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야사학: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중립적인 서술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재야사학'''(在野史學)에 대해서는 뚜렷한 정의가 내려져 있지 않다. 향토사(鄕土史) 연구를 '''향토사학''' 또는 재야사학이라 했고, 지금도 그렇게 쓰이는 경우가 있다. 보통 다른 전공의 연구가들이 연구하는 사학을 재야사학이라고 부른다.
 
[[1978년]] 국사교과서의 한국 고대사를 둘러싼 [[역사교과서 파동 (대한민국)#고대사 논란|논쟁]]에 대한 보도에서 ‘이른바’ 또는 ‘세칭(世稱)’과 함께 ‘재야사학’이라는 단어가 처음 등장하는데, 대학에 소속되지 않았거나 학회에 가입하지 않은 학자들을 ‘재야(在野)’라 불렀다고 설명하였다.<ref>이것이 韓國古代史다 (1) 說話와 正史 혼동말아야, 《경향신문》, 1978.11.17.</ref><ref>民族史의 在照明, 《경향신문》, 1979.1.9.</ref> 이후로 사학계의 일반적인 [[역사]]의 연구 방법과 절차를 달리하여 학계에서 위서(僞書)로 인식하는 환단고기를 연구하는 사람들도 재야사학자라고 불리우지만 사학이 전공이 아닌 자들이 역사를 연구하는 것을 보통 '재야사학가' 또는 ‘재야연구가’라고 부르며 이들의 역사 연구를 ‘재야사학’이라 부르고 있다. 요새는 환단고기라고 위서로 의심되는 사서를 연구하는 자들도 재야사학이라고 부른다.하지만 주류 사학계에서도 여러 민족적인 주장을 하는 학자들도 많아 무조건 민족 사관의 시각을 가진 자들을 재야사학이라고 비하하지는 않는다.
 
== 주요 연구 내용과 방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