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기 지하철: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1 개의 출처 구조, 2 개의 링크를 깨진 것으로 표시 #IABot (v2.0beta2)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10번째 줄:
 
한편 교직류 양용차량에 대한 투자를 하지 않고 또한 토목 및 건축 비용 감소를 위해 2기지하철은 교외 전철과의 직결운행을 염두에 두지 않고 계획되었다(서울지하철건설삼십년사, 서울시:2003).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2기 지하철 차량의 높이는 4750mm인 데 반해 서울메트로 차량의 높이는 4900mm에서 5000mm인 경우를 들 수 있다<ref> 운영 회사 제공 자료 참조.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의 차량 제원 http://smrt.co.kr/smrt_smrt/general/system/carriage_1.jsp?m1=3&m2=8{{깨진 링크|url=http://smrt.co.kr/smrt_smrt/general/system/carriage_1.jsp?m1=3&m2=8 }},
*서울메트로의 차량제원 http://www.seoulmetro.co.kr/bi/bi_main.jsp?subPage=bi_2_2.jsp&m_def=7&ss_def=4&leftM_def=2&leftS_def=2 {{웨이백|url=http://www.seoulmetro.co.kr/bi/bi_main.jsp?subPage=bi_2_2.jsp&m_def=7&ss_def=4&leftM_def=2&leftS_def=2 |date=20150120082841 }} </ref>.
 
== 3·4호선의 연장 == <!--및 2호선 신정지선의 건설 ==-->
[[1기 지하철]] 노선의 연장선 및 지선은 이미 이전의 계획이 있었기 때문에 사업 진행이 빠른 편이었다. [[1989년]]부터 이들 사업이 진행되었다.
<!--=== 3·4호선 연장선 ===-->
우선 [[1989년]] 12월 3, 4호선 연장구간 공사가 착공되었다. [[과천선]] 또한 같은 시기에 착공되었으나 [[대한민국 철도청|철도청]]이 전담하였고 시외 구간이므로 2기 지하철에 산입하지는 않는다.
 
==== 3호선 연장선(양재 - 수서) ====
[[파일:Seoul-Metro-3-Suseo-station-platform.jpg|thumb섬네일|250px|[[수서역]]]]
[[서울 지하철 3호선|3호선]] 연장선은 이미 [[1986년]] 건설고시가 되어 있었으나 보류되었다. 그러나 개포, 대치, 수서지구의 입주로 인한 교통량의 처리 및 본선의 운행밀도 증가, 노선 연장 및 [[일산선]]으로 인한 지축기지 용량 부족으로 인해 필요해진 [[수서차량사업소|수서기지]]에 대한 연락선 확보를 위해 사업이 추진되었다.
 
노선은 당초 양재~개포~수서였다. 그러나 대치동 주민이 집단민원을 제기하자 양재~대치~탄천변~수서로 노선이 1차 변경되었다. 그러나 이번에는 개포동 주민이 집단민원을 제기하였고, [[1989년]] 9월에는 대치동에서 남하, 개포동을 통과([[대청역]])하고 수서지구를 지나([[일원역]]) 수서로 가는 노선이 최종 확정되었다.
 
개통은 [[1993년]] 10월이었고, 이와 동시에 [[수서차량사업소|수서기지]] 역시 가동을 시작하였다. 이미 개발이 [[근린주구]](近隣住區) 형태로 진행되었던 지역이었기 때문에 이후의 인구 분포에 크게 영향을 끼친 것은 아니며, 주거지역이 대부분의 토지 이용 형태이므로 승객의 밀도는 [[서울 지하철 3호선|3호선]] 전체의 평균 이하다. [[분당선]] 개통으로부터 연장선 개통에 이르는 시기동안은 [[분당선]] 승객이 갈아탈 수 있는 [[서울 지하철 8호선|8호선]] 이외의 유일한 노선이었기 때문에, 말단의 굴곡이 부각되기도 하였다.
 
==== 4호선 연장선(상계 - 당고개) ====
이 노선은 [[서울 지하철 4호선|4호선]]을 상계동 동부로 연장시키기 위해 건설된 노선이다. 이 지역은 [[상계역]], [[노원역]] 등지의 고층 고밀도 근린주구 개발형태와는 달리 저층 고밀도 개발이 전개된 지역이다. 그에 따라 지역 주민의 경제력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지형 여건상 도로의 기능 발휘엔 한계가 있었으므로, 대용량 대중교통 공급이 이뤄져야만 했던 곳이었다. 부지는 하천부지를 점용하였고, 그 위에 고가철도 건설을 시행하였다.
 
[[1993년]] 4월 개통하였고, 회차를 위하여 인입선이 개설되었다. 부지 여건상 회차선 개설을 위해 [[수락산]]에 터널을 시공하였다. [[파일:Danggogae Station 409.jpg|thumb섬네일|250px|[[당고개역]]]]
 
<!--=== 2호선 신정지선의 건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