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굉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23번째 줄:
'''김굉필'''(金宏弼, [[1454년]] ~ [[1504년]] [[10월 7일]])은 [[조선]] 전기의 문인, [[교육자]], [[성리학자]]로 [[호 (이름)|호]](號)는 한훤당(寒暄堂)·사옹(蓑翁),<ref> [http://people.aks.ac.kr/front/srchservice/viewSearchPPL.jsp?pItemId=PPL&type=L&pType=P&pSearchSetId=25465&pTotalSearchCount=1&pPosition=0&pRecordId=00500050004C005F0036004A004F0061005F00410031003400350034005F0031005F0030003000300031003200360030&pName=AE40AD49D544002891D15B8F5F3C0029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ref> 또는 한훤(寒暄), 말곡(末谷<ref>중종실록 100권, 중종 38년 1월 4일 기유 8번째기사 1543년 명 가정(嘉靖) 22년 판중추부사 김안국의 졸기</ref>)이며 자(字)는 대유(大猷), 시호는 문경(文敬)이다. 점필재 [[김종직]]의 제자로 [[김일손]], [[김전]], [[남곤]], [[정여창]] 등과 동문이었다. 《[[소학]]》에 심취하여 스스로 '소학동자'라 칭하였고, 《소학》의 가르침대로 생활하였다.
 
[[김종직]]의 문하에서 수학하다가 [[1480년]](성종 11) 식년과 생원시와 초시에 합격하고, 다시 [[성균관]]에 들어가 유생으로 수학하였다. [[1494년]](성종 25년) [[훈구파]] 출신 [[경상도]][[관찰사]] [[이극균]](李克均)에 의해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출사하여 주부(主簿), [[사헌부]]감찰, [[형조]][[좌랑]] 등을 지냈다. [[1498년]] [[무오사화]]가 일어나자 연좌되어 [[평안도]] 희천에 유배되었는데, 그곳에서 지방관으로 부임한 [[조원강]]의 아들 [[조광조]](趙光祖)를 만나 학문을 전수하였다. [[무오사화]] 때 유배되어 [[희천군]] 시장에서 사형되었다. [[중종 반정]] 후 복권되어 [[승정원]][[도승지]]에 추증되고, [[1517년]] 증 [[우의정]], [[1575년]] 증 [[영의정]]에 거듭 [[추증]]되었다.
 
그는 [[1484년]] [[10월]] 스승 [[김종직]]이 [[이조]][[참판]]이 된 뒤에도 [[훈구파]]에 대해 간하지 않자, 이를 계기로 풍자시를 지었다가 [[김종직]]과 결별하게 되었다. 그 자신도 [[조광조]]·[[이장곤]]·[[주계정 이심원]]·[[김안국]]·[[이연경]] 등의 제자들을 배출했으며, [[김종직]] 사후 사림의 영수로 추대되었다. 김굉필의 문인들과 이들의 학통은 후대에 가서 [[조광조]], [[백인걸]]의 학통과 함께 기호 사림파를 거쳐 [[서인]]학파를 이루게 되었다. 《소학》을 행동의 근간으로 삼아 《소학》을 알지 못하고는 사서육경을 알 수 없다고 주장하기도 하였다. [[본관]]은 [[서흥 김씨|서흥]](瑞興)이며, [[한성부]] 출신이다. [[문묘]]에 종사된 [[동방 18현|해동 18현]] 중의 한 사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