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정부 여성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날짜 변수 정리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25번째 줄:
 
=== 버지니아 볼튼과 ''La Voz de la Mujer'' ===
[[파일:8La Voz de la Mujer.jpg|left|thumb섬네일|''{{lang|es|La Voz de la Mujer}}'의 커버]]
버지니아 볼튼은 로자리오에서 1896년 1월 8일에서 1897년 1월 1일 사이에 9번 발행된 적이 있고 1901년에 잠깐 부활한 적이 있던 La Voz de la Mujer(여성의 목소리)라는 신문에 연관이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이후 몬테비데오에서 비슷한 신문이 같은 이름으로 발행된 적이 있는데, 볼튼이 국외추방된 뒤에 설립과 편집을 맡았을 것으로 간주된다.<ref name="molyneux">{{서적 인용|last=Molyneux|first=Maxine|title=Women's movements in international perspective: Latin America and beyond|publisher=Palgrave MacMillan|year=2001|page=24|isbn=978-0-333-78677-2|url=https://books.google.com/books?id=yg9HFrOG89kC&pg=PA24}}</ref> La Voz de la Mujer는 스스로 “아나코 코뮤니즘의 증진을 위하여”라고 스스로를 묘사했다. 이것의 중심적인 테마는 여성억압의 여러가지 본질에 대한 것이었다. 사설에서는 다음과 같은 의견이 있었다. “우리는 현사회에서 불행한 여성보다 비참한 상황은 없다고 생각한다” 그들은 여성은 부르주아 사회와 남성으로 부터 이중의 억압을 당한다고 말했다. 이러한 주장은 그들의 결혼과 그를 통한 남성의 여성에 대한 권력행사를 공격한것에서도 보여진다. 신문의 관계자들은 젠더에 초점을 맞춘 억압의 개념을 개발했다. 그들은 결혼을 여성의 자유를 제한하는 부르주아 기관으로 보았다. 결혼은 사랑없이 체결되며, 욕망보다는 공포에 의해 유지되는 남성에의한 여성의 억압이었다. 그들은 결혼 계약에 의해 암시된 강제의 징후를 증오했다. 이것은 개인 의지의 [[소외]]였으며, 무정부주의적 여성주의자들은 이것의 치료제를 찾아 나섰고, 처음에는 자유연애를 주장했고 마침내 사회혁명을 결론짓게 된다.<ref>{{웹 인용|url=http://libcom.org/history/no-god-no-boss-no-husband-world%E2%80%99s-first-anarcha-feminist-group |title=No God, No Boss, No Husband: The world’s first Anarcha-Feminist group |publisher=Libcom.org |date=January 3, 2012 |accessdate=2012-09-29}}</ref>
 
==무정부주의적 여성주의, 개인주의적 무정부주의, 자유연애 운동==
[[파일:Lucifer, The Light-Bearer.jpg|250px|thumb섬네일|left|''[[Lucifer the Lightbearer]]'', 미국의 영향력있는 자유연애 저널]]
개인주의적 무정부주의의 중요한 토픽중의 하나는 자유연애이다.<ref name="freelove">{{웹 인용|last=McElroy |first=Wendy |url=http://www.ncc-1776.org/tle1996/le961210.html |title=The Free Love Movement and Radical Individualism |publisher=The Libertarian Enterprise |date=December 1, 1996 |accessdate=2012-09-29}}</ref> 자유연애는 특히 여성의 권리를 강조하는데, 결혼 법률이나 임신조절에 대한 법처럼 대부분의 법들이 여성에게 차별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ref name="freelove"/>미국에서 가장 중효한 자유연애 저널은 Moses Harman와 Lois Waisbrooker이 편집을 맡았던 Lucifer the Lightbearer (1883–1907)였다.<ref>Passet, Joanne E. "Power through Print: Lois Waisbrooker and Grassroots Feminism," in: ''Women in Print: Essays on the Print Culture of American Women from the Nineteenth and Twentieth Centuries'', James Philip Danky and Wayne A. Wiegand, eds., Madison, WI,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2006; pp. 229-50.</ref> Ezra Angela Heywood의 The Word1872–1890, 1892–1893)같은 저널도 있었다<ref name="freelove"/> M. E. Lazarus 또한 자유 연애를 홍보한 중요한 미국의 무정부주의자다.<ref name="freelove"/> 유럽에서 개인주의적 무정부주의 흐름 안에서 자유연애를 선전한 대표적인 사람은 Émile Armand였다. <ref name="armandfreelove">{{웹 인용|url=http://www.iisg.nl/womhist/manfreuk.pdf |title=E. Armand and "la camaraderie amoureuse": Revolutionary sexualism and the struggle against jealousy |format=PDF |date= |accessdate=2012-09-29}}</ref> 그는 la camaraderie amoureuse 라는 개념을 제안 했는데, 성인의 자발적인 동의하에 이루어 지는 관계를 의미한다. 그는 또한 일관된 [[폴리아모리]]의 제안자였다.<ref name="armandfreelove"/> 프랑스 무정부주의 안에서도 Marie Küge, Anna Mahé, Rirette Maîtrejean, 그리고 Sophia Zaïkovska 같은 이들에 의하여 여성주의 활동이 나타났었다.<ref>{{웹 인용|url=http://endehors.org/news/individualisme-anarchiste-et-feminisme-a-la-belle-epoque |title="Individualisme anarchiste et féminisme à la " Belle Epoque "" |publisher=Endehors.org |date= |accessdate=2012-09-29 |deadurl=yes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20706170427/http://endehors.org/news/individualisme-anarchiste-et-feminisme-a-la-belle-epoque |archivedate=July 6, 2012 }}</ref>
 
[[파일:Mlacerda.png|150px|thumb섬네일|브라질의 무정부주의적 여성주의자 [[Maria Lacerda de Moura]], ]]
브라질에선 개인주의적 무정부주의자인 Maria Lacerda de Moura가 교육과 여성의 권리, 자유연애, 그리고 반군사주의에 대한 강의를 했다. 그녀의 글은 브라질 뿐에서만이 아니라 아르헨티나와 우르과이에서 까지 주목을 받았다. 1923년 2월에는 무정부주의, 진보, 자유사상등에 관련된 Renascença라는 정기 간행물을 발행하기도 했다. 그녀의 사상은 주로 개인주의적 무정부주의자인 Han Ryner와 Émile Armand에 영향을 받았다.<ref>{{웹 인용|url=http://www.nodo50.org/insurgentes/textos/mulher/09marialacerda.htm |title="Maria Lacerda de Moura - Uma Anarquista Individualista Brasileira" by |publisher=Nodo50.org |date= |accessdate=2012-09-29}}</ref>
 
39번째 줄:
 
===[[엠마 골드만]]===
[[파일:Emma Goldman seated.jpg|180px|thumb섬네일|left|[[엠마 골드만]]]]
엠마 골드만은 비록 1세대 여성주의와 투표권이라는 목표에 비판적이였지만, 여성의 권리의 열정적인 옹호자였으며 오늘날 무정부주의적 여성주의의 창시자로 받아들여진다. 1897년 그녀는 다음과 같이 썼다. “여성이 자신을 지지할 권리, 그 자신을 위해 살아갈 권리, 그녀를 기쁘게하는 많은 것을을 사랑할 권리, 즉 나는 여성의 독립을 요구한다. 행동의 자유, 사랑의 자유, 어머니일 자유, 나는 남녀 모두에게 그런 자유가 주어져야 함을 요구한다.”<ref>Quoted in Wexler, ''Intimate'', p. 94.</ref>
 
80번째 줄:
 
==== 루시아 산체스 사오르닐 ====
[[파일:Lucía Sánchez Saornil & Emma Goldman.jpg|thumb섬네일|1930년대 스페인, 좌측이 루시아 산체스 사오르닐 가운데가 엠마 골드만]]
루시아 산체스 사오르닐(Lucía Sánchez Saornil 1895년 12월 13일-1970년 6월 2일)은 스페인의 시인이자 전투적 무정부주의자이며 여성주의자였다. 그녀는 Mujeres Libres의 설립자중 한명으로 잘알려져있다. 그녀는 [[전국노동자연합]](CNT)와 Solidaridad Internacional Antifascista(SIA)의 일원이였다. 1919년 부터 그녀는 Los Quijotes, Tableros, Plural, Manantial, La Gaceta Literaria같은 여러 저널을 출판하기 시작한다. 남성의 필명으로서 그녀는 레즈비언 테마에 대하여 탐구할 수 있었다.<ref>"R. Fue una época transgresora, emergió el feminismo y la libertad sexual estuvo en el candelero. Hay rastreos de muchas lesbianas escritoras: Carmen Conde[primera académica de número], Victorina Durán, Margarita Xirgu, Ana María Sagi, la periodista Irene Polo, Lucía Sánchez Saornil, fundadora de Mujeres Libres[sección feminista de CNT]... Incluso existía un círculo sáfico en Madrid como lugar de encuentro y tertulia.P. ¿Se declaraban lesbianas?R. Había quien no se escondía mucho, como Polo o Durán, pero lesbiana era un insulto, algo innombrable. Excepto los poemas homosexuales de Sánchez Saornil, sus textos no eran explícitos para poder publicarlos, así que hay que reinterpretarlos."[http://elpais.com/diario/2007/12/06/paisvasco/1196973608_850215.html "Tener referentes serios de lesbianas elimina estereotipos" by Juan Fernandez at ''El Pais'']</ref> 그 시절 동성애는 범죄였으며 검열과 처벌의 대상이였다. Earth and Freedom, the White Magazineand Workers' Solidarity 같은 무정부주의자 출판물을 쓰며 루시아는 여성주의자로서 자신의 관점을 설명했다. 그녀는 피임관련 문제에 조용하긴 했지만, 스페인 사회의 성 역할에 대한 본질주의적 관점은 공격했다. 이런식으로 루시아는 여성 무정부주의자 사이에서 가장 급진적인 목소리로서 자신을 확립했고, 의심할여지 없이 여성의 가정생활의 이상을 거부했다. workers' Solidarity의 일련의 글에서 그녀는 어머니는 여성 정체성의 핵심이라는 Gregorio Marañón의 주장에 대담하게 반박했다.<ref>Enders and Radcliff. ''Constructing Spanish womanhood: female identity in modern Spain''. SUNY Press, 1999.</ref>
 
94번째 줄:
 
현대 무정부주의적 여성주의 그룹에는 볼리비아의 Mujeres Creando, radical cheerleaders 스페인의 무정부주의적 여성주의자 스쾃 Eskalera Karakola 그리고 보스턴의 annual La Rivolta!등이 있다.
[[파일:EmmaGoldmanQuote2000.JPG|thumb섬네일|left|200px|[[반세계화]] 시위에서 엠마 골드만의 말이 인용된 깃발을 들고 있는 아나카 페미니스트들]]
현대 무정부주의적 여성주의자 작가/이론가등에는 Maria Mies, Peggy Kornegger, L. Susan Brown 에코 여성주의자 Starhawk 그리고 포스트 레프트 아나키스트이자 아나코 프리미티비스트인 Lilith등이 있다.<ref>{{웹 인용|url=http://theanarchistlibrary.org/authors/Lilith.html |title=Lilith texts at The Anarchist Library |publisher=The Anarchist Library |date= |accessdate=2012-09-29}}</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