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주 문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태그: m 모바일 앱 안드로이드 앱 편집
태그: m 모바일 앱 안드로이드 앱 편집
29번째 줄:
[[1632년]]에 [[숭덕제]]의 명을 받은 박사(Baksi) 다하이(達海, {{llang|mnc|{{만몽 유니코드|ᡩᠠᡥᠠᡳ}}|Dahai}}에 의하여 무권점자는 만주어 적는데 적합한 문자로 개량되었다. 즉 무권점자에 점(點: •)과 권(圈: ○)을 가하여 a와 e,o,와 u,t와 d, 그리고 k와 g와 h를 구별하는 새로운 문자를 만들었는데, 이 새 문자를 유권점 만문(有圈點滿文, {{llang|mnc|{{만몽 유니코드|ᡨᠣᠩᡴᡳ<br />ᡶᡠᡴᠠ<br />ᠰᡳᠨᡩᠠᡥᠠ<br />ᡥᡝᡵᡤᡝᠨ}}|Tongki Fuka Sinsaha Hergen}})이라고 하는데 신만문(新滿文)이라고도 부른다.
 
새로운 만주자 즉 유권점 만문이 제정 공포된 것은 정확히는 [[1632년]] [[3월 7일]]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그 당시의 기록인 《구만주당(舊滿洲檔)》을 보면 3월 7일 전후의 표기가 뚜렷한 변화를 보인다. 그러나 3월 7일을 경계로 하여 구만문(舊滿文)과 신만문(新滿文)의 모든 특징이 획연히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1632년 3월 7일이 분기점이 되는 것은 사실이지만 1632년을 전후로 상당 기간의 과도적인 문자 사용의 시기가 나타난다. 즉 1632년 이전의 당안에도 간혹 어음을 구별하기 위하여 점을 가한 곳이 보이고, 1632년 이후의 당안에도 점의 누락은 물론 문자 이용에 있어서도 무권점자적인 특징이 부분적으로 여전히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이 그 당시의 문서들을 살펴보면, 1632년의 문자 개량은 갑자기 나타난 것이 아니라, 점진적으로 축적된 개량의 방안들이 1632년에 정리 공포된 것으로 보인다. 또 그 뒤에도 부분적인 정리가 뒤따른 것으로 보인다. 1640년대에 접어들면 기본적인 문자의 자형이나 그 이용 방법에 있어서는 완전히 정비된 유권점 만문의 모습을 보여준다.<ref>성백인, 《몽고 문자와 만주 문자》, 국어생활, 1985</ref><ref>閻崇年, 《正說淸朝十二帝》, 中華書局, 4쪽</ref>
 
==서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