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균관대학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편집 요약 없음
4번째 줄:
|그림 = 600 Anniversary Hall (3).JPG
 
|표어 = 교시 : 인의예지(仁義禮智)<br />건학 이념 : 수기치인(修己治人)
|설립 = [[1398년]]([[성균관]] 설립)<ref>원래 성균관은 [[고려]] 최고 국립교육기관이었던 [[국자감]]의 이름이[[이름]]이 바뀐 것이었으나 성균관대학교가 설립될 당시 설립자인 [[김창숙]]이 개교연대를 [[개성 성균관이성균관]]이 [[조선]]의 도읍인 한양으로 옮겨온 1398년으로[[1398년]]으로 잡았다. 참고로 성균관의 한양 이전 후 남은 개성 성균관은 향교로 격하되었다.</ref><br/>[[1946년]](성균관대학 설립)
|종류 = [[사립 대학|사립]]
|총장 = [[정규상 (1952년)|정규상]]
|학문제휴=[[OCUC]]
|국가 = {{KOR}}
|위치 = '''인문사회과학캠퍼스'''<br />[[서울특별시]] [[종로구]] [[성균관로]] 25-2<br />'''자연과학캠퍼스'''<br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서부로 (오산 수원)|서부로]] 2066
|규모 = 2캠퍼스<br />교지: 1,310,352m<sup>2</sup><br />교사: 500,774m<sup>2</sup>
|학부 = 19,224명 (2016 재학생 기준)<ref name="현황">[http://www.skku.edu/index_pc.jsp 대학정보 - 현황] - 성균관대학교 홈페이지</ref>
|대학원 = 7,435명 (2016 재학생 기준)<ref name="현황"/>
|교직원수 = 6,628명 (2016)<ref name="현황"/>
|상징 = [[은행나무]]
|교색 = [[라임색|라임]] <span style="background:#8DC63F; width:50px; border:1px solid #000;">&nbsp;&nbsp;&nbsp;&nbsp;&nbsp;</span> [[파랑]] <span style="background:#072A60; width:50px; border:1px solid #000;">&nbsp;&nbsp;&nbsp;&nbsp;&nbsp;</span>
23번째 줄:
|웹사이트 = [http://www.skku.edu/ 성균관대학교 홈페이지]
}}
'''성균관대학교'''(成均館大學校, {{lang|en|Sungkyunkwan University}})는 [[대한민국]]의 [[사립 대학|사립]] [[종합 대학]]이다. [[1398년]] [[조선]]이 [[유교]] 건국이념에 따라 숭교방(崇敎坊)에 설립한 [[고려|고려시대]] 국립최고학부 [[성균관]](成均館)의 전통을 계승한다. [[성균관]]은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경학원]], [[명륜전문학교]] 등으로 격하되었다가 1943년에[[1943년]]에 폐교당했다. 그러나 [[1945년]]에 [[광복]]을 맞으면서 [[명륜전문학교]]가 부활하고<ref>[[:s:군정법령 제6호|군정법령 제6호]]</ref> 경학원이 성균관으로 명칭을 회복했다.<ref>[[:s:군정법령 제15호|군정법령 제15호]]</ref> 같은 해 11월 [[김창숙]]이 전국유림대회를 열어 전국에서 천여명의 유림들이 성균관 명륜당에 모였다. 이를 통해 일제가 박탈한 고등교육기관으로서의 기능을 회복하고자 대학 설립을 위한 '성균관대학 기성회'가 조직되고 '재단법인 성균관대학’이 설립되었으며, 이듬해인 [[1946년]] [[9월 25일]] [[대한민국 교육인적자원부|문교부]]에 의해 성균관대학이 정식으로 인가되어, 설립자인 [[김창숙]]이 초대 학장에 취임하였다. [[1953년]]에 [[종합대학]]으로 승격하고, [[1979년]]에는 [[경기도]] [[수원시]]에 자연과학캠퍼스를 신축하였다. [[1965년]]부터 [[삼성그룹]] [[이병철]]이 재단 이사장을 지냈으며, [[1979년]] 재단경영에서 손뗀 후, 봉명그룹(도투락)이 재단을 맡았으나, 열악한 재정상황으로 인해서 동문 및 [[재학생]]의 반발로 재단경영에서 물러난 후 한동안 재단없는 상황에 놓였다가 [[1996년 11월]]에 [[삼성그룹]]이 성균관대학교 재단을 재인수하였다. 현재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인문사회과학캠퍼스,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에 자연과학캠퍼스를 이원화하여 운영하고 있다. 교훈은 ‘인·의·예·지’이다.
'''성균관대학교'''(成均館大學校, {{lang|en|Sungkyunkwan University}})는 [[대한민국]]의 [[사립 대학|사립]] [[종합 대학]]이다.
 
[[1398년]] [[조선]]이 [[유교]] 건국이념에 따라 숭교방(崇敎坊)에 설립한 [[고려|고려시대]] 국립최고학부 [[성균관]](成均館)의 전통을 계승한다. [[성균관]]은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경학원]], [[명륜전문학교]] 등으로 격하되었다가 1943년에 폐교당했다. 그러나 [[1945년]]에 [[광복]]을 맞으면서 [[명륜전문학교]]가 부활하고<ref>[[:s:군정법령 제6호|군정법령 제6호]]</ref> 경학원이 성균관으로 명칭을 회복했다.<ref>[[:s:군정법령 제15호|군정법령 제15호]]</ref> 같은 해 11월 [[김창숙]]이 전국유림대회를 열어 전국에서 천여명의 유림들이 성균관 명륜당에 모였다. 이를 통해 일제가 박탈한 고등교육기관으로서의 기능을 회복하고자 대학 설립을 위한 '성균관대학 기성회'가 조직되고 '재단법인 성균관대학’이 설립되었으며, 이듬해인 1946년 9월 25일 [[대한민국 교육인적자원부|문교부]]에 의해 성균관대학이 정식으로 인가되어, 설립자인 [[김창숙]]이 초대 학장에 취임하였다.
 
[[1953년]]에 [[종합대학]]으로 승격하고, [[1979년]]에는 [[경기도]] [[수원시]]에 자연과학캠퍼스를 신축하였다. [[1965년]]부터 [[삼성그룹]] [[이병철]]이 재단 이사장을 지냈으며, 1979년 재단경영에서 손뗀 후, 봉명그룹(도투락)이 재단을 맡았으나, 열악한 재정상황으로 인해서 동문 및 재학생의 반발로 재단경영에서 물러난 후 한동안 재단없는 상황에 놓였다가 [[1996년 11월]]에 [[삼성그룹]]이 성균관대학교 재단을 재인수하였다. 현재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인문사회과학캠퍼스,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에 자연과학캠퍼스를 이원화하여 운영하고 있다. 교훈은 ‘인·의·예·지’이다.
 
== 역사 ==
=== 고전대학시대 (1398년 ~ 1894년) ===
[[파일:명륜당 Lecture Hall (1).jpg|230px|섬네일|왼쪽|명륜당]]
[[대한민국]]에서 국립 최고학부에 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고구려]] [[소수림왕]] 2년(서기 372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왕조시대 유일한 국립대학이었던 성균관대학교의 역사는 바로 이 고구려의[[고구려]]의 태학과[[태학]]과 맥락을 같이 하고 있다. 그러나 성균관대학교에서는 건학원년을 서기 1398년으로[[1398년]]으로 잡고 있다. 그 이유는 [[성균관]]이라는 교명과 현 학교 위치를 고려해서이다. 즉 조선조 개국 후 태조 [[태조 이성계]]는 한양에[[한양]]에 도읍을[[도읍]]을 정하고 중앙의 국립최고학부의 개설을 서둘러 동북방 숭교방(현재 인문사회과학캠퍼스에 위치)에 성균관을[[성균관]]을 설립하면서 이것이 성균관대학교 개교의 시초다. [[유교]]를 건국이념으로 해서 국립 최고학부로 설립된 성균관대학교는 역사의 변천에 따라 크게 고전대학시대와 근대대학시대로 나눌 수 있다. 그 중에 고전대학시대는 [[1398년]]에서 [[1894년]]까지를 말하며, 그 시대에는 전통적인 유학교육이 행해졌고, 제도적 운영도 고전적이었다. 그리고 근대대학시대는 [[1895년]]에서 현재까지를 말하며, 이 시대에는 유교이념에 기본을 두고 학문분야를 확대하여 유학 이외에 근대학문이 요구하는 광범위한 교육이 행해지고, 제도적 운영도 근대적인 것으로 전환 발전하여 왔다. 다시 고전대학시대를 다음과 같이 3기로 나눌 수 있다. 제1기는 건학기로 [[1398년]]에서 [[1494년]]까지 태조 때 [[성균관]]의 건립로부터 [[조선 성종|성종]]때까지가 이에 해당된다. 그 시기에는 [[성균관]]의 건립과 더불어 제도상의 정비, 운영상의 시책이 적극적으로 베풀어져 최고 국립대학의 체제가 완성되었다. 제2기는 정체기로 [[1495년]]에서 [[1724년]]까지, [[연산군]] 때부터 [[조선 경종|경종]] 때까지가 이에 해당한다. 그 시기에는 [[연산군]]의 폭정 가운데 하나로 [[성균관]]을 한 때 유연소로 삼았다가 [[조선 중종|중종]]이 즉위하면서 그것을 복구한 불미스러운 일이 있었다. 또 [[조선 선조|선조]] 때에는 [[임진왜란]]으로 [[성균관]]이 온통 소실되었다가 선조 34년에 [[문묘]]가 재건되고 다시 5년 후에는 명륜당이 중건되는 곡절을 겪었다. 제3기는 부흥기로 [[1725년]]에서 [[1894년]]까지, [[영조]] 때부터 [[갑오경장]] 때까지가 이에 해당되는데 이 시기에는 정치적, 문예적 부흥기를 맞아 [[성균관]]의 [[교육]]도 자못 활기를 띠었고, 또 실학자들에 의하여 교육제도에 대한 개혁론도 활발히 전개되었다.
* [[1398년]] - [[조선 태조]]성균관이[[성균관]]이 설립됨.
* [[1475년]] - [[성균관]] 내에 최초의 도서관인 [[존경각도서관]]인 존경각 설립.
* [[1519년]] - 대학의[[대학]]의 상징인[[상징]]인 [[은행나무]]가 심어졌으며, 후에 [[천연기념물]] 59호로 지정.
* [[1592년]] - [[임진왜란]]에 의해 [[문묘]]가 전소되었음.
* [[1601년]] - 선조에[[조선 선조|선조]]에 의해 문묘 재건.
 
=== 근대대학시대 (1895년 ~ 1944년) ===
[[유교]]를 건국이념으로 해서 국립 최고학부로 설립된 성균관대학교는 역사의 변천에 따라 크게 고전대학시대와 근대대학시대로 나눌 수 있다. 그 중에 고전대학시대는 1398년에서 1894년까지를 말하며, 그 시대에는 전통적인 유학교육이 행해졌고 제도적 운영도 고전적이었다. 그리고 근대대학시대는 1895년에서 현재까지를 말하며, 이 시대에는 유교이념에 기본을 두고 학문분야를 확대하여 유학 이외에 근대학문이 요구하는 광범위한 교육이 행해지고 제도적 운영도 근대적인 것으로 전환 발전하여 왔다.
근대대학시대도 크게 3기로 나눌 수 있는데 제1기는 개화기, 제2기는 수난기, 제3기는 발전기로 나눌 수 있다. 개화기는 1895년에서[[1895년]]에서 1910년까지[[1910년]]까지, 즉 [[을미년]] 성균관이[[성균관]]이 근대적인 대학으로 발족한 때부터 [[일제 강점기]] 때까지가 이에 해당된다. [[1895년]] 칙령으로 성균관에[[성균관]]에 3년제 경학과를 설치하고 [[역사학]], [[지리학]], [[수학]] 등 각종 강좌를 개설하는 동시에 교수임명제, 입학시험제, 졸업시험제를 실시하고, 학기제, 연간의 수업일수, 주당 강의시간수를 책정하는 등 제도상 근대적인 개혁을 단행하였다. 성균관은[[성균관]]은 고전대학으로부터 근대대학으로 일대 전환을 보게 되었다. 수난기는 [[1910년]] 일제에 의하여 [[경학원]] 안에 ‘명륜학원’이 설치되고, 다시 ‘명륜전문학원’으로 되었다가 [[1939년]] ‘명륜전문학교’로 승격되었다. 그러나 이 고등학교기관은 과거 최고국립대학인 [[성균관]]의 정통을 계승한 것으로는 볼 수 없다. 그 정통의 계승은 후에 성균관대학의 설립으로 실현되는 것이다. 그나마 명륜전문학교는 해방 1년 전인 [[1944년]] ‘명륜련성소’로 개편되어 그 [[빛]]을 잃게 되었다.
 
* [[1895년]] - 성균관은[[성균관]]은 현재와 같은 대학교의[[대학교]]의 형태로 3년제 대학으로 전환.
다시 고전대학시대를 다음과 같이 3기로 나눌 수 있다. 제1기는 건학기로 1398년에서 1494년까지 태조 때 성균관의 건립로부터 [[조선 성종|성종]]때까지가 이에 해당된다. 그 시기에는 성균관의 건립과 더불어 제도상의 정비, 운영상의 시책이 적극적으로 베풀어져 최고 국립대학의 체제가 완성되었다.
* [[1911년]] - [[조선총독부]]에 의해 경학원으로[[경학원]]으로 강제 개명.
* [[1930년]] - 경학원안에[[경학원]] 명륜학원을안에 [[명륜학원]]을 설치하고, 다시 ‘명륜전문학원’으로 개편.
* [[1939년]] - ‘명륜연성소’로 개칭.
* [[1942년]] [[3월 17일]] - ‘명륜전문학교’로 조선총독부에서[[조선총독부]]에서 인가 받았고, [[1943년]] [[12월 31일에31일]]에 폐교.
 
=== 현대대학시대 (1945년 ~ 현재) ===
제2기는 정체기로 1495년에서 1724년까지, [[조선 연산군|연산군]] 때부터 [[조선 경종|경종]]때까지가 이에 해당한다. 그 시기에는 연산군의 폭정 가운데 하나로 성균관을 한때 [[유연소]]로 삼았다가 [[조선 중종|중종]]이 즉위하면서 그것을 복구한 불미스러운 일이 있었다. 또 [[조선 선조|선조]]때에는 [[임진왜란]]으로 성균관이 온통 소실되었다가 선조 34년에 [[문묘]]가 재건되고 다시 5년 후에는 [[명륜당]]이 중건되는 곡절을 겪었다.
 
제3기는 부흥기로 1725년에서 1894년까지, [[조선 영조|영조]] 때부터 [[갑오경장]] 때까지가 이에 해당되는데 이 시기에는 정치적, 문예적 부흥기를 맞아 성균관의 교육도 자못 활기를 띠었고 또 실학자들에 의하여 교육제도에 대한 개혁론도 활발히 전개되었다.
 
* 1398년 - 조선 태조 때 성균관이 설립됨.
* 1475년 - 성균관 내에 최초의 도서관인 [[존경각]] 설립.
* 1519년 - 대학의 상징인 [[은행나무]]가 심어졌으며, 후에 [[천연기념물]] 59호로 지정.
* 1592년 - [[임진왜란]]에 의해 [[문묘]]가 전소되었음.
* 1601년 - 선조에 의해 문묘 재건.
 
=== 근대대학시대 (1895년 ~ 1944년) ===
근대대학시대도 크게 3기로 나눌 수 있는데 제1기는 개화기, 제2기는 수난기, 제3기는 발전기로 나눌 수 있다. 개화기는 1895년에서 1910년까지, 즉 을미년 성균관이 근대적인 대학으로 발족한 때부터 [[일제 강점기]] 때까지가 이에 해당된다. 1895년 칙령으로 성균관에 3년제 경학과를 설치하고 역사학, 지리학, 수학 등 각종 강좌를 개설하는 동시에 교수임명제, 입학시험제, 졸업시험제를 실시하고 학기제, 연간의 수업일수, 주당 강의시간수를 책정하는 등 제도상 근대적인 개혁을 단행하였다. 성균관은 고전대학으로부터 근대대학으로 일대 전환을 보게 되었다.
 
수난기는 1910년 일제에 의하여 [[경학원]] 안에 ‘명륜학원’이 설치되고, 다시 ‘명륜전문학원’으로 되었다가 1939년 ‘명륜전문학교’로 승격되었다. 그러나 이 고등학교기관은 과거 최고국립대학인 성균관의 정통을 계승한 것으로는 볼 수 없다. 그 정통의 계승은 후에 성균관대학의 설립으로 실현되는 것이다. 그나마 명륜전문학교는 해방 1년 전인 1944년 ‘명륜련성소’로 개편되어 그 빛을 잃게 되었다.
 
* 1895년 - 성균관은 현재와 같은 대학교의 형태로 3년제 대학으로 전환.
* 1911년 - [[조선총독부]]에 의해 경학원으로 강제 개명.
* 1930년 - 경학원안에 명륜학원을 설치하고, 다시 ‘명륜전문학원’으로 개편.
* 1939년 - ‘명륜연성소’로 개칭.
* 1942년 3월 17일 - ‘명륜전문학교’로 조선총독부에서 인가 받았고 1943년 12월 31일에 폐교.
 
=== 현대대학시대 (1945년 ~ 현재) ===
[[파일:김창숙 Statue.JPG|200px|섬네일|성균관대학교 창립자인 [[김창숙]]의 동상(인문사회과학캠퍼스 중앙학술정보관 앞에 위치)]]
발전기는 [[1945년]] 민족해방으로부터[[민족해방]]으로부터 현재까지이나, 그 중에서 제1 시기로는제1시기로는 성장기, 제2시기로 발전기, 제3시기로 확충기를 들 수 있다. 성장기는 단과대학시대라 할 수 있는데 1945년에서[[1945년]]에서 [[1953년]] 종합대학으로[[종합대학]]으로 승격 발전하기 직전까지가 이에 해당된다. 이 시기에는 우선 [[1945년]] 9월에[[9월]]에 해방과[[해방]]과 더불어 명륜전문학교를 부활시켰다. 그리하여 1945년 11월 전국유림대회가 열리고, 뒤이어 과거 성균관의 정통을 계승할 대학의 수립을 위하여 ‘성균관대학 기성회’가 조직되어 [[김창숙]]이 대표가 되었다. 이러한 성균관대학이 출범하려는 데에 있어서 이석구의 재단법인 학린사의 거대한 토지재산을 희사하게 되고, 거기에 종전의 명륜전문학교 재단을 통합하여 재단법인 성균관대학을 조직하게 되어, 1946년 9월 25일 문교부로부터 성균관대학이 정식으로 인가되었다. 과거 성균관의 정통을 계승하여 출범한 성균관대학은 문학부와 정경학부의 2개학부였는데 동양철학과, 문학과(국문학전공, 영문학전공, 불문학전공), 사학과가 문학부에 속하고 법률학과, 정치학과, 경제학과가 정경학부에 속하였다. 그러나 1950년에는 [[한국 전쟁]]이 발발해 대학은 부산으로 피난하여 [[부산고등학교]] 안의 임시 천막교사로, [[부산광역시|부산시]] 동대신동의 임시교사로 전전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러한 성균관대학이 출범하려는 데에 있어서 [[이석구 (기업인)|이석구]]의 재단법인 학린사의 거대한 토지재산을 희사하게 되고, 거기에 종전의 명륜전문학교 재단을 통합하여 재단법인 성균관대학을 조직하게 되어, 1946년 9월 25일 문교부로부터 성균관대학이 정식으로 인가되었다. 과거 성균관의 정통을 계승하여 출범한 성균관대학은 문학부와 정경학부의 2개학부였는데 동양철학과, 문학과(국문학전공, 영문학전공, 불문학전공), 사학과가 문학부에 속하고 법률학과, 정치학과, 경제학과가 정경학부에 속하였다. 그러나 1950년에는 [[한국 전쟁]]이 발발해 대학은 부산으로 피난하여 [[부산고등학교]] 안의 임시 천막교사로, [[부산광역시|부산시]] 동대신동의 임시교사로 전전하지 않을 수 없었다.
 
* 1946년 - 조선 시대 성균관이 지니고 있던 최고 교육 기관으로서 기능을 이관받아 성균관대학이 설립됨(초대 학장 : 김창숙, 재단이사장 : 조동식).
줄 260 ⟶ 243:
:현재 신소재, 플라즈마 물리학, 표면화학, 전자, 기계 분야의 15명의 교수진이 참여하여 상호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플라즈마 발생 및 진단 제어, 박막신소재의 설계 및 합성공정 개발, 코팅막의 분석 및 신뢰성 평가에 이르는 기초연구에서 시제품 개발까지의 연구활동을 수행하고 있으며, 동시에 대학 및 산업체의 인력양성을 위한 교육 및 훈련을 위해 활동하고 있다. 플라즈마 원천기술을 이용하여 체계적으로 개발한 지식, 기술, 노하우를 바탕으로 국내는 물론 세계 플라즈마 응용기술을 선도한다는 사명감을 가지고 고부가가치 박막 신소재 부품 창출 및 고품위 공정용 플라즈마 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뿐만 아니라 기초연구를 통해 개발된 원천기술을 산업체와 연계하여 생산현장에 접목하는 상용화 기술개발을 제1의 목표로 하여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 '''[http://www.mtrc.net/ 분자치료연구센터]'''
:분자치료연구센터는 현대에 [[분자유전학]] 및 기초분자생물학을 비롯한 기초의학 연구결과를 이용하여 [[질병]]의 예방, 진단, 치료에 이용할 수 있는 새로운 [[분자물질]]을 개발하여 임상에 이용함으로써 인류의 건강과 복지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첨단의학연구소를 목표로 하고 있다.
* '''[http://www.skkurrc.re.kr/ 정보통신용 신기능성소재 및 공정연구센터]'''
* '''[http://cnnc.skku.ac.kr/ 나노튜브 및 나노복합구조연구센터]'''
:정보통신용 신기능성소재 및 공정연구센터는 [[나노튜브]] 및 나노복합구조를 합성하고 이들의 새로운 물성 연구를 통하여 나노과학기술의 기초를 확립하는 것을 목표로 2001년에 설립되었다. 그 해 [[한국과학재단]] 우수연구센터 사업에 선정되어 2001년 7월부터 2010년까지 연평균 10억원의 지원을 받아 운영하고 있으며, 그외에도 성균관대학교로부터 연 5억 상당의 고가 기자재와 연구보조인력의 장학금, 그리고 [[삼성전자]], 일진나노텍 등 산업체로부터 연 1억원 상당의 지원을 통하여 운영되고 있다.
* '''[http://sfarc.skku.ac.kr/ 미래가전연구센터]'''
* '''바이오 나노융합재료 연구센터'''
줄 680 ⟶ 663:
<gallery>
Kim ChangSuk Statue 01.jpg|[[김창숙]] 동상
Kim ChangSuk Statue 02.jpg|[[김창숙]] 동상
Kim ChangSuk Statue 03.jpg|[[김창숙]] 동상
College of law - sungkyunkwan university 02.jpg|[[1398년]] 법과대학 표지
</gallery>
줄 693 ⟶ 676:
== 동문 ==
{{참고|분류:성균관대학교 동문}}
 
== 각주 ==
{{각주|1}}
 
== 외부 링크 ==
줄 718 ⟶ 698:
{{국제경영대학발전협의회}}
{{전거 통제}}
== 각주 ==
 
<references/>
[[분류:1398년 개교]]
[[분류:대한민국의 대학교 야구부]]
줄 725 ⟶ 706:
[[분류:경기도의 대학교]]
[[분류:수원시의 학교]]
[[분류:성균관대학교| ]]
[[분류:삼성그룹]]
[[분류:열린대학 교육협의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