 [[온난 습윤 기후]]([[쾨펜의 기후 구분]] ''Cfa'')에 속한다. 하계에는 해양성, 동계에는 대륙동안형으로 두 기후가 중첩되어 나타나기에 기상 관측에 있어 의의가 높은 지역에 해당한다. 눈이 내리는 날은 년간 37일, 영하인 날은 60일이며 겨울철에는 돌풍이나 기습적인 눈보라가 자주 발생한다.<ref>[http://mokpo.kma.go.kr/sfc/climate_01_02.jsp 목포기상대 목포지방 기후 특성]{{깨진 링크|url=http://mokpo.kma.go.kr/sfc/climate_01_02.jsp }}</ref> 이는 대륙성고기압 확장시 대한민국 서해안으로 기류가 타고 내려와 바로 만나는 지역에 목포가 자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2004년]] [[7월 4일]]에 시작된 7호 [[2004년 태풍#제7호 태풍 민들레|태풍 민들레]]로 시작된 집중호우는 목포에 시간 당 64mm라는 100년 만의 기록적인 호우로 큰 피해를 입혔다.
 
211번째 줄:
[[2006년]] 지자체선거에서 2선에 성공해 정종득 시장은 37대 목포시장으로서 역임했었다. 2007년 5회 풀뿌리 경영 대상에서 대상을 수상<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1791443 목포시, '풀뿌리 경영 대상' 수상] 연합뉴스 2007-10-20</ref> 하는 한편 2009년 초에는 한국관광클럽이 제정한 '제1회 한국관광대상'에 [[경북]] [[울릉군]]과 함께 선정되어 대상을 수상했다.<ref>[http://www.asiatoday.co.kr/news/view.asp?seq=197584 ‘제1회 한국관광대상’에 목포시-울릉군] 아시아투데이 2009-01-07</ref>
 
두 번의 임기 동안 계속적으로 실시된 원도심 개발사업에 대해서는 인근 정비와 지원이 진전된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상권 활설화로는 이어지지 못한데다 영업지원금 지원에 대한 세입자와 건물주간 마찰이 생기는 등 잡음이 끊이지 않아 목포시의 행정 방안에 대해 태도 변화와 인구 유인 시스템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이 필요하다는 지역언론의 지적이 일고 있다.<ref>[http://www.mokposm.com/ "목포시민신문 원도심 활성화 실질적 지원책 시급"] {{웨이백|url=http://www.mokposm.com/ |date=20110312025535 }} 목포시민신문 2008-05-26</ref><ref>[http://www.mokposm.com/ "목포시민신문 원도심사업 보상업무 주먹구구"] {{웨이백|url=http://www.mokposm.com/ |date=20110312025535 }} 2007-03-14</ref>
 
=== 39대 ===
217번째 줄:
.<ref>[http://www.dailian.co.kr/news/n_view.html?id=106363&sc=naver&kind=menu_code&keys=25 "용감무쌍(?)한 목포시 ·도 의회 의원들"] 데일리안 2008-03-27</ref><ref>[http://cnbnews.com/category/read.html?bcode=35910 "4.9목포총선이 남긴 부끄러운 자화상-프롤로그(1)"] CNB뉴스 2008-04-15</ref>
 
2009년 목포권 시민단체들은 목포시의 업무추진비 투명성 제고를 위해 시민들에게 공개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법원이 2년 만에 시민단체의 손을 들어주면서 정보공개 심의위원회가 [[목포시장]]이 임명한 위원들로만 구성되어 있다는 것에 대해 책임 있는 보고를 하라는 비판을 받았다.<ref>[http://news.cnbnews.com/category/read.html?bcode=65231 "법원, 목포시장 업무추진비 지출증빙자료 공개 판결 법원, 목포시장 업무추진비 지출증빙자료 공개 판결"] {{웨이백|url=http://news.cnbnews.com/category/read.html?bcode=65231 |date=20110823050407 }} CNB뉴스 2009-01-11</ref> 이어 2011년에는 시장이 직접 극심한 교통 체증에 대한 민원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공무원과의 비상 연락조차 확보되지 않아 공직 기강 해이에 대한 질타가 이어진 바 있으며<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5309513 연락 두절..목포시 간부 공무원들 긴장 풀렸나] 연합뉴스 2011-10-10</ref> 목포시가 시 화장장 입찰을 계획하는 가운데 화장장 입찰 선정에 대해 측근의 업체가 선정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었다.<ref>[http://news.hankooki.com/lpage/society/201111/h2011110821363074990.htm 목포시화장장 위탁업체 선정 논란] 한국일보 2011-11-08</ref>
 
2014년 6월 4일 지방선거에서 전통적인 야당의 텃밭인 목포시장 자리에 최초로 무소속 후보인 [[박홍률]] 후보가 당선되었다.<ref>[http://www.anewsa.com/detail.php?number=668068&thread=09r02 목포시장 무소속 박홍률 당선, 이변 연출]</ref> 이는 목포시 유권자 중 10만 3218명이 투표에 참여한 결과, 3만 5951표를 얻어 3만 1532표를 얻은 이상열 새정치민주연합 후보를 4419표차로 누르고 당선되었다.
560번째 줄:
 
=== 향토 기업 ===
목포에 기반을 둔 향토 기업으로는 [[보해양조주식회사]], 행남자기, 조선내화, 정우개발 등이 있다. 보해양조는 1950년 창립된 이후 1966년 보해산업주식회사로 출범해 [[호남]]을 대표하는 [[소주]] 회사로 성장했다. 대표 소주인 잎새주는 전국 최초의 단풍발효액 추출소주이며 2001년 500만불 수출탑을 수상했다. [[일본]] [[아사히 맥주 주식회사]]와 합작으로 개발한 소주가 일본으로 수출되고 있다. 보해복분자주는 대한민국 주류업계 최초로 [[미국]] 시장에 진출하는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ref>[http://www.bohae.co.kr/main.php?PG=A010204 보해양조 연혁]{{깨진 링크|url=http://www.bohae.co.kr/main.php?PG=A010204 }}</ref><ref>[http://news.mk.co.kr/outside/view.php?year=2008&no=758689 "보해 복분자주, `럭비공 와인` 애칭으로 美서 호평"] 매일경제 2008-12-15</ref>
 
또다른 향토 사업자로는 [[행남자기]]가 있다. [[1942년]] 5월 설립되어 본사는 목포에 두고 마케팅과 디자인을 총괄하는 서울사무소와 공장인 여주사무소가 있다. 1953년 커피잔세트를 국내 최초로 개발한 행남사는 최근 들어 [[중화인민공화국]] 시장공략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2008년 200만 불 이상을 수출해 현지 바이어들의 관심을 모았다.<ref>[{{웹 인용 |url=http://www.haengnam.co.kr/newkoreas/company_history.htm |제목=행남자기 연혁] |확인날짜=2011년 04월 16일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41216045904/http://www.haengnam.co.kr/newkoreas/company_history.htm |보존날짜=2004년 12월 16일 |깨진링크=예 }}</ref><ref>[http://economy.hankooki.com/lpage/industry/200810/e2008102816540347730.htm 행남자기 "2009년 中수출 2배 확대"] {{웨이백|url=http://economy.hankooki.com/lpage/industry/200810/e2008102816540347730.htm |date=20111004072607 }} 한국일보 2008-10-28</ref> 공장 이전이 가시화되면서 공장 이전이 거론되었으나 목포시 상동에서 연산동 부지로 이전하면서 시외로 나가는 사태는 없어졌다.<ref>[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669755 행남자기, 40년 만에 목포시 연산동으로 이사] 서지희 기자, 2012-09-26, 이투데이</ref>
 
==== 저축은행으로 인한 지역 경제 위기 ====
609번째 줄:
 
[[파일:Korail Honam Line Mokpo Station.jpg|thumb|220px|목포역]]
[[목포역]]은 [[1913년]] [[5월 15일]] [[호남선]] 목포역 - [[함평역]] 간 운행이 시작되면서 보통역으로 출범했다. [[호남선]]의 종착역이자 수탈의 아픔을 지닌 역으로서 현재에는 연간 120만명의 여객 수송을 담당하며 호남권 물류를 담당하고 있다.<ref>[{{웹 인용 |url=http://www.daos.net/railway/info.htm?code=180 |제목=다오스 기차역] |확인날짜=2011년 04월 09일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30608233704/http://www.daos.net/railway/info.htm?code=180 |보존날짜=2003년 06월 08일 |깨진링크=예 }}</ref>
 
호남선의 종착역인 목포역은 시의 구도심에 있으며 여객선터미널과 그리 멀지 않은 거리에 있다. 과거에는 삼학도안까지 석탄을 운반하던 산업철도가 있었지만 지금은 철로만 남아있을 뿐 거의 운행되지 않는다. 삼학도 인입철도로 불리는 이 철도는 1965년 12월 31일 목포역 지선으로 삼학도 부두까지 연결됐던 철도이지만 주민의 가게 및 가옥 바로 앞을 지나다녀서 사고 피해에 노출돼 있는 지역이다. 이에 따라 삼학도 정비 사업과 더불어 2011년 해당 철로를 없애기로 했다.<ref>[{{웹 인용 |url=http://www.mokposm.com/ |제목=2008-06-04 "목포시민신문 삼학도 인입 철도 2011년 철거 될듯"] |확인날짜=2011-04-09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10312025535/http://www.mokposm.com/ |보존날짜=2011-03-12 |깨진링크=예 }}</ref> KTX가 운행하기 이전인 2004년까지는 철도가 목포역에서 연동육교를 거쳐 시내를 관통했다. 그러나 2003년 12월 호남선 전 구간 복선전철화와 함께 선로정비가 이뤄지면서 시내를 관통하던 철도는 전부 사라지고 석현동을 지나는 우회 지하화 구간을 통해 기존 목포역으로 향하게 됐다.
 
2004년 4월 1일 KTX가 개통되고 [[호남고속철도]] 및 [[호남선]] 열차의 시종착지가 되면서 서울에서 목포까지 3시간 이내로 접근이 가능해졌다. 향후 [[2020년대]]까지 호남고속철도가 전 구간 완성되면 서울에서 목포까지 1시간 40여분이 소요될 예정이다. 다만 [[임성리역]]으로 시종착역이 옮겨가게 돼 목포역에는 일부 호남선 열차만이 정차하게 된다. 기본 계획안에 따르면 호남고속철도 계획 노선은 경부선 분기점인 [[오송역|오송]]을 출발해 익산 ∼ 광주송정 ∼ 목포를 연결하는 신설 노선으로 총길이는 230.9km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0&aid=0000329541 "오송∼목포 호남고속철 내년 착공"]</ref>
625번째 줄:
 
==== 고속도로 ====
서울과 목포로 연결된 [[서해안고속도로]]가 있어 약 4시간 정도 소요된다. 2001년 12월 21일에 서해안고속도로 전 구간이 개통되면서, 이는 기존의 개발축에 속해지 않아 경부축에 비해 개발상태가 낙후되었던 것을 혁신하기 위함으로 과거 5 ~ 6시간 남짓 걸리던 소요시간이 현저히 줄어들었다. 그리고 목포와 부산을 연결하는 [[남해고속도로]]가 있어 약 3시간 정도 소요된다. 부산에서 순천까지 개통되었지만 2012년 4월 27일에 순천에서 목포까지 전 구간이 개통되어 목포와 부산이 가까워졌다. 또한 목포와 광주를 빠르게 연결해주는 [[무안광주고속도로]]는 2007년 11월 8일 단계적으로 개통되어 [[무안국제공항]]과 광주가 연결돼 인근 목포권 승객들이 공항으로 향할 수 있는 도로까지 정비됐다.<ref>[http://www.ex.co.kr/jsp/CMS_DATA/html/20050912200120.jsp 한국도로공사 서해안고속도로 설명]{{깨진 링크|url=http://www.ex.co.kr/jsp/CMS_DATA/html/20050912200120.jsp }}</ref><ref>[http://www.ex.co.kr/jsp/CMS_DATA/html/20050912195802.jsp 88고속도로/무안광주고속도로]{{깨진 링크|url=http://www.ex.co.kr/jsp/CMS_DATA/html/20050912195802.jsp }}</ref>
 
{| border="1" cellpadding="5" style="border: 1px #aaa solid; border-collapse: collapse;"
692번째 줄:
인근에 있는 [[난전시관]]과 [[생태전시관]]은 남부지방에서 자생하는 특이 식물을 보존하여 선보이고 있는 곳으로 함께 들를 수 있는 명소다.
 
시내 일대에서 볼 수 있는 명소는 빛의 향연이다. 목포시는 빛의 도시로 관광객을 모으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목포극장 앞길과 역전파출소 앞으로 길게 서있는 루미나리에는 밤마다 빛을 뽐낸다. 유달산에도 야간조명이 켜져 야경을 만드는 데 일조하고 있다.<ref>[http://www.kukinews.com/news2/article/view.asp?page=1&gCode=all&arcid=0920445789&cp=nv 국민일보 2007-02-03 "여행메모- 목포 유달산"]{{깨진 링크|url=http://www.kukinews.com/news2/article/view.asp?page=1&gCode=all&arcid=0920445789&cp=nv }}</ref>
근처에 있는 [[이훈동정원]]은 좋은 볼거리다. 일제시대 때 지어져 조선내화의 사장이었던 이훈동의 소유로 이어져온 이곳은 호남 제일의 정원이며 일본식 석등을 비롯한 일제 시대의 건축양식을 잘 보여준다. 개인 소유의 집이라서 탁 트인 광경을 보기는 어려우나 [[문화재]]로 등록되면서 개방하고 있다.<ref>[http://www.mokpombc.co.kr/bbs/board.php?bo_table=news&wr_id=53241&sca=%B4%BA%BD%BA%C5%F5%B5%A5%C0%CC&page=1887 2004-04-23 '목포는 항구다'관광 연계효과 미흡]</ref>
 
775번째 줄:
용당동 용당로에 자리한 [[목포유달경기장]]은 [[1987년]] 9월 목포실내수영장과 함께 개관하였으며 총 부지 면적 65,964m<sup>2</sup>, 천연잔디구장(69×97m), 8레인의 우레탄 트랙으로 구성되어 있다. 경기장 뒤편에는 정구장과 테니스장이 있어 지역 스포츠 동호회의 활동이 잦다. 경기장 1층에는 핸드볼, 태권도 등 다양한 종목 협의회가 들어서 있다. 유달경기장과 실내체육관을 바탕으로 목포시는 2004년부터 시 체육회와 함께 동계전지훈련 유치를 위해 뛰어왔다. 홍보 결과에 힘입어 2004년 12월에서 이듬해 2월에까지 축구, 육상, 유도, 경정 등 127개팀 5,912명을 유치했고<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8&aid=0000258574 한국일보 2004-11-23 "스포츠 동계훈련 목포로 오세요"]</ref> 앞으로 그 규모는 더욱 커질 전망이다. 2005년부터 투척 종목만을 다루는 목포전국육상대회가 시작되면서 선수들의 발길이 더욱 늘고 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98&aid=0000108469& 2006-02-03 2006 목포 전국육상경기대회 개최 ]</ref> 2009년 8월 23일부터 한중일 주니어 기능경기대회가 목포에서 열리게 됨에 따라 시설 정비가 이뤄져<ref>[http://mokpombc.co.kr/bbs/board.php?bo_table=news&wr_id=63609&sca=%B4%BA%BD%BA%C5%F5%B5%A5%C0%CC&spt=-61129&page=7 목포MBC 2008-11-28 "목포 유달경기장 리모델링 추진"]</ref> 트랙을 비롯한 내부 시설 증강 및 외벽 철거가 이뤄졌다.
* [[목포문화예술회관]] (이로동)
두 동으로 나뉘어 있는 문화예술회관은 공연동과 전시동으로 구분된다. 공연장 1, 2층 수용면적이 약 700여 명<ref>[{{웹 인용 |url=http://www2.mokpo.go.kr/home/www/life/culture/art/ |제목=목포시 문화예술회관] |확인날짜=2011년 04월 10일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81018104255/http://www2.mokpo.go.kr/home/www/life/culture/art/ |보존날짜=2008년 10월 18일 |깨진링크=예 }}</ref> 에 불과해 규모가 큰 것은 아니다. 전시동에서는 다양한 분야의 전시회를 개최하며 지역 예술인들의 무대로 자리하고 있다.
* [[목포시민문화체육센터]] (옥암동)
신도심에 체육시설이 들어설 공간이 없다는 지적에 따라 건립한 [[목포시민문화체육센터]]는 2003년 4월 준공하고도 막대한 운영비 탓에 전라남도가 운영을 하지 않고 있었다. 이를 목포시가 먼저 인계해 2003년 12월 개관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2&aid=0000011037 2003-10-24 세계일보 "목포체육센터 12월 개관"]</ref> 크게 대·소·야외공연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공연장의 경우 1,294명을 수용할 수 있는 규모다.<ref>[{{웹 인용 |url=http://www2.mokpo.go.kr/home/www/life/culture/citicult/ |제목=목포시민문화체육센터] |확인날짜=2011년 04월 10일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81019014532/http://www2.mokpo.go.kr/home/www/life/culture/citicult/ |보존날짜=2008년 10월 19일 |깨진링크=예 }}</ref>
* 실내체육관 (상동)
* 실내수영장 (상동)
798번째 줄:
 
=== 도서관 ===
목포에는 4곳의 도서관이 있다. [[목포시립도서관]]은 [[1974년]] 구 일본영사관 건물에 문을 열었다 [[1989년]] 현재의 용당2동 자리로 옮겨 현재 약 23만 권의 장서를 보유하고 있으며 지하 1층 지상 4층에 1,636석의 열람석을 갖추고 있다. 2003년 민간 위탁업체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파행운영이라는 비난 여론이 끊이지 않아 도서관 운영이 부패로 얼룩질 수 있다고 주장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이에 따라 시는 자체심사위원회를 통해 목포문화원을 최종 위탁기관으로 선정한 바 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0061156 2003-01-20 "목포시립도서관 민간위탁에 목포문화원"]</ref><ref>[{{웹 인용 |url=http://www.mokpocitylib.or.kr/ |제목=목포시립도서관] |확인날짜=2011년 04월 10일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10705075835/http://www.mokpocitylib.or.kr/ |보존날짜=2011년 07월 05일 |깨진링크=예 }}</ref> 1982년 교육청의 부속기관으로 설립된 [[목포공공도서관]]은 지하1층-지상4층 규모로써 자체기관으로 독립해 현재 북항 인근의 산정동에 있으며 총 수용인원은 1,460명이다.<ref>[http://www.mokpolib.kr/ 목포공공도서관]</ref> 그리고, 2010년 목포석현초등학교 옆에 신축하여 개관한 목포어린이도서관은 지상 3층 규모에 총 29,090권의 장서를 보유하고 있다.<ref>[http://www.mokpochildlib.or.kr/main/ 목포어린이도서관]</ref> 또한 2012년에는 정확히 목포시소재의 도서관이 아니지만 같은 시가지 및 생활권을 형성하는 [[남악신도시]]의 남악지구에 지하1층 지상 3층 규모의 [[전라남도립도서관]]이 개관하였다.
 
* [[목포시립도서관]] (용당2동)
808번째 줄:
2007년 현재 목포시 통계연보에 따르면 목포내부의 초등학교는 30개교, 중학교 15, 고등학교 15개교가 있다. 대학교와 대학원이 각각 3곳([[목포대학교]])이 있으며 전문대학은 [[목포과학대학]] 1곳, 특수학교로는 1985년 설립돼 지역 장애인 학생을 전담하고 있는 [[목포인성학교]]가 있다.<ref>[http://www.mpinsung.sc.kr/ 목포인성학교 연혁 및 현황 참조]</ref> 유치원은 총 55곳이 있다. 초등학교의 경우 교원 1인당 학생수가 24명이며 중학교는 19, 고등학교는 13명이다.
 
일제강점기부터 시작된 근대식 교육은 [[유달초등학교]]와 [[북교초등학교]]로 대표되었으며 상당수의 학생이 일본인이었다. 북교초등학교는 구한말 고종 32년 칙령 145호에 의거하여 [[무안읍]]에 있던 향교를 토대로 목포 개항과 함께 개교했다.<ref>[http://www.mokpobukkyo.es.kr/info03.html?mode=info 북교초등학교 연혁]{{깨진 링크|url=http://www.mokpobukkyo.es.kr/info03.html?mode=info }}</ref> 유달초등학교는 1898년 1월 12일 [[목포심상소학교]]로 개교하여 1912년 [[고등소학교]]가 된 뒤 현재까지 오고 있다.
 
구 목포상업고등학교(현 전남제일고)는 1920년 [[목포공립상업학교]]로 설립돼 1920년 개교<ref>[http://www.jeonnamjeil.hs.kr/frame1-5.htm?mode=1 전남제일고등학교 연혁소개]</ref> 했으며 [[김대중]] 전대통령의 모교이다. 1941년 지역 유지이던 [[문재철]]이 문태학원을 설립해 [[문태고등학교]]를 세웠으며 목포고등학교는 1950년 설립된 후 호남의 명문고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
 
[[고등교육]]기관으로는 1946년 설립돼 [[1976년]] 이후 국립으로 승격된 [[목포대학교]]가 있으며<ref>[http://www.mokpo.ac.kr/index.html 목포대학교 대학연혁]</ref> [[2004년]] [[교육인적자원부]]의 [[누리사업]] 대학으로 선정돼 조선, 문화 분야에 연구력을 집중 투입하고 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0083168 뉴시스 2004-09-18 목포대 누리사업 본격 출범]</ref> 2007 국립대학 혁신수준 진단평가에서 [[서울대]], [[전남대]] 등과 함께 최우수 4단계로 평가받기도 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1967088 연합뉴스 2008-02-20 목포대 국립대 혁신 수준 평가서 '최우수' ]</ref> [[1950년]] 개교한 [[목포해양대학교]]는 목포상선고등학교로 인가돼 [[1993년]] 현재 해양 관련 인력을 육성하고 있다.<ref>[http://www.mmu.ac.kr/intro.aspx?part=w3&book=s4&num=12&menuNumber=12 목포해양대학교 연혁]</ref> 1967년 개교한 [[목포가톨릭대학교]]는 성신간호전문대학으로 1979년 개편인가를 받은 후 1999년부터 현재의 학과 체계로 운영되고 있다.<ref>[{{웹 인용 |url=http://www.mcu.ac.kr/esub.php?section=intro&sub=2 |제목=목포가톨릭대학교 연혁] |확인날짜=2011년 05월 01일 |보존url=https://archive.is/20070622163455/http://www.mcu.ac.kr/esub.php?section=intro&sub=2 |보존날짜=2007년 06월 22일 |깨진링크=예 }}</ref> 이외에도 [[한국폴리텍5대학]]이 1996년 목포기능대학으로 출범한 뒤 컴퓨터정보, 조선응용, 조선설비 등의 학과를 두고 있다.<ref>[http://www.kpmp.ac.kr/ 한국폴리텍5대학 참조]</ref>
 
=== 고교평준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