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포 이론: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날짜 변수 정리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1번째 줄:
[[파일:Blausen 0208 CellAnatomy.png|thumb섬네일|세포의 구조]]
'''세포 이론'''('''세포설''', {{llang|en|Cell theory}})은 [[생물학]]에서 [[세포]]의 고유한 특성을 설명하는 [[과학 이론]]이다. 세포는 모든 [[생물]]의 기본 단위이자 재생산의 단위이기도 하다. 17세기 [[현미경]]의 발명과 그 이후 계속하여 이루어진 개량으로 세포의 발견과 관찰이 가능하게 되었다. 세포의 발견에는 [[로버트 훅]]이 큰 기여를 하였으며, 이후 세포에 대한 연구로 [[세포생물학]]이 성립하게 되었다. 세포의 발견 이후 과학자들 사이의 논쟁을 거쳐 세포가 생물의 기본 단위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1838년 [[마티아스 야코프 슐라이덴]]과 [[테오도어 슈반]]이 세포 이론을 발표하였고, 이후 [[루돌프 피르호]]와 같은 과학자들이 이론의 발전에 기여하였다. 세포 이론은 생물학의 기초 지식으로 자리잡고 있다.
 
8번째 줄:
 
== 현미경 ==
[[파일:Leeuwenhoek Microscope.png|thumb섬네일|[[안톤 판 레이우엔훅]]이 17세기에 제작한 270 배율의 현미경]]
현미경이 발명되고 미시적인 대상을 관찰할 수 있게 되어서야 비로소 세포를 발견할 수 있었다. 확대경은 이미 고대 로마 시기부터 사용되었고, 12세기 이탈리아의 살비노 다르마테는 한쪽 눈에 끼워서 볼 수 있는 루페를 발명하여 보다 세밀한 대상을 관찰하게 되었다. 1590년대 네덜란드의 안경제작자 [[자하리아스 얀센]](Zacharias Jansen)은 9배율의 확대경을 제작하여 현미경에 근접하였지만 촛점이 잘 맞지 않아 대상을 또렷하게 볼 수는 없었다. 1595년 얀센과 그의 아버지는 두 개의 렌즈를 사용하여 최초의 [[광학현미경]]을 제작하였다.<ref name="Microscope History">{{웹 인용|title=History of the Microscope|url=http://www.history-of-the-microscope.org/history-of-the-microscope-who-invented-the-microscope.php|publisher=History-of-the-microscope.org, United Kingdom|accessdate=24 April 2014}}</ref> 1665년 로버트 훅은 6 인치 길이의 경통에 대물 렌즈와 대안 렌즈를 부착하고 경통 내부에 반사경을 설치한 현미경을 발명하여 그의 책 《[[마이크로그래피아]]》에 수록하였다. 훅은 또한 반사경을 사용하지 않은 단일 렌즈 현미경도 제작하였는데, 보다 선명한 상을 얻기 위한 것이었다.<ref name=Gest>{{저널 인용
| pmid = 15209075
27번째 줄:
 
== 세포의 발견 ==
[[파일:Cork Micrographia Hooke.png|thumb섬네일|left|로버트 훅이 《마이크로그래피아》에 수록한 [[코르크]]의 조직 소묘]]
 
세포는 1665년 [[로버트 훅]]이 처음으로 발견하여 《마이크로그래피아》에 수록하였다. 훅은 이 책에 그가 관찰한 60 건의 다양한 생물 그림을 실었다.<ref name=Gest /> 그 중 하나는 코르크 병마개를 아주 얇게 저며 관찰한 것이는데, 훅은 코르크 조직에서 보이는 격자를 “세포”(cell)라고 불렀다. cell은 라틴어 cella에서 연원한 낱말로 작은 방을 뜻하였다. 훅의 시대에 cell은 벌집의 방과 같은 것을 가리키는 낱말로 쓰이고 있었다. 그러나 훅은 그가 관찰한 구조가 갖는 기능을 알지는 못하였다.<ref>{{서적 인용|author=Inwood, Stephen |title=The man who knew too much: the strange and inventive life of Robert Hooke, 1635–1703 |publisher=Pan |location=London |year=2003 |page=72 |isbn=0-330-48829-5}}</ref> 훅이 세포라고 생각한 것은 실은 살아있는 조직은 모두 사라지고 [[세포벽]]만 남은 빈 공간이었다. 당시 현미경의 배율이 그리 크지 않았기 때문에 훅은 세포안의 더 작은 구조들을 관찰할 수는 없었다. 따라서 훅은 세포가 살아있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도 없었다.<ref name="Becker, Wayne M.; Kleinsmith, Lewis J. and Hardin, Jeff 2003 1">{{서적 인용|
66번째 줄:
 
=== 세포막 이론의 발전 ===
[[파일:Cell membrane drawing-en.svg|thumb섬네일|세포막의 구조]]
세포의 [[삼투]], 삼출, 전기적 특성 등의 연구가 진행되면서 두 가지 대립되는 개념이 발전되었다.<ref>{{서적 인용|last=Ling|first=Gilbert N.|title=In search of the physical basis of life|date=1984|publisher=Plenum Press|location=New York|isbn=0306414090}}</ref> 하나는 이러한 현상들이 [[세포막]]의 특성 때문에 일어나는 것이란 견해였고, 다른 하나는 [[원형질]]이 보다 중요한 원인이라는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