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모듈러: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봇: 존재하지 않는 파일 File:The grid of proportion.jpg 삭제
잔글 정리. using AWB
1번째 줄:
{{정리 필요|날짜=2016-06-10}}
[[파일:Le Corbusier 1933.JPG|thumb|Le Corbusier 1933]]
[[파일:Corbusierhaus (Berlin) (6305784913).jpg|thumb|Corbusierhaus (Berlin) (6305784913)]]
줄 29 ⟶ 28:
</br>그가 1929년 건축 잡지를 통해 발표한 규준선은 4가지로 구성되어 있다.<ref>김경아, 위의글, p.36</ref>
 
:1. '''대각선에 의한 규준선''' (Trace Diagonal): 작은 요소와 전체 구성 사이의 기하학적인 관계를 결정한다. 입면에서 개개요소의 비를 통해 상호간의 수학적인 관계를 얻는다.</br>
 
:12. '''대각선에수에 의한 규준선''' (Trace DiagonalNumerique) : 작은 요소와 전체 구성 사이의 기하학적인 관계를 결정한다.대각선을 입면에서보완하는 개개요소의선으로써 비를입면 통해높이에서 상호간의산술적인 수학적인관계로 관계를요소들을 얻는다구성한다.</br>
:23. '''수에 의한자동조절되는 규준선''' (Trace NumeriqueAutomatique) : 대각선을구조물을 보완하는정리하는 선으로써산술적인 입면측량으로써 높이에서규칙적인 산술적인리듬을 관계로 요소들을 구성한다.확립해준다</br>
:3. '''자동조절되는 규준선''' (Trace Automatique) : 구조물을 정리하는 산술적인 측량으로써 규칙적인 리듬을 확립해준다</br>
:4. '''인체치수'''(Echell Humaine)
 
 
규준선의 선들은 미리 정해져 있는, 어느 대상에게나 동일하게 적용되는 선들이 아니다. 건축가는 규준선을 이용해 갖가지 조형물의 면을 분절함으로써 형태 기하학적인 질서를 만들어낼 수 있다. </br>
줄 47 ⟶ 44:
 
규준선은 단순한 수학이 아니다. 규준선은 공간과 공간을 인지하는 인간의 감각을 연결지어 생각한 끝에 나온 결과물이며 입면을 구성하는 서로 상이한 요소들의 관계를 다루어 주변과 건축물의 입면간의 조화로운 관계를 이루어내기 위한 창조적 도구이다.
 
 
----
=== 비례격자(The grid of proportions) ===
 
</br>
1943년 12월, 르꼬르뷔지에는 규준선과 황금비의 원리를 바탕으로 새로운 비례 시스템-'''''비례 격자'''''-를 발명한다. 이 연구는 아스코럴([[ASCORAL]]. 건축적 재견을 위한 제작자 협회)과 함께 진행되었다.
줄 66 ⟶ 61:
이렇게 만들어진 위의 도형에서 각각의 선분의 길이를 살펴보면, </br>
<math>\overline{nl}</math> = 0.236 (= 2×0.118), <math>\overline{dj}</math> = 0.382, <math>\overline{hc}</math> = 0.618, <math>\overline{cd}</math> = 1, <math>\overline{hd}</math> = 1.618 인데 이 길이들은 피보나치 수열을 이룬다.<ref>이영한, 위의 글, p.148-149</ref>
 
 
르 꼬르뷔지에는 여기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황금비와 ‘휴먼 스케일([[human scale]])’을 통합했다. 그는 인체 치수 역시 황금비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이러한 통합이 가능하다고 여겼다. 위의 비례 격자 내부에 팔을 들어올린 인간을 넣음으로써 인체의 치수와 수학적 비례를 조화시키는 일련의 치수값들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한 것이다.</br>
줄 73 ⟶ 67:
<math>\overline{nl}</math> = 25.4cm (=108×0.236), <math>\overline{dj}</math> = 41.45cm(108×0.382), <math>\overline{hc}</math> = 66.8cm(108×0.618) 라는 값이 얻어졌다. 이때의 모든 수는 정확히 피보나치 수열을 이루었다.
르 꼬르뷔지에는 자신이 발명한 이 격자가 널리 사용되기를 바랐다.
 
 
 
----
=== 모듈러 Ι ===
'''''모듈러 : 신체의 비례체계에 따른 조화로운 측정방법'''''
 
 
모듈러를 만들기 위한 연구를 하면서 그는 앞서 만들었던 비례격자가 적합하지 않음을 깨닫고, '''비례격자''' 대신 '''비례자'''를 선택한다. 비례격자가 2차원적 현상이 아닌 선적 현상에 기초한다는 것을 깨달은 것이다. 그는 0에서 무한대로 움직이는 [[황금분할]] 집합인 선형체계를 만들고 이것을 비례자라고 부른다. 이 비례자를 바탕으로 1945년 12월 '''1.75M'''의 인체를 기준으로 하는 '''0~2.16M의 띠자'''를 만들어낸다.
줄 85 ⟶ 77:
모듈러는 '''단일 정사각형'''과 '''이중 정사각형'''에 2개의 황금비를 적용한 것이다.</br>
적색계열은 단일 정사각형(108cm)에 '''황금비를 더하는''' 것이고, 적색계를 수치의 두배인 청색계열은 이중 정사각형(216cm)에서 '''황금비를 빼는''' 것이다.
 
 
 
모듈러 치수는 신체 치수와 황금비인 1.1618의 관계를 가지는 수치로 결정되었다. </br>'''단일 정사각형'''에 더해진 황금비는 신체의 두 부분인 발바닥으로부터 배꼽까지의 치수와 배꼽으로부터 머리까지의 치수 관계를 결정한다.</br>'''이중 정사각형'''으로부터 빼지는 황금비는 발바닥으로부터 성기까지의 치수와 성기로부터 팔을 든 손가락의 끝까지의 치수 관계를 결정한다.
 
 
----
 
=== 모듈러 Ⅱ ===
 
</br>
모듈러 1의 치수들은 [[미터법]]에 의한 치수였다. 즉, 모듈러 1에서 얻어진 각각의 치수들을 [[인치-피트법]]의 단위로 바꾸게 될 경우 수가 맞아 떨어지지 않아 사용하기에 불편했다.
줄 105 ⟶ 94:
113.2 × 1 = 113.02cm → 113cm = 44.49' → 44.5’
113.2 × 1.618 = 182.88cm → 183cm = 72.00’ → 72’
 
 
모듈러 1에서와 같은 방법을 적용해보면 '''적색계열'''은 0에서 시작하여 182.9cm에서 끝나며, '''청색계열'''은 0에서 시작해 2.26cm에서 끝난다. 르꼬르뷔지에는 이 수치들을 결합하여 격자 형태로 조합하였고 이런 조합을 발전시켜 다양한 부피를 가지는 공간을 구축할 수 있었다.
줄 125 ⟶ 113:
| 평면그리드 || 419cm × 419cm
|-
| 층고 || 226cm (거실부분 : 485cm<sup>*1</sup>)
|-
| 스팬 || 419cm
|-
| 바닥슬래브두께 || 세대 내부 : 33cm </br>세대와 세대사이 53cm
|-
| 단위주호 || 419cm × 2
줄 136 ⟶ 124:
|}
 
<small>*1 : 거실 부분 층고 : 485cm = 226cm(층고) + 33cm(중층 바닥슬래브두께) + 226cm(층고)</br>*2 : 113cm : 사람의 신장을 기준으로 발끝에서 배꼽 위치까지의 거리로, 전체 모듈러 치수인 226cm의 절반.</br>*3 : 43cm : 거주자가 앉았을 때 적정한 의자 높이</small>
 
위의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니테 다비타시옹의 구조 및 외관 디자인에서 나타나는 치수는 '''모듈러의 직조구성'''에 있는 '''적색계열'''과 '''청색계열'''의 수치를 그대로 사용한 결과이다.
줄 149 ⟶ 137:
! 모듈러 치수가 적용된 부분 !! 치수
|-
| 층고 || 1층 : 296cm </br>2층 : 495cm </br>3층 : 226cm
|-
| 스팬 || 635cm (= 592cm<sup>*1</sup> + 기둥두께 43cm)
|-
| 기둥두께 || 1층 : 53cm </br>2층 : 43cm
|-
| 계단 폭, 난간 높이 || 113cm
줄 162 ⟶ 150:
|}
 
<small>*1 : 적색계열 모듈러치수가 그대로 적용된 592cm는 1층 필로티의 천정고 296cm의 두 배이다. 즉, 스팬과 기둥의 높이 비가 2:1의 비를 이룬다.</small>
 
=== 3. Secretariat Building in [[Chandigarh]] ===
 
[[파일:Marseille Le Corbusier.jpg|Marseille Le Corbusier|600픽셀]]
 
줄 175 ⟶ 162:
! 모듈러치수가 적용된 부분 !! 치수
|-
| 전체 크기 || 길이 : 254m</br>높이 : 42m
|-
| 층고 || 전면 : 366cm </br>후면 : 785cm<sup>*1</sup>
|-
| 복도 || 높이, 폭 : 296cm
|-
| 외피 (유리벽면<sup>*2</sup>) || 모듈러 수치 혼용
|}
 
<small>*1 : 후면 층고 785cm = 한 개 층고 366cm + 슬래브두께 53cm + 한 개 층고 366cm</small> <br />*2 : 유리벽의 [[멀리온]] 간격 치수는 순수형과 통합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br>순수형에는 청색계열 수치(13, 20, 33, 53, 86, 140)와 적색계열 수치(17, 27, 43, 70, 113)가 혼용되어 사용된다.</br>통합형은 이들 모두의 수치를 사용하여 배치한 것을 말하는데 '''X차 변형'''으로 변형을 줄 수 있다.</br>
''X차 변형'' : 각 계열의 모듈러 치수 중 가장 작은 치수부터 X개의 치수를 제외한 나머지 치수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유형<ref>조성현(2010), 위의 글, pp.18-20</ref>
: 청색계열에서는 기본형, 2차 변형, 3차 변형이 가능하고, 적색계열에서는 기본형과 1차 변형, 2차 변형이 가능하다.
: 또한, 통합형에서는 기본형과 4차 변형, 6차 변형이 가능하다.
: 가령, 통합형의 기본형은 13, 17, 20, 27, 33, 43, 53, 70, 86, 113, 140이며 4차 변형은 앞에서부터 13, 17, 20, 27을 제외한 나머지 치수 33, 43, 53, 70, 86, 113, 140으로 배열된 유형이다. 같은 원리로 6차 변형은 앞에서 여섯 숫자를 제외한 53, 70, 86, 113, 140으로 배열된 유형을 말한다.
 
 
== 모듈러의 의의 및 르 꼬르뷔지에의 기대 ==
 
</br>
* 르 꼬르뷔지에는 모듈러가 비례라는 미학원리로서 뿐만 아니라 일반화된 척도체계에 사용되어 건축과 산업에서 '''표준화'''와 '''대량생산'''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br>그가 제안한 표준화된 요소들을 사용한 생산방식은 당시 건설과 산업 환경에서 요구했던 생산성 향상과 경제성을 만족시키는 합리적인 방안이었기도 하지만 동시에 그 자신의 건축개념인 질서, 조화, 완전성을 표현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였다. 즉, 그의 표준화 개념은 대량 생산의 가능성에 대한 양적 문제의 해결책에서 질적 문제의 해결책으로 전환되는 과정에 파생하고 있다.
줄 204 ⟶ 189:
</br>
* 모듈러는 불변의 가치를 갖는 '''기하학과 인간 사이에 공통요소'''를 확립하려고 시도했음을 알려주는 증거이다. 르 꼬르뷔지에는 인체측정학적 치수를 미학적 비례와 동일하게 만듦으로써 공통요소를 만들고자 하였다.<ref>김희정, 정진국, 유니테다비타시옹 내부공간에 적용된 르 코르뷔지에의 모듈러의 효과와 의미에 관한 연구, 2010, p.2</ref>
 
 
== 비평 ==
 
르 꼬르뷔지에는 모듈러를 그의 건축적 개념 -비례와 조화- 이 집약된 결과물로 제시한다. 그는 건축물 뿐만 아니라 회화, 도시계획에도 모듈러를 적용하였고, 실내가구와 내, 외장 마감재 등 모든 곳에 모듈러를 적용하였다. 그는 모듈러가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보편적인 치수체계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확신했지만 그의 꿈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 모듈러는 영국인의 키를 기준으로 하였다. 각 나라마다 표준 신장에 차이가 있다는 점 때문에 모듈러는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기에는 적절하지 않은 척도체계로 남을 수 밖에 없었다.
줄 217 ⟶ 199:
* 모듈러는 비례체계 이상의 의미를 지니지 못한다고 평가받았다. 게다가 비례 체계로서도 그리 좋은 평가를 받지는 못했다. 모듈러를 활용해 설계했던 건물이 별로 좋은 평을 얻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blockquote>슈타니슬라우스 폰 모스(Stanislaus von Moos) : “모듈러는 틀에 박힌 건물의 추악함에 대한 구제책도 아니었다.<ref>{{서적 인용|성1=von Moos|이름1=Stanislaus|제목=르 꼬르뷔제의 생애|날짜=2007|출판사=기문당|쪽=411}}</ref>”</blockquote>
 
<blockquote>존 섬머슨 (John Summerson) : “그 체계를 만들어 낸 사람의 정신적인 내용이 중요하다. 그 체계들은 그들을 만들어내고 사용한 사람들과 더불어 운명을 같이 한다."
<small>모듈러의 가치는 르 꼬르뷔지에가 그것을 사용한 방법에 있지, 모듈러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라는 뜻이다.
</small></blockquote>