궤간 변경: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특정 http → https 변환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3번째 줄:
 
== 해결법 ==
[[파일:Bogies-exchange.jpg|right|thumb섬네일|중국-러시아 국경에서 일어나는 대차 교환 작업]]
[[파일:Cambiador de ancho valladolid.jpg|thumb섬네일|스페인 바야도이드에 있는 궤간 변경 장치]]
환승은 여객에게 불편함을 가져오고, 환적에는 시간이 걸리며 화물을 손상시킬 수 있다. 서로 다른 화차의 적재 한계가 맞지 않을 경우 화물을 나누거나 다시 합쳐야 한다. 환승과 환적을 피하기 위하여 [[가변 궤간 차축]]을 장착하거나, 철도 차량의 [[대차 교환|대차를 교환]]하는 등의 여러 방법이 사용된다. 두 경우 다 궤간에 따라 달라지는 차량 한계를 고려해야 한다. 가변 궤간 차축은 운행 중에는 특정 궤간으로 고정되어 있다가, 궤간 변환 시설을 저속으로 통과하면서 고정 장치를 풀고 새로운 궤간으로 변경하는 형태이다. 대차 교환을 위해서 대차 분리가 쉬운 철도 차량을 만드는 경우도 있다.
 
39번째 줄:
 
=== 오스트레일리아 ===
[[파일:AlburyRailwayStationPlatform.jpg|thumb섬네일|시드니-멜버른 철도 중간에 있는 궤간이 변경되는 지점. 양쪽 플랫폼 궤간이 다르다.]]
오스트레일리아에는 1067mm 케이프 궤간, 1435mm 표준궤, 1600mm 아일랜드 궤간이 혼재되어 있어서 여러 곳에서 궤간 변경이 일어난다. 퍼스 시내는 협궤, 교외는 표준궤가 설치되어 있어서 교외로 나가는 열차를 탑승하려면 열차를 갈아타야 한다. 1990년대 이후부터는 차후 개궤가 가능한 침목을 설치하거나, 표준궤로 궤간을 통일하여 환승의 불편을 줄이고 있다. 1930년대부터 생산된 증기 기관차는 일부를 제외하면 쉽게 개궤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같은 궤간을 사용하는 철도라 하더라도 사막이나 바다로 나뉘어 있는 경우에는 다른 방법을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