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Metrobot (토론 | 기여)
잔글 위키데이터와 로컬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링크 조정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날짜 변수 정리
4번째 줄:
'''풍수'''(風水)는 [[땅]]과 [[공간]]의 해석과 활용에 대한 [[동아시아]]의 고유 사상이다. 풍수에는 [[음양오행설]]을 바탕으로 한 [[동아시아]]의 자연관이 잘 나타나 있으며 실제로 [[조경]]과 [[건축]] 등에 영향을 미쳤던 사상이다.‘풍수’는 ‘[[바람]]을 막고 [[물]]을 얻는다’는 뜻인 [[장풍득수|장풍 득수]](藏風 得水)를 줄인 말로, 생명을 불어 넣는 지기(地氣:땅 기운)를 살피는 것이다. 자연에서 태어난 사람은 바람과 물로 생명을 이루고 있다는 것이다.
 
풍수는 바람과 물을 생활 속으로 끌어들여 그것을 지리적인 조건에 맞춰 해석하는데, 산세(山勢), 지세(地勢), 수세(水勢) 즉 산의 모양과 기, 땅의 모양과 기, 물의 흐름과 기 등을 판단하여 이것을 인간의 길흉화복에 연결시켜 이에 의해서 생활하는 인간의 본질을 나타내는 것이 풍수이다.<ref name="풍수학">{{서적 인용|저자=최창조|제목=최창조의 새로운 풍수 이론|꺾쇠표= 예|연도=2009.-11.-27|출판사=민음사|ISBN=9788937426735}}</ref>
 
풍수 사상은 중국 [[전국 시대]] 말기 이전부터 시작되었고, [[한국]]에는 삼국 시대 이전에 전래되었다고 여겨진다. 일반적으로는 주로 [[묘지]] 풍수나 [[주택]] 풍수, [[명당]]과 같은 터 잡기로 생각하기도 한다. [[1990년대]] 이후 대한민국에서는 최창조 교수([[지리학]])가 ‘자생풍수’(自生風水)라는 이름으로 학문적 접근을 모색하면서 장례문화를 비롯하여 생태계에 의한 환경과 건축같은 학문적인 방법 등에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