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대나선은하: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3 개의 출처 구조, 0 개의 링크를 깨진 것으로 표시 #IABot (v2.0beta2)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1번째 줄:
[[파일:Hubble2005-01-barred-spiral-galaxy-NGC1300.jpg|350px|thumb섬네일|right|거의 정면으로 보이는 막대나선은하 [[NGC 1300]], [[허블 우주 망원경]]이 촬영하였다.]]
[[파일:Ngc253 2mass barred spiral.jpg|thumb섬네일|350px|right|막대나선 폭발적 항성생성 은하인 [[화로자리 은하]] (2MASS)]]
 
'''막대나선은하'''({{llang|en|Barred spiral galaxy}})<ref>한국천문학회 편 《천문학용어집》 159쪽 우단 19째줄</ref>는 중심에 [[항성|별]]들로 구성된 막대모양의 구조를 가진 [[나선은하]]이다. 막대는 모든 나선은하의 약 3분의 2에서 발견된다.<ref name="mihalas1968">{{서적 인용| author=D. Mihalas | year=1968 | title=은하 천문학 | publisher=W. H. Freeman | isbn=978-0-7167-0326-6}}</ref> 일반적으로 막대는 나선은하 내의 별과 성간가스의 운동 모두 영향을 주며 [[나선팔]]까지도 영향을 줄 수 있다.<ref name="mihalas1968"/>
9번째 줄:
 
== 막대 ==
[[파일:Blue bursts of hot young stars.jpg|thumb섬네일|청색, 백색, 황색의 작은 별들이 보이는 나선은하 IC 5052의 일부를 촬영한 사진.<ref>{{뉴스 인용|title=뜨겁고 어린 별들의 청색 폭발|url=http://www.spacetelescope.org/images/potw1309a/|accessdate=2013년 4월 3일|newspaper=ESA/Hubble}}</ref>]]
 
막대나선은하는 확실히 수적으로 우세하다. 관련 탐사들이 모든 나선은하의 3분의 2까지가 막대를 포함하는 것으로 보여주기 때문이다.<ref>{{저널 인용| author=P. B. Eskridge, J. A. Frogel | title=막대나선은하의 실제 비율은 얼마인가? | journal=천체물리학 및 우주과학 | year=1999 | volume=269/270 | pages=427–430 | bibcode=1999Ap&SS.269..427E | doi=10.1023/A:1017025820201}}</ref> 현재 가설은 막대구조가 중심에서 별의 형성을 도모하여 [[항성 형성|항성요람]]의 일종의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막대는 [[궤도공명]]을 통해 나선팔에서 안쪽으로 가스를 유통하며, 그 효과로 이동 중인 유체가 새로운 별을 형성하게 된다는 메커니즘의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ref>{{저널 인용| author=J. H. Knapen, D. Pérez-Ramírez, S. Laine | title=막대나선은하의 핵주위 영역 - II. 숙주은하와의 관계 | journal=Monthly Notice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 year=2002 | volume=337 | issue=3 | pages=808–828 | bibcode=2002MNRAS.337..808K | doi=10.1046/j.1365-8711.2002.05840.x |arxiv = astro-ph/0207258 }}</ref> 또한 이 과정은 많은 막대나선은하가 [[남쪽 바람개비 은하]]에서 보여지는 것과 같은 [[활동은하핵]]을 갖고 있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을 것이라 추정된다.
20번째 줄:
 
== 같이 보기 ==
[[파일:NGC 2146 HST.jpg|thumb섬네일|[[NGC 2146]]의 매우 독특한 특색은 은하의 핵 방향으로 고리를 이루는 먼지투성이의 나선팔이다.]]
 
* [[은하의 형태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