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천량 해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메이 (토론 | 기여)
center 태그(구식 태그)를 지우고, 정렬 고침. =린트 오류 고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50번째 줄:
 
== 칠천량 해전 ==
[[파일:Location Chilcheonryang.png|thumb섬네일|칠천량의 위치]]
[[1597년]] [[8월 16일]]([[음력 7월 4일]]) 100척이 훨씬 넘는 판옥선, 거북선과 1만여명에 달하는 조선수군을 총동원한 원균<ref>조선 수군의 지휘관은 원균이었다. 원균도 이 싸움이 조선에게 불리하고 참패할 것을 우려했지만 조정의 무리한 요구로 어쩔 수 없이 전투를 감행한다. 원래 이순신이 조선 수군을 승리로 이끌었던 이유는 적진에 들어가서 싸우는 방식이 아니라 적선을 자기 진영에 유인해서 함정에 빠뜨리는 방식으로 일본 수군의 전력을 조금씩 상대하는 전투였다. 사실상 조선 수군이 선택할 수 있는 최선의 전략이었다. 그런데 1,000여척에 달하는 적진에 뛰어드는 것이 자살 행위임을 원균이 모를리 없었다. 이 전투에서 원균도 전사한다.</ref>은 [[부산]] 인근에서 바람과 파도를 고려하지 않고 적을 추격하다가 12척의 [[판옥선]]을 표류하게 해 잃어버리고, 9일에는 오히려 적의 반격을 받아 역시 많은 전선을 잃게 된다. 실록에서는 이 때 아군이 활 한 번 제대로 쏘지 못 한 채 패했다고 하면서 아군의 대응을 문제삼았고, 케이넨의 [[조선일기]]에는 이 때 반격한 병력이 일본 수군이 아닌 육군 수송함대 병력인 것이 확인된다.
 
60번째 줄:
<ref name="ReferenceA"/>
 
[[파일:Korea-Geoje-Gohyeon_Castle-01.jpg|thumb섬네일|left|160px|거제 고현성]]
 
충청수사 [[최호 (조선)|최호]]와 [[전라우수사]] [[이억기]]는 당황하여 도망칠 궁리만 한 원균과 달리 불리한 상황에서도 용감히 싸웠지만 결국 전사하였다. [[경상우수사]] 배설은 휘하의 판옥선을 이끌고 도주해 [[한산도]]에 있는 군수물품을 전부 불태우고 도망을 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