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고기: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Metrobot (토론 | 기여)
잔글 위키데이터와 로컬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링크 조정
8 개의 출처 구조, 0 개의 링크를 깨진 것으로 표시 #IABot (v2.0beta2)
208번째 줄:
대부분의 [[어류]]는 매우 발달된 [[감각 기관]]을 지닌다. 거의 모든 낮에 활동하는 물고기들은 인간에 필적하거나 더 좋은 시각을 지닌다. 또한 많은 물고기들은 특기할만큼 맛과 냄새에 반응하는 [[화학수용기관]]을 지닌다. 그러나 [[귀]]를 갖고는 있어도, 많은 물고기들은 소리를 잘 듣지는 못한다. 대부분의 물고기들은 미세한 물의 흐름과 [[진동]]을 감지하고, 옆의 물고기와 먹이의 움직임을 느끼는 [[측선기관]](영어:lateral line system)을 형성하는 감각 수용기를 지닌다.<ref name="Encarta 99">{{서적 인용| last =Orr | first =James | year =1999 | title =Fish | publisher =Microsoft Encarta 99 | isbn =0811423468}}</ref> [[메기]]나 [[상어]]와 같은 물고기들은 낮은 수준의 전류를 감지하는 기관을 가진다.<ref>Albert, J.S., and W.G.R. Crampton. 2005. Electroreception and electrogenesis. pp. 431–472 in The Physiology of Fishes, 3rd Edition. D.H. Evans and J.B. Claiborne (eds.). CRC Press.</ref> [[전기뱀장어]]같은 다른 [[어류]]는 전류 자체를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고기들은 [[경계표]]를 이용해 방향을 잡으며, 아마도 여러개의 [[경계표]]나 상징들을 기반으로 한 심리적 지도를 사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ref>{{웹 인용 |url url= http://juls.sa.utoronto.ca/Issues/JULS-Vol2Iss1/JULS-Vol2Iss1-Review3.pdf | title = Appropriate maze methodology to study learning in fish | format= PDF | author= Journal of Undergraduate Life Sciences | accessdate = 28 May 2009 | 보존url= https://www.webcitation.org/5hn2YJET6?url=http://juls.sa.utoronto.ca/Issues/JULS-Vol2Iss1/JULS-Vol2Iss1-Review3.pdf | 보존날짜= 2009년 06월 25일 | 깨진링크= 예 }}</ref>
 
==== 통각에 대한 수용력 ====
214번째 줄:
윌리엄 타볼가에 의해 수행된 실험들은 물고기가 [[고통]]을 느끼고 공포에 반응한다는 증거를 보여준다. 예를 들면, 타볼가의 실험에서 [[복어]]는 전기적으로 충격을 받을때나, 계속된 실험후에는 전기봉의 모습을 보기만 해도 꿀꿀거리는 소리를 냈다.<ref>Dunayer, Joan, "Fish: Sensitivity Beyond the Captor's Grasp," The Animals' Agenda, July/August 1991, pp. 12–18</ref>
 
2003년 [[에딘버러]] 대학의 [[스코틀랜드]]의 [[과학자]]들과 로즐린 협회는 [[무지개송어]]의 탐구 행동들은 종종 다른 동물들간의 관계에서 생겨나는 [[고통]]과 연관된다고 결론내렸다. 입술 안에 투여된 [[벌침]]에 있는 [[독]]과[[아세트산]]은 물고기로 하여금 몸을 뒤흔들게 하고, 그들의 입술을 수조벽과 바닥 주변에 문지르게하는 결과를 낳았다.<ref>[{{웹 인용 |url=http://www.buzzle.com/editorials/4-30-2003-39769.asp |제목=Vantressa Brown, “Fish Feel Pain, British Researchers Say,” Agence France-Presse, 1 May 2003] |확인날짜=2009년 10월 14일 |보존url=http://arquivo.pt/wayback/20091014095008/http://www.buzzle.com/editorials/4-30-2003-39769.asp |보존날짜=2009년 10월 14일 |깨진링크=예 }}</ref>
<ref>{{웹 인용|url=http://news.bbc.co.uk/1/hi/sci/tech/2983045.stm|제목=과학자들, 물고기는 고통을 느낀다라고 발표(영어: Fish do feel pain, scientists say) | work=BBC News | date=30 April 2003 | accessdate=4 January 2010}}</ref>
<ref name="grandin183">{{서적 인용 |제목= Animals in Translation|성1= Grandin|이름1= Temple|authorlink= Temple Grandin|성2= Johnson|이름2=Catherine|year= 2005|출판사= Scribner|location= New York, New York|isbn= 0743247698|page= |pages= 183–184|url= }}</ref> [[뉴런]]은 인간의 [[뉴런]]반응양식과 비슷하게 반응한다.<ref name="grandin183" />
 
[[와이오밍]] 대학의 제임스 D. 로즈 교수는 위의 실험이 물고기가 "인지적 자각, 특히 우리 인간과 의미가 있을만큼 비슷하다고 판단할 수 있는 자각"을 갖고 있다는 증거를 제공하지 않았기에 그 연구에 오류가 있다고 주장했다.<ref>[http://www.nal.usda.gov/awic/pubs/Fishwelfare/RoseC.pdf Rose, J.D. 2003. A Critique of the paper: "Do fish have nociceptors: Evidence for the evolution of a vertebrate sensory system"] {{웨이백|url=http://www.nal.usda.gov/awic/pubs/Fishwelfare/RoseC.pdf |date=20091006114528 }}</</ref> 로즈교수는 "[[어류]]의 [[뇌]]는 인간에게 있어서의 "자각"이 없다라고 볼만큼 [[인간]]의 뇌와는 너무 많이 다르기 때문에, 인간의 그것과 비슷해보이는 고통에 대한 반응도 사실은 다른 이유를 가졌다"라고 논쟁한다.<ref>James D. Rose, [http://cotrout.org/do_fish_feel_pain.htm Do Fish Feel Pain?], 2002. Retrieved 2007년 9월 27일.</ref> 그러나 동물학자인 [[템플 그랜딘]]은 [[어류]]는 "다른 종(영어:species)들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다른 [[뇌]]의 구조와 시스템들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대뇌]]의 [[신피질]]이 없이도 [[어류]]는 여전히 자각을 갖는다."라고 논쟁한다.<ref name="grandin183" />
 
[[동물복지옹호론자]]들은 [[낚시질]]로 인해 [[어류]]에게 가해질 수 있는 [[고통]]에 대한 관심과 걱정을 높이고 있다. [[독일]]과 같은 어떤 국가들은 특정 종류의 [[낚시]]를 금지했다. 또한 영국의 [[RSPCA]]는 현재 공식적으로 물고기들에게 잔인한 행동을 한 사람들을 기소중에 있다.<ref>[http://www.timesonline.co.uk/newspaper/0,,176-1037515,00.html Leake, J. “Anglers to Face RSPCA Check,” The Sunday Times – Britain, 14 March 2004]</ref>
281번째 줄:
== 질병들 ==
{{본문|어류의 질병들과 기생충들}}
다른 동물들 처럼 [[어류]] 역시 [[질병]]들과 [[기생충]]들로부터 고통을 겪는다. [[질병]]을 막기위해 [[어류]]들은 다양한 방어체계를 갖고있다. [[표피]]에 의해 보호되는, [[미생물]](영어: microorganism)들을 잡거나 그들의 성장을 [[억제]]하는 [[점액층]](영어: mucus layer)을 비롯한, [[피부]]와 [[비늘]]이 ''평상적''인 방어체계들이다. [[병원균]](영어: pathogen)들이 이러한 방어체계를 뚫고 침투하면, 물고기들은 , 감염된 곳을 향해 [[혈류]]를 증가시킴으로써 [[병원균]]을 상대하기 위한 [[백혈구]]를 전달하는, [[염증]]반응을 시작할 수 있다. 특정한 방어체계는 물고기의 신체에 의해 판별된 특정한 [[병원균]]에 반응한다. 예로, [[면역반응]]이 있다.<ref>{{harvnb|Helfman|Collette|Facey|1997|p=95–96}}</ref> 최근에, [[백신]]이 [[수산양식]](영어: aguaculture)과 관상용 물고기 사육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로는 [[잉어]]에게 발병하는 [[잉어포진 바이러스]]와, 양식된 [[연어]]에서 사용되는 [[절종증]](영어: furunculosis)[[백신]]이 있다.<ref>R. C. Cipriano (2001), Furunculosis And Other Diseases Caused By ''Aeromonas salmonicida''. Fish Disease Leaflet 66.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http://www.lsc.usgs.gov/FHB/leaflets/FHB66.pdf] {{웨이백|url=http://www.lsc.usgs.gov/FHB/leaflets/FHB66.pdf |date=20090507003140 }}</ref><ref>K H Hartman et al. (2004), Koi Herpes Virus (KHV) Disease. Fact Sheet VM-149. University of Florida Institute of Food and Agricultural Sciences.[http://edis.ifas.ufl.edu/pdffiles/VM/VM11300.pdf]</ref>
 
어떤 종들은 외부의 [[기생충]]을 없애기 위해 [[청소어]](영어: cleaner fish)를 사용한다. 이러한 예들중에 가장 유명한 것은 [[인도양]]과 [[태평양]]의 [[산호초]](영어: coral reef)에서 발견되는 ''레보리데스''속(영어: genus)을 청소해주는 [[청줄청소놀래기]]이다. 이러한 작은 [[어류]]는, 다른 [[어류]]들이 모여서, [[청소어]]들의 관심을 끌기위해 특정한 움직임을 보이는, 소위 ''청소지역''을 유지한다.<ref>{{harvnb|Helfman|Collette|Facey|1997|p=380}}</ref> 이러한 청소 행위는, 같은 속의 두 [[시클리드]]들이, 청소를 하는 쪽인 ''에트로플러스 매큘래터스''와 그에 비해 훨씬 큰 ''에트로플러스 수러텐시스''로 나뉘는 흥미로운 예를 포함하는, 몇개의 [[어류]]군(영어: group)에서 관찰되어왔다.<ref>Richard L. Wyman and Jack A. Ward (1972). A Cleaning Symbiosis between the Cichlid Fishes Etroplus maculatus and Etroplus suratensis. I. Description and Possible Evolution. Copeia, Vol. 1972, No. 4, pp.&nbsp;834–838.</ref>
312번째 줄:
<ref>
{{웹 인용
|url = http://www.iucnredlist.org/info/tables/table1
|제목 = Table 1: Numbers of threatened species by major groups of organisms (1996–2004)
|확인일자 = 18 January 2006
|archiveurl = httphttps://web.archive.org/web/20060630054235/http://www.iucnredlist.org/info/tables/table1
|archivedate = 2006년 6월06월 30일
|deadurl =yes}}
|확인날짜 = 2006년 07월 21일
}}
</ref>
포함된 종은 [[대서양대구]](영어: Atlantic Cod),<ref>{{웹 인용|url=http://www.iucnredlist.org/search/details.php/8784/summ|제목=Gadus morhua|확인일자=18 January 2006}}</ref> [[데빌의 구멍 홉피쉬]](영어:Devil's Hole Pupfish),<ref>{{웹 인용|url=http://www.iucnredlist.org/search/details.php/6149/summ|제목=Cyprinodon diabolis|확인일자=18 January 2006}}</ref> [[실러캔스]](영어: coelacanth),<ref>{{웹 인용|url=http://www.iucnredlist.org/search/details.php/11375/summ|제목=Latimeria chalumnae|확인일자=18 January 2006}}</ref> 그리고 [[백상아리]]와 같다.<ref>{{웹 인용|url=http://www.iucnredlist.org/search/details.php/3855/summ|제목=Carcharodon carcharias|확인일자=18 January 2006}}</ref> [[어류]]들이 물 아래에서 살기 때문에, 이들은 육지동물들이나 식물들보다 연구하기가 더 어렵고, [[어류]]의 개체수에 대한 정보들도 보통 부족하다. 그러나 [[민물고기]]들은 상대적으로 적은 용적의 물 안에 살기 때문에, 확실히 위기에 처해있는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면 [[데빌의 구멍 홉피쉬]]는 오직 하나의 3*6(m)의 웅덩이에서만 살고있을 뿐이다.<ref>{{
줄 327 ⟶ 330:
하나의 양식업 붕괴의 잘 연구된 사례는 캘리포니아 해안에서 이루어지는 학명 ''Sadinops sagax caerulues''인 [[태평양 정어리]]의 양식업이다. 이 물고기의 어획량은 1937년도에 나타났던 790,000톤의 최고치로부터 1968년에는 24,000톤으로까지 지속적으로 줄어들었고, 그 해를 마지막으로 더 이상 경제적으로 실용적이지 못하게 되었다.<ref>{{harvnb|Helfman|Collette|Facey|1997|p=462}}</ref>
 
[[양식학]](영어: fisheries science)과 [[양식업]](영어: fishing industry)사이의 주된 갈등은 두 집단이 집중어획을 위한 양식업의 [[복원력]](영어: resiliency)에 대해 다른 견해를 가졌다는 사실이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bbc.co.uk/1/hi/uk/6112352.stm|제목=UK 'must shield fishing industry'|확인일자=18 January 2006 | work=BBC News | 날짜=3 November 2006}}</ref><ref>{{뉴스 인용|url=http://news.bbc.co.uk/1/hi/world/europe/6197433.stm|제목=EU fish quota deal hammered out|확인일자=18 January 2006 | work=BBC News | 날짜=21 December 2006}}</ref> 다른 한편으로는 과학자들과 [[자원보호론자]](영어: conservationist)들이, 많은 [[스탁]]들이 50년안에 사라질 수 있다고 경고하면서, 긴급한 보호를 위한 압력을 가한다.<ref>{{웹 인용|url=http://www.physorg.com/news81778444.html|제목=Ocean study predicts the collapse of all seafood fisheries by 2050|확인일자=13 January 2006}}</ref><ref>{{웹 인용|url=http://www.panda.org/about_wwf/where_we_work/europe/what_we_do/mediterranean/about/marine/bluefin_tuna/tuna_at_risk/index.cfm|제목=Atlantic bluefin tuna could soon be commercially extinct|확인일자=18 January 2006|archiveurl = httphttps://web.archive.org/web/20070430205610/http://www.panda.org/about_wwf/where_we_work/europe/what_we_do/mediterranean/about/marine/bluefin_tuna/tuna_at_risk/index.cfm |archivedate = 2007년 4월04월 30일|deadurl=yes예|확인날짜=2006년 01월 18일}}</ref>
 
=== 서식지 파괴 ===
줄 333 ⟶ 336:
 
민물에서 그리고 바다의 생태계에 압박을 주는 중요 요인들은 [[수질오염]], [[댐]]의 건설, 인간이 쓰기위한 물의 제거 그리고 새로운 종들의 소개등을 포함한 서식지의 붕괴이다.<ref>{{
harvnb|Helfman|Collette|Facey|1997|p=463}}</ref> 서식지 붕괴 때문에 위험에 처한 물고기의 하나의 예는 [[철갑상어]](영어: pallid sturgeon)이다. 이 물고기는 북아메리카의 민물에 사는데 인간활동에 의해 피해를 입은 강들에 서식한다.<ref>{{웹 인용|url=http://www.mt.nrcs.usda.gov/news/factsheets/pallidsturgeon.html|제목=Threatened and Endangered Species: Pallid Sturgeon ''Scaphirhynchus'' Fact Sheet|확인일자=18 January 2006|확인날짜=2013년 12월 18일|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51126220804/http://www.mt.nrcs.usda.gov/news/factsheets/pallidsturgeon.html|보존날짜=2005년 11월 26일|깨진링크=예}}</ref>
 
=== 특이종 ===
줄 371 ⟶ 374:
[[파일:Republic of China Flags.jpg|thumb|300px|[[중화민국]]의 1920년대 포스터 안에 나오는 물고기를 타는 사람들 |alt=Drawing of three men sitting on fish at the surface, each wearing a sailor suit and waving a flag]] 물고기들은[[힌두교]], [[자이나교]] 그리고 [[불교]]의 문화에서 뿐만 아니라, [[익투스]]로서 처음 표명되었고, 특별히 사막에서 [[무리를 먹이심]]을 인용함으로써 [[기독교]] 교파들에서도 종교적인 상징성을 가진다. 불교의 [[법 (불교)|다르마]]에서는 물고기는 물안에서 완전한 행동의 자유를 누림으로써 행복을 상징한다. 물고기들은 풍요와 풍부를 상징한다. 동양에서는 이따금씩 이들의 우아한 아름다움과 크기, 그리고 목숨으로 거룩하게 여겨지는 [[잉어]]({{llang|en|carp}})로서 그려지기도 한다.
 
캐나다의 도시명인 [[코퀴틀람]], [[영국 콜럼비아]]는 ''조그만 빨간 물고기''를 뜻하는 해안 [[샐리쉬어군]](영어: Salish)에서 왔다고 보이는 ''kwikwetlem''이란 단어에서부터 유래한다.<ref>Kwikwetlem First Nation: [http://www.kwikwetlem.com/history___culture History & Culture] {{웨이백|url=http://www.kwikwetlem.com/history___culture |date=20080905193405 }} Retrieved on 5 March 2009</ref>
 
== 용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