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리아의 역사: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태그: m 모바일 웹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날짜 변수 정리
233번째 줄:
탐험가들이 이른바 [[신세계]]를 발견하면서 베네치아나 제노바와 같은 이탈리아의 주요 상업 도시들은 점차 유럽의 중심 무역항으로서의 지위를 상실하였다.<ref>{{서적 인용|last1=Martin|first1=John|last2=Romano|first2=Dennis|title=Venice reconsidered : the history and civilization of an Italian city-state, 1297 – 1797|date=2002|publisher=Johns Hopkins Univ. Press|location=Baltimore|isbn=978-0801873089|page=405|edition=Johns Hopkins paperbacks}}</ref> 게다가 스페인이 [[30년 전쟁]]에 뛰어들게 되자 이탈리아 각지에는 과중한 세금이 부가되었다. 이로 인해 1647년에는 어부였던 [[마사녤로]]가 주동한 폭동이 일어나기도 하였다.<ref>{{웹 인용|title=The 17th-century crisis|url=http://www.britannica.com/EBchecked/topic/297474/Italy/27710/The-17th-century-crisis|publisher=[[Encyclopædia Britannica]]|accessdate=6 December 2014}}</ref>
 
17세기 이탈리아에선 [[흑사병]]이 다시 번졌다. [[이탈리아 흑사병 (1629년 - 1631년)|1630년 이탈리아 흑사병]]이 이탈리아 북부에 퍼져 밀라노와 베네치아 같은 대도시의 백만명에 달하는 사람들이 목숨을 잃었다. 이는 해당 지역 전체 인구의 25%에 달하는 숫자였다. <ref>{{서적 인용|last1=Hays|first1=J. N.|title=Epidemics and pandemics their impacts on human history|date=2005|publisher=ABC-CLIO|location=Santa Barbara, Calif.|isbn=978-1851096589|page=103}}</ref> 1656년에 일어난 흑사병으로 [[나폴리 왕국]]은 인구의 43%가 사망하였다.<ref>{{웹 인용|last1=Fusco|first1=Idamaria|title=The plague in the Kingdom of Naples (1656–58): diffusion and mortality|url=http://www.iseg.utl.pt/aphes30/docs/progdocs/IDAMARIA%20FUSCO.pdf|publisher=Istituto di Studi sulle Società del Mediterraneo|accessdate=6 December 2014|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40930125225/http://www.iseg.utl.pt/aphes30/docs/progdocs/IDAMARIA%20FUSCO.pdf|보존날짜=2014년 09월9월 30일|깨진링크=예}}</ref> 흑사병으로 인한 인구 감소는 당시 이탈리아의 경제 침체와 상업 중심지 기능 상실의 가장 큰 원인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ref>{{웹 인용|title=This Day In HISTORY. November 30, 1630|url=http://www.historychannel.com.au/classroom/day-in-history/973/16000-venetians-die-of-plague-this-month|publisher=[[History (U.S. TV channel)|History]]|accessdate=6 December 2014}}</ref> 경제사학자 앤거스 매디슨의 연구에 따르면 1500년 당시 이탈리아의 국내총생산은 프랑스의 106%에 달했으나, 1700년에는 75%에 불가하였다.<ref>{{서적 인용|last1=Maddison|first1=Angus|title=Contours of the world economy, 1–2030 AD : essays in macro-economic history|date=2007|publisher=Oxford University Press|location=Oxford|isbn=978-0199227204|page=379, table A.4|edition=1st}}</ref>
 
=== 18세기 ===
267번째 줄:
 
=== 나폴레옹의 몰락 ===
[[외젠 드 보아르네]]는 [[조제핀 드 보아르네|조제핀]]과 그의 전남편 알렉상드르 드 보아르네 자작 사이의 아들이다. 조제핀이 나폴레옹과 결혼 한 후 나폴레옹의 측근으로 이탈리아에 부임하였다. 나폴레옹이 몰락한 뒤 외젠은 처가인 [[바이레른 왕국]]의 도움으로 합스부르크의 오스트리아로부터 지원을 받아 이탈리아의 군주가 되고자 하였다. 또한 [[나폴리 왕국]]의 왕으로 임명된 나폴레옹의 측근 [[조아킴 뮈라]] 역시 나폴레옹 몰락 이후 퇴위되었으나 오스트리아와 내통하여 이탈리아에서 자신의 지위를 되찾고자 하였다.<ref>{{웹 인용|url=http://www.regione.piemonte.it/cultura/risorgimento/immagine/00402.htm|title=Proclamation of Rimini|year=1815|accessdate=21 February 2008|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80126164906/http://www.regione.piemonte.it/cultura/risorgimento/immagine/00402.htm|보존날짜=2008년 01월1월 26일|깨진링크=예}}</ref>
 
유럽 각국의 정체를 나폴레옹 이전으로 되돌린다는 빈 회의의 결정은 오스트리아를 비롯한 여러 강국들이 이탈리아에 개입하는 명분이 되었다. [[오스트리아 제국]]과 합스부르크 왕가는 이탈리아 북부에 대한 지배력 강화를 획책하였고, 이들의 통일 움직임에 반대하였다. 오스트리아의 수상이었던 프란츠 메데르니히는 빈 회의에서 "이탈리아란 이름은 지리학적 의미 외에 어떠한 것도 뜻하지 않는다."라고 주장하였다.<ref>{{서적 인용|title=Between Salt Water And Holy Water: A History Of Southern Italy|author=Astarita, Tommaso|year=2000|page=264}}</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