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화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0 개의 출처 구조, 1 개의 링크를 깨진 것으로 표시 #IABot (v2.0beta2)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확인날짜 수정
9번째 줄:
문(文)의 교환 수단으로 [[조선]] 초기에 [[한지]]로 만든 [[지폐]]인 저화(楮貨)가 최초의 법정지폐(法定紙幣)로 통용됐고 [[16세기]]까지 교환 수단으로 쓰였다.
 
[[1423년]] [[조선 세종]]이 [[조선통보]](朝鮮通寶)를 발행해 유통했으며, [[조선통보]] 150문은 [[은]] 1[[근 (단위)|근]](약 600g)에 고정됐지만 시장에서는 그 가치가 자주 변동됐다. 공식적으로 1문은 [[쌀]] 한 되 가치로 정해졌지만 시장에서는 [[쌀]] 한 되에 3문으로 그 가치가 떨어졌으며, [[1429년]]에는 [[쌀]] 한 되 값이 13문으로 오르기도 했다.<ref name="mun">{{뉴스 인용|url=http://news.hankyung.com/article/2015020661861|제목=세종의 화폐개혁은 왜 실패했을까|저자=김유미|날짜=2015-2-7|출판사=한국경제|언어=한국어|확인일자확인날짜=2017-9-11}}</ref> 시장에서는 [[화폐]] 사용을 꺼려 다시 [[물물교환]] 상태로 돌아갔다.
 
[[1625년]] [[조선 인조]]가 다시 [[조선통보]]를 발행했으나 [[정묘호란]]과 [[병자호란]]으로 쓰이지 않게 됐다. 동전을 만드는데 필요한 [[구리]]를 [[일본]]으로부터의 수입에 크게 의존하고 있었던 점 또한 [[화폐]] 사용을 불안정하게 만들었다.<ref name="copper">{{뉴스 인용|url=http://www.koreaherald.com/view.php?ud=20150828000981|제목=[Weekender] Korean currency evolves over millennium|저자=정주원|날짜=2015-8-28|출판사=The Korea Herald|언어=영어|확인일자확인날짜=2017-9-11}}</ref> [[조선통보]] 이외에 [[십전통보]](十錢通寶)도 발행됐으나 널리 쓰이지는 않았다.<ref>[http://museum.bok.or.kr/eng/display/1F/D03.jsp museum.bok.or.kr]{{깨진 링크|url=http://museum.bok.or.kr/eng/display/1F/D03.jsp }}</ref>
 
[[1633년]] 빈민을 구제하던 관청인 [[상평청]]에서 [[상평통보]]를 발행하기 시작했다. [[상평통보]]는 [[조선 숙종]] 때인 [[1678년]]에 [[조선]] 각지에서 유통되기 시작했다. 10문이 1전, 10전이 1냥, 10냥이 1관과 같았고 [[조선 숙종|숙종]]은 400문을 은 1냥에 고정시켰다.<ref name="fun">{{뉴스 인용|url=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5070513592608355|제목=[이승종의 환율이야기]"한 푼만 줍쇼…" 한 푼은 얼마일까?|저자=이승종|날짜=2015-7-5|출판사=아시아경제|언어=한국어|확인일자확인날짜=2017-9-11}}</ref> 그 뒤 문(文)의 교환 수단으로 [[상평통보]]가 주로 쓰이게 됐다.
 
[[1866년]] [[흥선대원군]]이 부족한 국가 재원을 채우기 위해 [[당백전]]을 발행하자 문(文)은 [[인플레이션]]을 겪기 시작했다. [[당백전]]의 실제 가치는 당오전의 5배에서 6배 정도에 지나지 않았으나 법정 가치가 100배에 해당해 물가 상승을 초래했고, [[쌀]]값은 2년만에 6배로 치솟았다. [[1835년]] [[에도 막부]]도 국가 재원을 채우기 위해 100문 동전 천보통보(天保通寶)를 발행했고<ref>Takizawa Takeo(1996). ''Nihon no Kahei no Rekishi'', Yoshikawa Kobunkan. p.242</ref>, [[청나라]]도 [[태평천국의 난]]의 여파로 [[1853년]]에 100문 동전을 발행했으며<ref>Peng Xin-Wei(1958). ''Zhongguo Huobi Shi second ed.'', Shanghai Renmin Chubanshe. pp.833-838</ref> 이들 역시 [[인플레이션]]을 유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