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적 방법: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Metrobot (토론 | 기여)
잔글 ISBN 매직 링크 제거
1 개의 출처 구조, 1 개의 링크를 깨진 것으로 표시 #IABot (v2.0beta8)
61번째 줄:
[[조지프 니덤]]은 《과학과 중국 문명》에서 편견에 의해 잘못된 관찰이 이루어지는 경우로 오른쪽 그림과 같은 사례를 제시하였다. 즉, [[말 (동물)|말]]이 “날아가듯 달린다”는 편견 때문에 달리는 말이 앞다리와 뒷다리를 모두 땅에서 떼고 정말 나는 것처럼 표현한 그림이 자주 등장하지만, 에드워드 마이브리지의 사진에서처럼 실제로는 같은 자세일 때 달리는 말의 네 다리 가운데 어느 하나는 땅에 닿아 있다.(말의 네 다리가 모두 땅에서 떨어질 때는 오히려 모든 다리가 안쪽을 향할 때이다)<ref>{{harvnb|Needham|Wang|1954}} p.166 shows how the 'flying gallop' image propagated from China to the West.</ref>
 
[[루트비그 플렉]]은 이러한 잘못된 인지가 인간이 갖는 [[자기 실현적 예언]] 심리 때문이라 설명한다. 즉, 인간은 기존에 갖고 있는 믿음 때문에 관찰된 사실을 혼동하거나 잘못 해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가설의 수립과 실험에도 반영될 수 있다.<ref>The Genesis and Development of a Scientific Fact, (edited by T.J. Trenn and R.K. Merton, foreword by Thomas Kuh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9.</ref> [[스티븐 제이 굴드]]는 《인간에 대한 오해》에서 인종적 편견 때문에 뇌의 용량 측정과 같은 실험에서 잘못된 가설과 실험이 진행된 사례를 제시하고 있다.<ref>김동광 역, 《인간에 대한 오해》, 사회평론, 2003, {{ISBN|89-5602-352-2}}</ref> 이 때문에,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실험]]은 [[실험군과 대조군]]에 대한 조건 통제를 명확히 하여 편견의 개입을 차단하여야 하며, [[과학계]]의 다른 연구자들이 이를 검증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필트다운 인]] 조작 사례는 실험에 대한 다른 연구자의 접근을 통제할 경우 과학적 사기가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이다.<ref>[http://www.sciencetimes.co.kr/article.do?todo=view&atidx=0000029978 인류화석 조작극 필트다운 사건 (하)] {{웨이백|url=http://www.sciencetimes.co.kr/article.do?todo=view&atidx=0000029978 |date=20131203141801 }}, 사이언스타임즈, 2009-2-5</ref>.
 
=== 확신과 신화 ===
254번째 줄:
과학적 발견 가운데 대략 35%에서 50%가 우연한 발견이었다. 이것은 과학자들이 왜 그리 행운을 바라는 지를 알 수 있게 해준다.<ref name=DunbarLuck>Dunbar, K., & Fugelsang, J. (2005). Causal thinking in science: How scientists and students interpret the unexpected. In M. E. Gorman, R. D. Tweney, D. Gooding & A. Kincannon (Eds.), Scientific and Technical Thinking (pp. 57-79).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ref> [[루이 파스퇴르]]는 “행운은 준비된 자에게 찾아온다”는 명언을 남겼지만, 심리학자들은 준비된 자에게 찾아온다는 행운이 과학 지식에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 지를 연구하고 있다. 심리학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과학자들은 다양한 방법을 동원하여 실험을 하기 때문에 우연히 어떤 새로운 사실을 발견할 수 있는 경우의 수가 늘어난다고 한다.<ref name="DunbarLuck" /><ref name="Oliver, J.E. 1991">Oliver, J.E. (1991) Ch2. of The incomplete guide to the art of discovery. New York:NY, Columbia University Press.</ref> 경제학자 나심 니콜라스 탈레브는 개개의 연구는 인간적 오류나 실수 등의 위험 요소가 개입할 여지가 많지만, 과학적 방법은 반복적인 검증을 통해 이러한 위험을 제거하기 때문에 전체 시스템의 취약성을 보완한다고 하였다. 탈레브는 이를 “취약점 보완”({{lang|en|anti-fragility}})이라는 개념으로 정리하였다.<ref>Talib contributes a brief description of anti-fragility, http://www.edge.org/q2011/q11_3.html</ref>
 
심리학자 케빈 던바는 연구자가 실험의 오류를 발견하는 것이 종종 새로운 발견의 과정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한다. 이러한 예기치 못한 결과로 인해 연구자는 그들의 연구 방법에서 발생한 오류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된다. 특히, 통제된 실험에서 나타난 오류가 허용 오차를 넘어 뚜렷하거나, 기존의 가설을 다시 검토하기에 충분할 만큼 주목할만한 것이라면, 연구자는 실험 중의 이러한 오류를 단순한 오류로만 치부하지 않고 새로운 전문분야를 개척할 단서로 받아들이게 된다.<ref name="DunbarLuck" /><ref name="Oliver, J.E. 1991" /> 예를 들어, [[에드워드 노턴 로렌즈]]는 컴퓨터를 이용한 [[기상 현상]] [[시뮬레이션]]의 결과가 초기의 사소한 조건 변화에 따라 민감하게 변화하는 [[로렌즈 끌개]]를 발견하였고, 이를 통해 [[나비 효과]]를 비롯한 [[혼돈 이론]]을 정립하는 계기가 되었다.<ref>에드워드 노턴 로렌즈(1963), [http://ams.allenpress.com/archive/1520-0469/20/2/pdf/i1520-0469-20-2-130.pdf 결정론적인 비주기적 유동]{{깨진 링크|url=http://ams.allenpress.com/archive/1520-0469/20/2/pdf/i1520-0469-20-2-130.pdf }}, 대기과학 저널</ref><ref>에드워드 노턴 로렌즈(1969), [http://eapsweb.mit.edu/research/Lorenz/Three_approaches_1969.pdf 기상예측에 대한 세가지 접근 방법],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50: 345–349.</ref>
 
== 수학과의 관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