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복: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날짜 변수 정리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3번째 줄:
[[파일:원삼.jpg|섬네일|원삼]]
[[파일:당의.jpg|섬네일|당의]]
[[파일:Korea Spring of Insadong 08.jpg|thumb섬네일|다양한 종류의 한복을 입은 행렬]]
'''한복'''(韓服, {{문화어|조선옷}})은 [[한민족]] 고유의 옷이다. 역사적으로 한민족은 고유한 의복을 입었으며 위정자와 귀족은 외국 문물의 영향을 받은 복식을 도입해 입으면서 유행을 만들어 내고 격식에 따라 다른 옷을 입기도 하였다.<ref>McCallion, Aleasha; Condra, Jill. 《The Greenwood Encyclopedia of Clothing Through World History》, Greenwood Publishing Group. p. 221 - 228쪽. {{ISBN|0-313-33664-4}}</ref> 색이 들어간 천은 관복으로서 각 시대의 위정자가 내린 복식금제에 따라 다른 양상을 띠기도 하였으나<ref name="김경수"/> 대다수의 평민들은 흰색 옷을 즐겨 입었으며 한복의 기본 구성인 치마와 저고리, 바지 등은 변치 않고 오랜 세월 동안 기본 골격을 유지하고 있다.<ref>김성혁, 《레스토랑 서비스》, 백산출판사, 2000년, 84쪽</ref>
 
15번째 줄:
=== 저고리 ===
{{본문|저고리}}
[[파일:Jeogori.png|thumb섬네일|left|250px|저고리의 구조<ref group="주해">배래는 소매에서 고름으로 오는 둥그런 소매의 부분을 일컫는다. 끝동이란 저고리 소매의 끝으로 보통 저고리 전체의 색과 다른 색깔을 취한다.</ref>]]
[[파일:Hanbok scheme.svg|thumb섬네일|1. 화장 2. 고대 3. 소매부리 4. 소매 5. 고름 6. 우 7. 도련 8, 11. 진동 9. 길 10. 배래 12. 깃 13. 동정]]
[[저고리]]는 한복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상의로서 남자와 여자 모두가 입는 옷이다. 저고리는 역사상 신분의 상하와 유행에 가장 민감한 옷<ref>[http://www.fnnews.com/view?ra=Sent1301m_View&corp=fnnews&arcid=00000922347797&cDateYear=2011&cDateMonth=06&cDateDay=26 아름다운 우리 저고리] 파이낸셜타임스 2011-06-26, 2011-07-31 검색해봄
.</ref> 으로서 여전히 한복 연구의 중심축을 차지하고 있다. 팔과 상체를 덮는 저고리는 그 부위에 따라 길, 깃, [[동정]], [[옷고름|고름]], 소매 등으로 구성된다.<ref>[http://www.thingskorean.com/kor/contents/clothes/man.asp 저고리] ThingsKorean.com 2011-07-31 검색해봄.</ref> 깃은 앞몸판에서 뒷몸판까지 연결되어<ref>[http://costumekorea.culturecontent.com/age/search_age.asp?code=CP0213300027&age=3&mode=view&navi=저고리&where=dress&gotopage=1&pagemode=search_result 저고리] 2011-07-31 검색해봄.</ref> 보통 깃은 목둘레를 장식하며 섶은 저고리의 좌우에 각각 달려 몸을 여미는 역할을 한다. 옷고름은 의복을 리본형태로 묶어 정돈하는 목적이지만 후대에 갈수록 저고리의 길이는 짧아지고 옷고름은 점차 길어지면서 장식적인 역할을 하였다. 또한 동정은 의복의 관리면에서 세탁하기에 편리한 방법으로 이용된 기능적인 역할을 하는 부위로 저고리의 단정함을 결정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34번째 줄:
=== 바지 ===
{{본문|바지}}
[[파일:Gama2 crop.jpg|thumb섬네일|137x137px|가마를 이는 남자들]]
바지는 한복에서 하의를 가리킨다. 꼭 여성이 입어서는 안 된다는 법은 없으나 대개 남자 한복을 지칭하며 사실 한복이 아니더라도 [[청바지]] 등의 일반적인 의복을 가리킨다. 한복의 바지는 6세기까지 신분의 차이 없이 그냥 바지부리를 여맸으나 7세기부터는 여매는 것 대신 선으로 두르는 형태가 생겨난다.<ref>박선희, 《한국고대복식》,지식산업사, 2002년. 제2부 한국복식의 원형 부분 참조.</ref> [[조선왕조실록]]에서는 겹고, 단고 혹은 단순히 고로 표기하고 있다. 겹고라는 의미는 겹바지임을 가리킨다.<ref>김은정, 〈남자 한복 바지의 구성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44호(2005), 910-911쪽</ref>
 
58번째 줄:
 
== 역사 ==
[[파일:Danwon-Ssireum.jpg|thumb섬네일|right|150px|단원 [[김홍도]]의 민속화 씨름]]
한복의 시초를 보면 고대 동북아시아의 스키타이-시베리아 문화에서 건너온 것으로 유목민의 다양한 의상 중의 하나로 그 뿌리를 찾을 수 있다.<ref>김문자, 《한국복식문화의 원류》, 1994, 7-15</ref><ref>이경자, 《우리옷의 전통양식》,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3, "소개하는 글"에서 발췌</ref> 동북아시아에서 발견되는 가장 초기 증거는 [[흉노]]족의 집단 매장지인 노인 울라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몽골]] 북부에 위치한다.<ref>유순례, 〈몽골과 한국의 전통복식 미의식 비교에 대한 연구〉, 한국복식사연구회,2006, v. 6, 183-185쪽</ref> 한편, 한복 자체의 디자인과 관련해 가장 오래된 증거는 기원전 3세기 전 [[고구려]] 벽화에 담겨 있다.<ref>Nelson, Sarah,《''The archaeology of Kore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3, {{ISBN|0-521-40783-4}},7쪽, 213-214쪽</ref><ref>{{언어링크|en}} [http://www.arirang.co.kr/News/News_Print.asp?type=news&nseq=68777 Faces of Korea- Hanbok] 아리랑TV 2007-02-15</ref>
 
100번째 줄:
 
=== 조선 시대 ===
[[파일:Miindo-Yun.family.of.Haenam-d1.jpg|thumb섬네일|left|150px|조선후기 한복]]
 
조선 초 한복은 소매가 헐렁한 형태로 나타났으며 실례를 보여주는 유물은 [[박익]](1332–1398)의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8&aid=0000098196 묘] 에서 발굴된 벽화이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3,04590000,38&queryText=(`박익`) 밀양고법리박익벽화묘 ( 密陽古法里朴翊壁畵墓 )]. 문화재청</ref><ref>조유전, 이기환, 《한국사 미스터리》, 황금부엉이. 2004년. 102-106쪽 참고</ref> 조선은 개국 후 [[유교]]를 통치 이념으로 삼았으므로 복식에서도 계층적 신분질서를 여러 모로 규정하여 치마의 경우 조선 전기에 출토된 [[스란치마]]는 [[명나라]] 시대의 치마와 거의 유사하고 화문 또한 유사성이 많았다. 그러면서 저고리의 길이는 길어지고 치마는 허리에서입는 형태여서 폭이 넓어지다가<ref name="임경화"/> 16세기 들어 저고리는 허리 윗부분으로 그 길이가 짧아졌으며 좀 더 가슴 부분으로 올라갔다.
111번째 줄:
일제 시대에는 소위 [[신여성]]들이 짧은 치마에 흰 저고리를 입어 개량한복의 시초가 나타났고 한동안 이러한 형태의 복장이 신여성의 복식을 상징적으로 나타내게 되었다.<ref>허영란, 《일상생활로 본 한국근현대사》, 2006년, 책과함께, 37쪽</ref>
 
[[파일:Korea02WPC.jpg|right|thumb섬네일|170px|[[한국 전쟁]] 당시 한복을 입은 노인 (경기, 안양)]]
 
[[1960년]]대까지도 한복을 입은 시민들의 활보하는 장면을 목격할 수 있었다. 그러나 [[1980년]]대부터 양복과 옷감의 보급화가 확산되면서 한복은 서서히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117번째 줄:
오늘날에는 일반적으로 한복을 [[명절]]이나 특수한 날에만 입게 되었으며 사람들이 편하게 입을 수 있는 [[생활 한복]]이 보급되기 시작했다. 1984년, 한 한복 디자이너가 개량된 한복을 작품으로 발표한 것을 시초로<ref>이덕희, 《하와이 이민 100년사:그들은 어떻게 살았나》, 중앙M&B, 2005년. 66쪽</ref> 비슷한 형태가 대중에게 선보이게 되었다. 개량한복은 기존 한복과 달리 저고리의 고름이 착용에 용이하도록 단추로 대체됐고 부피가 큰 치마를 서양식 의복과 접목하여 움직임에 불편함이 없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파일:Korea-History-1910-1920-Korean.mother.child-Carpenter.Collection.jpg|left|thumb섬네일|180px|한복을 입은 모녀(1910~20년대로 추정)]]
 
1970년대 이후 한복은 그 기능이 예복으로 국한되면서 생활보다는 미적인 기준을 강조해 이를 계승하려는 노력과 함께 좀 더 창조적인 면모를 두드러지게 하도록 한복이 변화되었다. 이에 따라 더욱 원색적이고 라인을 살리는 형태<ref>이경자, 《노리개》,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5년. 19쪽</ref> 의 한복이 등장했다. 1980년대에는 1986년 아시안 게임, 1988년 서울올림픽 등을 전후로 해 여러 단체들의 한복 입기 운동 전개로 많은 관심을 얻었으며 한복에 대한 재조명이 시작된다.<ref name="임경화">[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c8f2a0d0c6ad8f6d# 치마의 장식요소와 표현성에 관한 연구 : 조선시대부터 2001년까지] 임경화, 가톨릭대학교대학원 의류학전공 2002년, 104쪽, 114-116쪽</ref><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33&aid=0000003363 긴조 9호세대 비사-굿판을 벌여라] 주간경향 2004-02-27</ref> 1996년 문화관광부가 시작한 "한복입는 날" 행사는 대중의 한복에 대한 관심을 이끌어낸 사건으로 평가받고 있다.<ref>안병선, 《21세기 황금시장 문화산업》 매일경제신문사, 2000년, 115쪽</ref><ref>김병욱, 《재테크 창업 가이드》, 킴스정보연구소, 2004년, 32쪽</ref>
128번째 줄:
 
== 외래 문물의 영향 ==
[[파일:Korean.Dance-01.jpg|right|thumb섬네일|200px|몸에 달라붙게 하고 움직임을 용이하게 한 현대한국무용복]]
외래 문물의 영향은 상류층의 주도로 일어났으며 전통 한복과는 구분지어졌다. 조선 후기에 들어서면서 서구 문물의 영향을 받아 한복에 가미된 경우도 생겨났으며 이는 20세기 이후에도 계속적으로 시도되고 있다.<ref name="hankook"/>
 
140번째 줄:
 
== 한복의 세계화 노력 ==
[[파일:Park SulNyeo Hanbok 22.jpg|thumb섬네일|left|한복을 체험하는 외국인]]
대한민국의 [[문화]] [[컨텐츠]]가 [[아시아]] 국가들에 많이 소개되면서 대한민국을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들이 한복을 입어보는 행사나 한복을 사가는 경우가 상당히 늘어나고 있으며<ref>{{언어링크|en}} [http://www.theepochtimes.com/n2/life/the-traditional-hanbok-in-the-modern-world-57554.html The Traditional Hanbok in the Modern World] Epoch Times 2011-06-12, 2011-09-01 검색해봄</ref> 비슷한 예로 [[중화인민공화국|중국]]의 신혼 부부들이 한복을 예단의 한 종류로 구매하는 경우도 적잖게 나타나고 있어<ref>[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1021446111 "100조원대 中웨딩시장…웨딩韓流 가능성 확인했죠"] 한국경제, 2011-02-15, 2011-08-03 검색해봄.</ref> 현지 업체와 한복 업체가 제휴하여 활동하고 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2998124 안근배한복대여, 중국기업 '웨이투'와 수출 계약 체결] 뉴시스, 2009-12-14, 2011-08-03 검색해봄.</ref>
 
155번째 줄:
 
== 쓰임에 따른 구분 ==
[[파일:Joseon-Portrait of Cha Jegong-Black danryeongpo.jpg|thumb섬네일|160px|18세기 흑단령포]]
어느 의복이든 때에 따라 입는 형상과 모습은 달라진다. 한복도 마찬가지로 신분에 따라 그 옷의 문양과 자수가 달라지는 한편 여러 의상의 배합과 성격도 달라졌다. 때문에 관혼상제의 기준에 따라 관복과 혼례복, 상복, 제례복이 달리 나타났다. 그러나 특정 의복이 꼭 관복이나 혼례복에만 쓰이는 경우만 있지는 않았으므로 관복의 일종<ref>[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502211743121&code=940100 학위복도 패션시대] 경향신문 2005-02-21</ref> 이었던 [[앵삼]]은 궁중무용에 쓰이는 옷이기도 한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21&aid=0000060245 정통 궁중무용 연극으로 재구성 ‘실험’] 문화일보 2004-02-17</ref>
 
182번째 줄:
 
=== 혼례복 ===
[[파일:Korean.costume-Hanbok-wedding.bride-01.jpg|thumb섬네일|left|110px|활옷]]
말 그대로 결혼식을 할 때 입은 한복을 뜻한다. 전통 혼례 시 신부는 다홍[[치마]], 연두색 [[회장저고리]]에 [[원삼]]이나 [[활옷]]을 입고 [[큰머리]]를 얹고 [[용잠]]을 꽂으며 [[도투락 댕기]]{{#tag:ref|댕기의 일종으로 원래는 여자 아이가 길게 늘어트리고 다니던 자줏빛 댕기를 말하지만 궁중이나 양반가문에서 신부가 원삼이나 활옷의 혼례복을 입고 족두리나 화관을 쓸 때 쪽진 머리의 뒤쪽에 붙인 것이다. 이 때에는 [[원삼]]이나 [[활옷]]의 혼례복을 입고 쪽진 머리의 뒤쪽에 간이로 붙여 댕기를 더 길게 보이도록 내렸다.<ref>장승욱, 《한겨레 말모이》, 하늘연못, 1997년, 107쪽</ref>|group="주해"}}를 늘이고 [[화관]]이나 [[족두리]]를 쓴다. 거기다 손을 감추기 위해 길게 덧댄 소매인 [[한삼]]을 착용했다. 신랑은 [[바지]]·[[저고리]]·[[조끼]]·[[마고자]]·옥색 [[두루마기]]·[[각대]]·[[사모관대|사모]]를 쓰고 [[포선]]을 손에 든다.<ref>{{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2|주소=http://donation.enc.daum.net/wikidonation/ency.do?vol=008&code=005002002000000000 |제목=옷의 종류}}</ref>
 
198번째 줄:
== 착용자에 따른 구분 ==
=== 남자 한복 ===
[[파일:Draft of maleHanbok.png|thumb섬네일|right|200px|남자 한복의 도안]]
남자 한복은 [[마고자]], [[두루마기]], [[행전]]으로 이루어지며 입는 순서는 바지, 저고리, 조끼, 마고자 순이다.<ref>[http://news.donga.com/3/all/20100212/26137390/1 한복 입으려면 제대로 입어라] 동아일보 2010-02-17</ref> 외출 시나 세배, 차례, [[제사]] 등 의례에는 장소가 실내라 할 지라도 두루마기를 입는 것이 예의이다.<ref name=cj>[http://www.cjstory.com/story/story_view.html?cont_id=20091100204900 맷시나는 우리 옷, 구석구석 정겨워라], 생활 속의 이야기 151호 14쪽, 2009년, CJ제일제당</ref><ref>[http://www.segye.com/Articles/NEWS/CULTURE/Article.asp?aid=20110131001416&subctg1=&subctg2= 한복 맵시있게 입는 법] 세계일보 2011-01-31</ref>
 
234번째 줄:
 
=== 아이들의 한복 ===
[[파일:Hanbok.jpg|thumb섬네일|right|150px|한복을 입은 아이들]]
[[파일:Baby's Hanbok.jpg|thumb섬네일|right|150px|아이들의 한복]]
 
과거 어린 아이들은 [[설빔]]의 일종으로 [[설날]]에 까치저고리를 입었다. 사실 까치저고리는 색동 저고리의 별명으로 액땜을 하고 복을 비는 의미이며 보통 오색을 이루는 색의 배합은 온 우주를 상징한다. 보통 남자 아이는 남색, 여자 아이는 자주색 돌띠를 둘러 입힌다.<ref name="우리옷만들기">심화전, 《우리옷만들기》, 성신여자대학교 출판부, 2004년, 14,91,175쪽</ref> 만약 옷 위에 두루마기를 둘러 입으면 까치 두루마기로 불린다.
254번째 줄:
 
==== 색상 ====
[[파일:Korean traditional clothes-Hanbok-01.jpg|right|thumb섬네일|150px|다채로운 치마와 저고리의 색깔]]
상류층이 입었던 한복은 색감이 아주 다양했으며 보통 어린 아이들이 다홍색이나 노란색 등 밝은 색을 많이 입고 중년층은 조금 더 중후한 색상을 즐겨 입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평상시 흰색 한복만을 입었고 황색은 황제의 색이라 하여 사용이 금기시 되었으며 금박, 자수 등도 궁중가례복<ref>[http://www.riss.kr/search/download/FullTextDownload.do?control_no=b701a5e15f69c3ee&p_mat_type=1a0202e37d52c72d&p_submat_type=&fulltext_kind=&t_gubun=&convertFlag=&naverYN=&colName=re_a_kor&DDODFlag=&loginFlag=1 조선시대 궁중가례복식 중 왕비복을 응용한 현대복식DESIGN 연구] 박희정, 간호섭, 디자인포럼21 4권(2001), 153쪽</ref> 등에서 쓰여 서민복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다. 그러나 색에 대한 기준과 계급에 따른 분별은 시대마다 약간의 차이가 존재했다.<ref>[http://www.riss.kr/search/download/FullTextDownload.do?control_no=bb5bc0b567b26d62ffe0bdc3ef48d419&p_mat_type=1a0202e37d52c72d&p_submat_type=&fulltext_kind=&t_gubun=&convertFlag=&naverYN=&colName=re_a_kor&DDODFlag=&loginFlag=1 한국 고유의상의 멋] 고복남, 교수아카데미 총서 7-1, 일념, 1994년, 4-5쪽</ref>
 
266번째 줄:
 
==== 자수 ====
[[파일:Korean embroidery-Joseon Dynasty-Hyungbae-Rank badge-01.jpg|thumb섬네일|left|180px|[[흉배]]에 놓인 자수. 수놓은 모양으로부터 무관(호랑이), 당상관(두마리)임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동양 자수는 페르시아 문명에서 유래하여 [[실크로드]]를 거쳐 중국으로 유입되었고 후에 한반도로 유입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ref name="임경화"/> 현재까지 중국처럼 고대의 자수가 발견된 사례는 없으나 삼국사기에 기록된 바 고구려 귀족들은 공사 시 자수가 된 비단옷을 즐겨 입었으며 특별히 독특한 기마 민족의 자수를 만들어냈다.<ref>김원용, 《한국미의 탐구》, 열화당, 1978년. 51쪽</ref> 이에 반해 백제는 신라를 견제하고 중국과 고구려와 통했기 때문에 남북조의 영향을 두루 받아 연화, 인동당초, 와운문 등 섬세하고 단순한 형태의 자수가 많았다.<ref>이강성, 《공예총론》, 수학사, 1970년. 161-162쪽.</ref> 통일신라시대가 되자 사회통합을 위해 더욱 장려되던 [[불교]]의 영향을 받은 자수가 성행하고 고려 시대에도 국교였던 불교의 영향이 지속적으로 발현되어 국화, 연꽃, 단풍, 대나무, 매화, 사신상 등 다채로운 문양이 등장하게 된다.<ref>박봉관, 〈전통 의상에 표현된 현대적 감성의 문양에 대한 연구 : (드라마 '황진이'의 의상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아트퓨전디자인대학원, 2007년 28-29쪽.</ref> 조선 시대에 이르러 한국다운 자수가 등장하게 되었으며 불교의 영향에서 벗어나 평민들도 자유롭게 자수를 꾸리면서 민간에서도 그 비중이 확대되고 드넓어진다. 일례로 궁내에는 자수를 전담하는 수방이 생길 정도로 아름다움에 대한 의식이 높아져 금박, 은박 등을 하여 권위를 나타냈다.<ref name="이현숙">[http://www.riss.kr/search/download/FullTextDownload.do?control_no=36494c6dccf399bcffe0bdc3ef48d419&p_mat_type=be54d9b8bc7cdb09&p_submat_type=f1a8c7a1de0e08b8&fulltext_kind=dbbea9ba84e4b1bc&t_gubun=&convertFlag=&naverYN=&colName=bib_t&DDODFlag=&loginFlag=1 현대 한복의 장식성에 관한 연구 : 1986~1997년을 중심으로] 이현숙,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96-97쪽. 2005년.</ref>
 
272번째 줄:
 
==== 박 장식 ====
[[파일:Korea-Geumbak.on.Hanbok-01.jpg|thumb섬네일|right|200px|금박이 놓인 한복의 치마폭]]
박 장식은 아주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고조선]] 때의 청동기는 수은을 바르고 그 위에 금박 혹은 은박을 하여 열을 가해 수은을 증발시켜 도금하는 방법을 썼다.<ref>청아출판사, 《한권으로 정리한 이야기 한국고대사》, 2000년, 42쪽</ref>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박 장식은 여자 한복에 많이 쓰여 치마나 저고리를 장식하는 역할을 했다. 금박과 은박이 대표적이며 금박(金箔)은 [[금]]으로 문양을 새긴 것으로서 보통 '박'이란 한지를 대어 밑그림을 그리고 조각하여 문양을 만드는 것을 뜻했다.<ref>[https://www.knowledge.go.kr/SearchSF1/search_view.jsp?mdno=33513391&nowurl=https%3A%2F%2Fwww.knowledge.go.kr%3A443%2FSearchSF1%2Fsearch_result.jsp%3FcolAlltrue%3D%26rccollection%3Dall%26inSearch%3Dblock%26startCount%3D0%26page%3D1%26resultcount%3D%26reqkind%3D0%26collection%3Dall%26sortOrder%3D1%26mType%3Dall%26searchText%3D%25ED%2595%259C%25EB%25B3%25B5%2B%25EB%25AC%25B8%25EC%2596%2591%26reSearch%3D%25EB%25B0%2595%26mc_collection%3Dall%26notLog%3DN%26resourcecodeex%3Dall%26detail%3Dnone%26sortField%3DRANK%26tType%3Dall 전통 문양을 응용한 생활한복 디자인에 관한 연구] 채송화, 2006년, 국민대학교</ref> 실제로 박으로 장식하는 부분을 살펴보면 금박은 저고리의 깃에 쓰는 경우가 가장 많지만 고름과 함께 쓰이고<ref>[https://www.knowledge.go.kr/SearchSF1/search_view.jsp?mdno=1398254&nowurl=https%3A%2F%2Fwww.knowledge.go.kr%3A443%2FSearchSF1%2Fsearch_result.jsp%3FcolAlltrue%3D1%26rccollection%3Dall%26inSearch%3Dblock%26startCount%3D120%26page%3D1%26resultcount%3D10%26reqkind%3D0%26collection%3Dall%26sortOrder%3D1%26mType%3Dall%26searchText%3D%25ED%2595%259C%25EB%25B3%25B5%2B%25EA%25B8%2588%25EB%25B0%2595%26reSearch%3D%26mc_collection%3Dall%26notLog%3DN%26resourcecodeex%3Dall%26detail%3Dnone%26sortField%3DRANK%26tType%3Dall 공단 저고리(부분금박)] 2011-08-03 검색해봄.</ref> 치마 아래의 경우에는 맨 밑단을 따라서만 수를 박을 하거나 두루두루 박을 할 수도 있었다. 금박은 반드시 옷에 쓰인 것이 아니며 주머니, 수저집, 향낭, 댕기 등 다채로운 경우에 쓰여 지니고 다녔다.<ref>[http://www.emuseum.go.kr/relic.do?action=view_d&mcwebmno=00090008 귀주머니] 2011-08-03 검색해봄.</ref><ref>[http://www.emuseum.go.kr/relic.do?action=view_d&mcwebmno=00112416 십장생 수저집] 2011-08-03 검색해봄.</ref>
 
283번째 줄:
 
=== 머리장식 ===
[[파일:Gache002.jpg|left|140px|thumb섬네일|여성의 가발 일종인 가체]]
{{참고|쓰개}}
남자와 여자 모두 결혼하기 전까지는 머리를 땋아 내리고 다녔으며 남성의 경우 결혼 후 [[상투]]를 틀어 머리 위에 묶었고 여자의 경우 머리를 목 뒷부분 바로 위에 동그렇게 말아서 두었다.
309번째 줄:
 
==== 아얌·조바위 ====
[[파일:Korean hat-Ayam-01.jpg|top|thumb섬네일|left|100px|아얌]]
아얌과 조바위는 추위를 막기 위해 부녀자들이 두르던 머리 장식으로서 일종의 방한모이다. 두 종류 모두 위는 트이고 귀를 덮이도록 생겼으며 귀부분에는 털이 달리게 되어 있었다. 뒤에는 아얌드림을 늘어트려 띠처럼 내려오게 했다. 두 종류 모두 머리장식이지만 아얌의 경우에는 귀를 덮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는 데 차이가 있다. 아얌과 조바위가 별 구분없이 쓰이다 아얌은 조바위가 널리 퍼지면서 급속히 사라져 한복의 구성 요소 중에서는 가장 빨리 사라지게 됐다. 때문에 방한용 모자의 일종으로 조바위는 조선 말기 양반층에서 서민에 이르기까지 널리 사용되었다.<ref>김지영,《규방공예》, 컬처라인, 2000년, 141쪽</ref> 귀를 덮는 부분은 안으로 약간 오그라들게 하고 바람을 막도록 천을 덧대었다. 색에는 두 종류가 명확히 구분되지는 않으나 조바위의 경우 안감과 겉단 색을 다르게 하였으며 겉에는 검정색이나 자주색을 쓰는 대신 안감은 남색이나 흑색, 자주색을 썼다.<ref name="이상희">이상희, 《꽃으로 보는 한국문화》, 넥서스, 2004년, 102쪽, 141쪽.</ref> 영국의 화가 [[엘리자베스 키스]]는 1920년대 서울 풍경이 조바위를 쓰고 있는 한국 여인의 모습과 같다고 쓴 바 있다.<ref>[[엘리자베스 키스]], 송영달 역. 《엘리자베스 키스의 코리아:1920~1940년대》, 책과함께, 2006년, 30쪽.</ref>
 
315번째 줄:
 
=== 노리개 ===
[[파일:Samjak Norigae.jpg|thumb섬네일|right|140px|삼작노리개]]
가장 흔히 알려진 한복의 장신구는 노리개로서 노리개는 한복 저고리의 고름 또는 치마허리에 차는 여성 장신구의 일종<ref>[http://stdweb2.korean.go.kr/search/List_dic.jsp 노리개] 국립국어원 검색결과 2011-07-31 검색해봄.</ref> 이다. 그 속뜻은 "소중한 물건", "사랑하고 즐기며 아끼는 물건"이라는 의미를 지닌다.<ref>이경자, 《노리개》, 2005년,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2-13쪽</ref> 노리개는 신분에 관계 없이 거의 대부분의 여자들이 착용했으며 신라 시대와 고려 왕조 동안에는 허리띠 쪽에 찼던 것이 조선시대에는 저고리가 짧아지면서 저고리 아래 부분으로 그 위치가 올라오게 된 것으로 추정된다.<ref>[http://www.emuseum.go.kr/relic.do?action=view_d&mcwebmno=117103 노리개] e-museum 2011-07-31 검색해봄.</ref>
 
330번째 줄:
{{본문|보자기}}
{{참고|조각보}}
[[파일:Bojagi for queen.jpg|thumb섬네일|left|180px|왕비가 사용했던 보자기]]
보자기는 그 역사가 [[삼국시대]] 때부터 시작<ref>[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00625021011 한국인 첫 시카고예술대 名博 이성순 소마미술관 명예관장] 서울신문 2010-06-25</ref> 했으나 그 사용과 발전은 조선 시대에 많이 이뤄져<ref>[http://www.bookrags.com/research/pojagi-ema-04/ 보자기] 2011-08-15 검색해봄</ref> 궁중에서는 보의 쓰임새에 따라 부르는 이름도 세분화되어 있었다. 한복에 어울리는 장신구의 의미로서 물건을 싸는 용도였던 보자기는 복을 쌓아둔다는 의미를 지녀 무속 신앙과 관련된 사람들의 믿음을 나타내는 한편, 무엇인가를 정성스레 싸 둔다는 의미를 지니기도 했으므로 예물을 싸는 혼례용 보자기의 경우 그 아름다움도 더욱 가미됐다.<ref>[http://www.riss.kr/search/download/FullTextDownload.do?control_no=42cfecfb7342df31&p_mat_type=be54d9b8bc7cdb09&p_submat_type=f1a8c7a1de0e08b8&fulltext_kind=dbbea9ba84e4b1bc&t_gubun=&convertFlag=&naverYN=&colName=bib_t&DDODFlag=&loginFlag=1 조각보의 이미지를 형상화한 장신구 조형 연구] 조상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05년. 11-15쪽</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